| 佛說七知經 | 불설칠지경 |
| 吳月支國居士支謙譯 | 오월지국 거사 지겸 역 |
| 聞如是라 | 이와 같이 들었다. |
| 문여시 | |
| 佛遊於舍衛祇樹給孤獨園이시러니 | 부처님께서 사위국 |
| 불유어사위기수급고독원 |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는데, |
| 佛告諸比丘하시고 |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말씀하시고 |
| 불고제비구 | |
| 比丘受教 從佛而聽이러라 | 비구들은 가르침을 받으며 |
| 비구수교 종불이청 | 부처님으로부터 듣고 있었다. |
| 佛告諸比丘하사대 有七法道弟子는 |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제비구 유칠법도제자 | "7법의 도를 닦는 제자는 |
| 現世安隱 和悅多行하며 | 현세가 안은하여 |
| 현세안은 화열다행 | 화목하고 기쁜 일을 많이 행하며 |
| 精進法觀하야 令習得盡하나니 | 꾸준히 힘써 법을 관찰하고 |
| 정진법관 영습득진 | 수습하여 번뇌가 다하게 되나니, |
| 何謂七法고 一知法 | 무엇이 그 7법인가? |
| 하위칠법 일지법 | 첫째는 법을 아는 것[知法], |
| 二知義 三知時 | 둘째는 뜻을 아는 것[知義], |
| 이지의 삼지시 | 셋째는 때를 아는 것[知時], |
| 四知節 五知自 | 넷째는 절제(節制)를 아는 것[知節], |
| 사지절 오지자 |
다섯째는 자기를 아는 것[知自], |
| 六知眾 七知人이니라 | 여섯째는 대중을 아는 것[知衆], |
| 육지중 칠지인 | 일곱째는 사람을 아는 것[知人]이니라. |
| 諸比丘야 何謂知法고 | 비구들이여, |
| 제비구 하위지법 | 지법(知法)이란 무엇이겠는가? |
| 謂能解十二部經이니 | 소위 12부경전을 아는 것이니, |
| 위능해십이부경 | |
| 一曰文 二曰歌 三曰說 四曰頌 | 첫째는 문(文), 둘째는 가(歌), |
| 일왈문 이왈가 삼왈설 사왈송 | 셋째는 설(說), 넷째는 송(頌), |
| 五曰譬喻 六曰本起紀 | 다섯째는 비유(譬喻), |
| 오왈비유 육왈본기기 | 여섯째는 본기기(本起紀), |
| 七曰事解 八曰生傅 | 일곱째는 사해(事解), |
| 칠왈사해 팔왈생전 | 여덟째는 생전(生傅), |
| 九曰廣博 十曰自然 | 아홉째는 광박(廣博), |
| 구왈광박 십왈자연 | 열째는 자연(自然), |
| 十一曰行 十二曰章句라 | 열한째는 행(行), |
| 십일왈행 십이왈장구 | 열두째는 장구(章句)라 |
| 是為知法이요 不解十二部經이면 | 이것이 법을 아는 것이요 |
| 시위지법 불해십이부경 | 12부경을 알지 못하면 |
| 為不知法이니라 | 법을 아는 것이 아니니라. |
| 위부지법 | |
| 何謂知義고 彼彼所說經法에 | 지의(知義)란 무엇인가? |
| 하위지의 피피소설경법 | 여러가지로 설한 경전의 법에서 |
| 悉曉其義하면 是為知義라 | 그 의미를 다 환히 알면 |
| 실효기의 시위지의 | 이것이 지의인 것이라 |
| 彼彼所說에 不曉不解하면 | 여러가지로 설한 것을 알지도 |
| 피피소설 불효불해 | 이해하지도 못하면 |
| 為不知義니라 | 뜻을 안 것이 아니니라. |
| 위부지의 | |
| 何謂知時고 | 지시(知時)란 무엇인가? |
| 하위지시 | |
| 知是時可惟寂滅想이요 | 어느 때에 |
| 지시시가유적멸상 | 적멸상(寂滅想)을 생각하고, |
| 是時不惟受行想이며 | 어느 때에 |
| 시시불유수행상 | 수행상(受行想)을 생각하면 안되며, |
| 是時可惟慎護想이니 | 어느 때에 신호상(慎護想)을 |
| 시시가유신호상 | 생각해야 할 지를 아는 것이니 |
| 是為知時라 不曉時宜所行이면 | 이것이 때를 아는 것이요 |
| 시위지시 불효시의소행 | 행할 바 마땅한 때를 알지 못하면 |
| 為不知時니라 | 때를 아는 것이 아니니라. |
| 위부지시 | |
| 何謂知節고 | 무엇을 지절(知節)이라 하는가? |
| 하위지절 | |
| 能少飲食 大小便 便得消化하고 | 음식을 적게 먹어서 |
| 능소음식 대소변 변득소화 | 대소변으로 쉽게 소화되게 하고 |
| 能節出入 坐起行步하며 | 들고 나고 앉고 서고 다니기를 |
| 능절출입 좌기행보 | 절제할 수 있으며 |
| 臥覺語默事從約省하면 | 자고 깨고 말하고 침묵하는 일을 |
| 와각어묵사종약생 | 줄이고 덜 수 있다면 |
| 是為知節이라 | 이것이 절제를 아는 것이니. |
| 시위지절 | |
| 不自約省이면 為不知節이니라 | 스스로 줄이고 덜지 못하면 |
| 부자약생 위부지절 | 절제를 아는 것이 아니니라. |
| 何謂知自고 | 무엇을 지자(知自)라 하는가? |
| 하위지자 | |
| 自知己身意老多少하고 | 스스로 자기 몸과 뜻이 |
| 자지기신의노다소 | 얼마나 노숙한지 알고 |
| 所信所戒 所聞所施 | 믿음, 계율, 청문, 보시, |
| 소신소계 소문소시 | |
| 所慧所解 所至所入의 | 지혜, 이해, 이르름, 들어감의 |
| 소혜소해 소지소입 | |
| 深淺厚薄을 事事自知면 | 깊고 얕음과 두껍고 엷음을 |
| 심천후박 사사자지 | 낱낱이 스스로 알면 |
| 是為自知라 | 이것이 스스로를 아는 것이니 |
| 시위자지 | |
| 不知己意所入多少면 為不自知니라 | 자기의 뜻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알지 못하면 |
| 부지기의소입다소 위부자지 | 자기를 아는 것이 아니니라. |
| 何謂知眾고 | 지중(知衆)은 무엇인가? |
| 하위지중 | |
| 能知彼眾을 若君子眾 若理家眾 | 저 대중이 군자들인지, |
| 능지피중 약군자중 약리가중 | 가정일 보는 자들인지, |
| 若梵志、若沙門眾 | 범지(梵志)나 |
| 약범지 약사문중 | 사문(沙門)들인지를 알고 |
| 若或有時 至彼眾하야 | 혹 어느 때는 그들에게 가서 |
| 약혹유시 지피중 | |
| 宜坐宜立 宜語宜默하야 | 마땅하게 앉거나 서고 |
| 의좌의립 의어의묵 | 마땅하게 말하거나 침묵함으로써 |
| 知隨時宜면 是為知眾이니 | 때의 마땅함에 따를 줄 알면 |
| 지수시의 시위지중 | 이것이 대중을 아는 것이며 |
| 不知相彼眾 隨時宜者면 | 마주한 저 대중과 |
| 부지상피중 수시의자 | 때의 마땅함을 따를 줄 모르면 |
| 為不知眾이니라 | 대중을 아는 것이 아니니라. |
| 위부지중 | |
| 何謂知人고 如有兩人하야 | 지인(知人)은 무엇인가? |
| 하위지인 여유양인 | 두 사람이 있어 |
| 一人信道요 一人不信道인댄 | 한 사람은 도를 믿고 |
| 일인신도 일인불신도 | 한 사람은 도를 믿지 않는다면 |
| 信道者는 可稱譽나 | 도를 믿는 자는 |
| 신도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信者는 無稱譽며 | 믿지 않는 자는 |
| 불신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信道가 有兩輩하야 | 도를 믿는 데에도 |
| 신도 유양배 | 두 부류가 있어서 |
| 一人數詣道場樂沙門이요 | 한 사람은 도량에 자주 나아가 |
| 일인수예도량요사문 | 사문들을 좋아하고 |
| 一人不數詣道場智略沙門이면 | 한 사람은 도량에 자주 나아가지 않고 |
| 일인불수예도량지략사문 | 꾀로 사문을 공략한다면 |
| 數詣者는 可稱譽나 | 자주 나아가는 자는 |
| 수예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數詣者는 無稱譽며 | 자주 나아가지 않는 자는 |
| 불수예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數詣道場이 有兩輩하야 | 자주 도량에 나아가는 것도 |
| 수예도량 유양배 | 두 부류가 있어서 |
| 一人愛敬沙門하고 | 한 사람은 사문을 애경하고 |
| 일인애경사문 | |
| 一人不愛敬沙門하면 | 한 사람은 애경하지 않는다면 |
| 일인불애경사문 | |
| 愛敬者는 可稱譽나 | 애경하는 자는 |
| 애경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愛敬者는 無稱譽며 | 애경하지 않는 자는 |
| 불애경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愛敬이 有兩輩하야 | 애경하는 데도 |
| 애경 유양배 | 두 가지 부류가 있어서 |
| 一人親習沙門하고 | 한 사람은 사문과 친숙하고 |
| 일인친습사문 | |
| 一人不親習沙門하면 | 한 사람은 친숙하지 않다면 |
| 일인불친습사문 | |
| 親習者는 可稱譽나 | 친숙한 사람은 |
| 친습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親習者는 無稱譽며 | 친숙하지 않은 사람은 |
| 불친습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親習이 有兩輩하야 | 친숙한 데에도 두 부류가 있어서 |
| 친습 유양배 | |
| 一人好問經法하고 | 한 사람은 |
| 일인호문경법 | 경전의 법 묻기를 좋아하고 |
| 一人不好問經法하면 | 한 사람은 |
| 일인불호문경법 | 묻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
| 好問者는 可稱譽나 | 묻기 좋아하는 자는 |
| 호문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好問者는 無稱譽며 | 묻기 좋아하지 않는 자는 |
| 불호문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好問이 有兩輩하야 | 묻기 좋아하는 데도 |
| 호문 유양배 | 두 부류가 있어서 |
| 一人側耳聽하고 | 한 사람은 |
| 일인측이청 | 귀를 기울여 듣고 |
| 一人不側耳聽하면 | 한 사람은 |
| 일인불측이청 | 기울여 듣지 않는다면 |
| 側耳聽者는 可稱譽나 | 귀를 기울여 듣는 자는 |
| 측이청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側耳聽者는 無稱譽며 | 귀울여 듣지 않는 자는 |
| 불측이청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側耳聽이 有兩輩하야 | 귀를 기울여 듣는 데도 |
| 측이청 유양배 | 두 가지 부류가 있어서 |
| 一人聞法受持하고 | 한 사람은 |
| 일인문법수지 | 법을 들어서 수지하고 |
| 一人聞法不受持하면 | 한 사람은 |
| 일인문법불수지 | 법을 들어서 수지하지 않는다면 |
| 聞法受持者는 可稱譽나 | 법을 들어서 수지하는 자는 |
| 문법수지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受持者는 無稱譽며 | 수지하지 않는 자는 |
| 불수지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受持가 有兩輩하야 | 수지하는 데도 |
| 수지 유양배 | 두 가지 부류가 있어서 |
| 一人聞而思義하고 | 한 사람은 듣고서 |
| 일인문이사의 | 그 의미를 헤아려 생각하고 |
| 一人聞不思義하면 | 한 사람은 |
| 일인문부사의 | 그 의미를 헤아리지 않는다면 |
| 聞而思義者는 可稱譽나 | 의미를 헤아리는 자는 |
| 문이사의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聞而不思義者는 無稱譽며 | 헤아리지 않는 자는 |
| 문이부사의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聞法思義가 有兩輩하야 | 법을 듣고 의미를 헤아리는 데도 |
| 문법사의 유양배 | 두 가지 부류가 있어서 |
| 一人如經義解하야 受法如法立하고 | 한 사람은 경의 의미대로 이해하고 |
| 일인여경의해 수법여법립 | 법을 받아 법에 맞게 서고 |
| 一人不如經義解하야 | 한 사람은 경의 의미대로 |
| 일인불여경의해 | 이해하지 못하고 |
| 不受法不如法立하면 | 법을 받지도 |
| 불수법불여법립 | 법에 맞게 서지도 못한다면 |
| 如經義解者는 可稱譽나 | 경의 의미대로 이해한 자는 |
| 여경의해자 가칭예 | 칭찬할 만 하나 |
| 不如經義解者는 無稱譽며 | 경의 의미대로 이해하지 못한 자는 |
| 불여경의해자 무칭예 | 칭찬할 일이 없으며 |
| 如經義解가 有兩輩하야 | 경의 의미대로 이해하는 데도 |
| 여경의해 유양배 | 두 가지 부류가 있어서 |
| 一人但自安己하고 | 한 사람은 |
| 일인단자안기 | 단지 자기만 편안하고 |
| 不安他人、不多安人하며 | 남을 편안하지 못하게 하거나 |
| 불안타인 불다안인 | 많은 사람을 편안하지 못하게 하고 |
| 不哀世間、不利天下어니와 | 세간을 가엾이 여기지도 않고 |
| 불애세간 물리천하 | 천하를 이롭게 하지도 않는데 |
| 一人自能安己하고 | 한 사람은 |
| 일인자능안기 | 자기 스스로 편안하고 |
| 亦安他人 多安天下하며 | 많은 타인들과 |
| 역안타인 다안천하 | 천하도 두루 편안하게 하며 |
| 愍傷世間 利寧天人하면 | 세간을 가엾이 여기고 |
| 민상세간 이녕천인 | 천인을 이롭게 한다면, |
| 諸比丘야 當別知니 其自安己하고 | 비구들이여, 마땅히 분별해 알지니, |
| 제비구 당별지 기자안기 | 그 스스로 자기를 편안히 하고 |
| 能安他人 多安天下하며 | 다른 사람들도 천하도 두루 |
| 능안타인 다안천하 | 편안케 하고 |
| 愍傷世間하고 利寧天下者면 | 세간을 가엾이 여기며 |
| 민상세간 이녕천하자 | 천하를 이롭게 한다면 |
| 是人為最上最長最尊極尊이니 | 이 사람은 가장 높고, 가장 어른이며, |
| 시인위최상최장최존극존 | 가장 존귀하고 지극히 존귀한 것이니 |
| 譬如牛乳成酪하고 酪為酥하며 | 비유컨대 우유가 낙(酪)이 되고 |
| 비여우유성락 낙위소 | 낙이 소(酥)가 되며 |
| 酥為醍醐하면 醍醐最上인달하야 | 소가 제호(醍醐)가 되면 |
| 소위제호 제호최상 | 제호가 가장 좋은 것과 같아서 . |
| 如是人者면 為人中之人이라 | 이런 사람이라면 |
| 여시인자 위인중지인 | 사람 중의 사람으로서 |
| 乃為上行、尊行、極尊之行이니 | 높은 항렬이요 존귀한 항렬이며, |
| 내위상항 존항 극존지항 | 지극히 존귀한 항렬이라 |
| 為最勝為上願無上也니라 | 가장 수승하여 |
| 위최승위상원무상야 | 높은 서원이 위가 없게 되느니라. |
| 諸比丘야 能見兩人 為智為高하고 | 비구들이여, |
| 베비구 능견양인 위지위고 | 두 사람의 지혜롭고 높음을 보고 |
| 能分別此人善、此人勝하면 | 어떤 사람이 선하고 |
| 능분별차인선 차인승 | 어떤 사람이 나은지 분별할 수 있다면 |
| 是為知人이니라 | 이것이 사람을 아는 것이니라." |
| 시위지인 | |
| 佛說是已에 皆歡喜受러라 | 부처님께서 말씀을 마치시자 |
| 불설시이 개환희수 | 모두가 기쁘게 받들었다. |
| 佛說七知經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