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50

수능엄경(首楞嚴經) 제6권

(25)耳根 : 觀世音菩薩은 觀世音佛所에서 聞,思,修를 따라 三摩提에 들라는 말씀을 듣고서   처음 들음에서 入流하여 所(聲塵)를 잊었더니 所와 入이 기왕 고요해지자   動,靜 二相이 了然히 不生하고 一念에 聞性이 頓空하여 圓通해졌다。爾時 觀世音菩薩이 即從座起하야 이 때 관세음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이시 관세음보살   즉종좌기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호대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정례불족    이백불언부처님께 아뢰었다. 世尊하 憶念我昔無數恒河沙劫컨대 "세존이시여, 제가 옛적 세존   억념아석무수항하사겁무수한 항하사 겁을 회상해 보건대 於時有佛이 出現於世하시니 그 때 한 부처님이 어시유불   출현어세    세상에 출현하셨으니 名觀世音이시라 명호가 관세음이셨나이다. 명관세음 我於彼佛에 發菩提心이러니 저는 그 부처님..

首楞嚴經 2025.02.26

수능엄경(首楞嚴經) 제5권

阿難白佛言世尊。如來雖說第二義門。今觀世間解結之人。若不知其所結之元。我信是人終不能解。世尊我及會中。有學聲聞亦復如是。從無始際與諸無明俱滅俱生。雖得如是多聞善根名為出家。猶隔日瘧。唯願大慈哀愍淪溺。今日身心云何是結。從何名解。亦令未來苦難眾生。得免輪迴不落三有。作是語已普及大眾。五體投地雨淚翹誠。佇佛如來無上開示。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비록 제2의문(第二義門*)을 말씀하셨으나 지금 세간에서 결사(結使*)를 풀려는 사람을 볼 때에 만약 그 맺힌 근원을 알지 못하면 이 사람은 결국 풀지 못하리라 믿나이다. 세존이시여! 저와 이 회중(會中)의 더 배워야 할 성문들도 이와 같아서 무시이래로 온갖 무명(無明)과 더불어 함께 멸하고 함께 생하는지라 비록 이렇게 다문(多聞)의 선근을 얻어 출가했다 하지만 아직 하루거리 ..

首楞嚴經 2025.02.26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妙法蓮華經 觀世音菩薩普門品 第二十五(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爾時,無盡意菩薩即從座起,偏袒右肩,合掌向佛,而作是言:「世尊!觀世音菩薩,以何因緣名觀世音?」 그 때에 무진의(無盡意)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깃을 내리고 불(佛)을 향해 합장하여 이렇게 말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하나이까?」佛告無盡意菩薩:「善男子!若有無量百千萬億眾生受諸苦惱,聞是觀世音菩薩,一心稱名,觀世音菩薩即時觀其音聲,皆得解脫。若有持是觀世音菩薩名者,設入大火,火不能燒,由是菩薩威神力故。若為大水所漂,稱其名號,即得淺處。若有百千萬億眾生,為求金、銀、琉璃、車璩、馬瑙、珊瑚、虎珀、真珠等寶,入於大海,假使黑風吹其船舫,飄墮羅剎鬼國,其中若有,乃至一人,稱觀世音菩薩名者,是諸人等皆得解脫羅剎之難。以是因緣,名觀世音。불(佛)이 무진..

妙法蓮華經 2025.02.23

불교의 짧은 시간 단위

《아비달마구사론俱舍論》권11,12 1찰나(剎那;Kṣana)=1/75초(약 0.013초)  65찰나=1탄지(彈指;acchatā)=0.87초 120찰나=1탄찰나(怛剎那;tat-ksana)=1.6초 60탄찰나=1랍박(臘縛;lava)=96초 30랍박=1모호율다(muhūrta;수유須臾)=2,880초=48분 30수유=1주야(晝夜;낮밤)=1,440분=24시간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권17 1념(念)=약 0.018초  20념=1순(瞬)=0.36초 20순=1탄지(彈指)=7.2초  20탄지=1라상(羅豫;랍박臘縛)=144초=2.4분  20라상=1수유(須臾)=48분  30수유=1주야(晝夜)=24시간  30주야=1월(月)  12월=1년(年) 《대지도론大智度論》30과 《引經論》에 의하면「1彈指의 잠깐에 60念이 있다」 하였으니, ..

법계(法界)

법계(法界; Dharmadhātu 달마태도達磨駄都) :   法은 諸法이요, 界는 分界이니 세상 모든 법이 실존하는 현상계를 말한다. 諸法은 各各의 自體와 分界가 있어 그 하나마다 법계를 이루고 그 모든 법계 즉 萬有가 어우러져 또한 一法界를 형성하고 있으니 이를 「實相」, 「實際」라 하고, 사실적 의미의  법계라 한다. 또 모든 聖道가 의지하여 생성하는 所因이다는 뜻에서, 그리고 真如의 理性이다는 뜻에서 「法性」이라고도 하니 이는 약속적 의미의 법계이다.

벽암록(碧巖錄) 제75칙 오구(烏臼)의 굴방굴방(屈棒屈棒)

*烏臼; 烏臼和尚. 馬祖道一禪師法嗣. 南嶽下二世. *屈棒; 아무런 이유도 없이 치는 몽둥이[棒(방)].   垂示云。수시(垂示) 靈鋒寶劍。常露現前。亦能殺人亦能活人。在彼在此。同得同失。若要提持。一任提持。若要平展。一任平展。且道不落賓主。不拘回互時如何。試舉看。靈鋒寶劍*이 늘 發露하여 現前하고 있어서 能이 殺人하기도 하고 活人하기도 하며, 여기에 있거나 저기에 있기도 하고, 같이 얻거나 같이 잃기도 하며, 提持*해야겠으면 提持하고, 平展*해야겠으면 平展한다. 자, 발해보라. 賓主에 떨어지지않고 回互*에 구애되지 않을 때는 어떠하겠는가. 예를 들어 살펴보자.  *靈鋒寶劍; 신령한 칼날의 보검. 일체 망상집착을 단칼에 베어내는 佛性과 그 妙用의 검. *提持; 師家가 學人을 接化할 때 학인 본래의 견해를 깨부수고  向上의..

碧巖錄 2025.01.13

벽암록(碧巖錄) 제73칙 마조(馬祖)의 사구백비(四句百非)

*四句百非; ①四句는 통상 有, 無, 亦有亦無, 非有非無, 또는 긍정, 부정, 부분긍정 부분부정, 양자 모두 부정  같은 일반 논의형식이 되어지는 네 가지를 말하나, 선림에서는 대개 臨濟義玄의 四料簡, 즉 奪人不奪境, 奪境不奪人, 人境共奪, 人境共不奪이라 하기도 한다. ②百非는 '많은 수'라는 의미의 百에 否定을 뜻하는 非이니, '많은 수의 부정'을 말하니 《열반경》 21권의 「선남자야!涅槃의 體性은 非生非出、非實非虛、非作業生、非是有漏有為之法、非聞非見、非墮非死、非別異相、亦非同相、非往非還、非去來今、非一非多、非長非短、非圓非方、非尖非斜、非有相非無相、非名非色、非因非果、非我我所,. . .」이라 하신 이것이 百非이다.  垂示云。수시(垂示)夫說法者。無說無示。其聽法者。無聞無得。說既無說無示。爭如不說。聽既無聞無得。爭如不聽..

碧巖錄 2024.11.15

벽암록(碧巖錄) 제69칙 남전획일원상(南泉畫一圎相)_南泉이 그린 동그라미

垂示云。수시(垂示)無啗啄處。祖師心印。狀似鐵牛之機。透荊棘林。衲僧家。如紅爐上一點雪。平地上七穿八穴則且止。不落寅緣。又作麼生。試舉看。도무지 쪼아볼 데가 없는 祖師의 心印은 무쇠소[鐵牛]의 정기(精機)와 같아서 형극(荊棘)의 길을 가야하는 수도승들에게는 이글거리는 용광로 위의 눈송이와 같다. (흔적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보통을 넘어 통달하는 일은 그만 두더라도 그 방면에 인연이 없을 때는 또 어떠한지 예를 들어 살펴보자. *七穿八穴; 七通八達과 同義語.*寅緣; 특별한 인연.    【六九】舉。 【제69칙】 南泉의 동그라미[圓相]    南泉歸宗麻谷。  同去禮拜忠國師。至中路  (三人同行必有我師。  有什麼奇特。  也要辨端的)  南泉於地上。畫一圓相云。  道得即去  (無風起浪。  也要人知。擲卻陸沈船。  若不驗過。爭辨端..

碧巖錄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