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64

벽암록(碧巖錄) 제83칙 운문(雲門)의 고불로주(古佛露柱)

벽암록(碧巖錄) 제83칙 운문(雲門)의 고불로주(古佛露柱)★雲門; 韶州雲門山光奉院文偃禪師(雪峰義存法嗣) 青原下六世★古佛露柱; 古佛(해묵은 부처)은 聖賢을, 露柱(佛殿 밖 正面에 서있는 무심한 기둥)는 凡夫衆生을 비유한 표현이다.  【八三】舉。 【제83칙】 운문로주(雲門露柱) 雲門示眾云。 古佛與露柱相交。是第幾機 (三千里外沒交涉。七花八裂) 自代云 (東家人死。西家人助哀。 一合相不可得) 南山起雲 (乾坤莫睹。刀斫不入) 北山下雨 (點滴不施。 半河南半河北)。 雲門이 示眾하여 이르되, "古佛과 露柱가 서로 사귐은 몇 번째 機인가" 하더니 (3천 리 밖으로 아무런 교섭없이 七花八裂*하다.) 스스로 대답하기를, (東家人이 죽으면 西家人이 슬픔을 보태는 법이라 ..

벽암록(碧巖錄) 제82칙 대룡(大龍)의 견고법신(堅固法身)

★大龍; 鼎州大龍山智洪弘濟禪師(雪峰義存_白兆志圓 法嗣) 青原下七世★堅固法身; 山花나 澗水 그 자체가 實相임을 들어 五蘊의 화합체인 色身이 곧 金剛不壞의 法身임을 말하고 있다.垂示云。수시(垂示)竿頭絲線具眼方知。格外之機作家方辨。且道作麼生是竿頭絲線格外之機。試舉看。竿頭絲線은 눈을 갖춰야만 비로소 알고, 格外之機는 作家라야만 비로소 分辨한다。말해보라. 어떤 것이 竿頭絲線이고 格外之機인가。예를 들어 살펴보자. ★간두사선(竿頭絲線); 낚싯대 끝에 매달린 실선. 매우 섬세하고 미묘한 것에 비유.★격외지기(格外之機); 보통의 격식을 넘어선 기(機).  【八二】舉。 【제82칙】 대룡(大龍)의 법신(法身) 僧問大龍。色身敗壞。 如何是堅固法身 (話作兩橛。分開也好) 龍云。山花開似錦。 澗水湛如藍 (無孔笛子撞著氈拍..

벽암록(碧巖錄) 제81칙 약산(藥山)의 주중주(麈中麈:王中王)

벽암록(碧巖錄) 제81칙 약산(藥山)의 주중주(麈中麈:王中王)주(麈:고라니)는 녹(鹿:사슴) 무리의 왕이니 주중주(麈中麈)는 왕중왕(王中王)이다. 어찌하면 그 왕중왕의 자리에 오를 수 있는가에 대한 문답이다. ★藥山; 澧州藥山惟儼禪師(石頭希遷法嗣) 青原下二世 垂示云。 수시(垂示)攙旗奪鼓。千聖莫窮。坐斷誵訛。萬機不到。不是神通妙用。亦非本體如然。且道。憑箇什麼。得恁麼奇特。旗를 섞고 鼓를 빼앗으니 千聖일지라도 窮究하지 못하고,誵訛*를 坐斷하니 萬機가 이르지 못하거니와,이것이 神通한 妙用도 아니고 또한 本體가 그러했던 것도 아니다。말해보라. 그 무엇을 의지해야 이런 奇特함을 얻겠는가.★참기탈고(攙旗奪鼓); 전장터에서 '깃발을 섞고 북을 빼앗는다' 함은 「對談에 끼어들어 상대의 말문을 막아버린다」는 의미이다. (*攙은..

대승찬(大乘讚) 10수(首) _지공(誌公)화상

대승찬(大乘讚) 10수(首) _지공(誌公)화상 1. 「相」을 여의되 大道를 위한 것들만은 除하라.大道常在目前。雖在目前難睹。若欲悟道真體。莫除聲色言語。言語即是大道。大道는 目前에 常在하거니와 비록 目前에 있어도 보기 어렵다. 道의 真體를 깨닫고자 한다면 聲, 色, 言語를 除하지 말라.言語가 곧 大道니라.不假斷除煩惱。煩惱本來空寂。妄情遞相纏繞。一切如影如響。不知何惡何好。有心取相為實。定知見性不了。煩惱를 斷除할 필요 없나니, 煩惱는 本來 空寂하건만 妄情이 서로 뒤섞이고 얽혀서 온통 그림자 같고 메아리 같은지라 무엇이 나쁘고 좋은지 모르는 것이어니와마음으로 상을 취해 진실로 여겨서는 정녕 견성(見性)을 마칠 수 없음을 알라.若欲作業求佛。業是生死大兆。生死業常隨身。黑闇獄中未曉。悟理本來無異。覺後誰晚誰早。業을 지어서 부처가 ..

심왕명(心王銘) _부대사(傅大士)

【부대사(傅大士) 심왕명(心王銘)】 부대사(傅大士:497~569) : 名은 흡(翕), 字는 현풍(玄風), 号는 선혜(善慧). 善慧大士, 雙林大士 등으로 불리운 南朝 梁代의 저명한 禪師로 維摩禪의 祖師이시다. 이 【心王銘】은 「마음 밝히는 일 밖에 부처를 구할 길이 없음」을 전한 귀한 법어로 문체가 뛰어나 禪宗韻文의 효시(嚆矢)가 되었으며,「是心是佛 是佛是心」, 「即心即佛 即佛即心」, 「水中鹽味 色裏膠清」, 「心王亦爾 身內居停 面門出入」등 많은 후세의 선사들이 인용하는 명언구를 남겼다. 觀心空王玄妙難測。 無形無相有大神力。 能滅千災成就萬德。 體性雖空能施法則。 觀之無形呼之有聲。 為大法將心戒傳經。 심공왕(心空王*)을 觀하건대 현묘하여 헤아리기 어려우니라. 형체도 없고 모양도 없으되 대신통력이 있..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제16

妙法蓮華經如來壽量品第十六 묘법연화경 여래수량품 제16 爾時,佛告諸菩薩及一切大眾:「諸善男子!汝等當信解如來誠諦之語。」復告大眾:「汝等當信解如來誠諦之語。」又復告諸大眾:「汝等當信解如來誠諦之語。」 이때 부처님이 보살들과 대중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선남자들아! 너희는 여래의 성실하고 진실한 말을 믿고 해득해야 한다」 하시더니,다시 대중에게 고하시되 「너희는 여래의 성실하고 진실한 말을 믿고 해득해야 한다」 하시고,다시 또 대중에게 고하시되 「너희는 여래의 성실하고 진실한 말을 믿고 해득해야 한다」 하셨다.是時菩薩大眾,彌勒為首,合掌白佛言:「世尊!唯願說之,我等當信受佛語。」如是三白已,復言:「唯願說之,我等當信受佛語。」그때 보살대중이 미륵보살이 상수가 되어 합장하고 부처님께 말했다. 「세존이시여! 오직 말씀해 주소서. 저..

六祖大師法寶壇經

六祖大師法寶壇經序古筠比丘德異撰 妙道虛玄不可思議,忘言得旨端可悟明。故世尊分座於多子塔前,拈華於靈山會上,似火與火,以心印心。西傳四七,至菩提達磨。東來此土,直指人心,見性成佛。有可大師者,首於言下悟入,末上三拜得髓,受衣紹祖開闡正宗,三傳而至黃梅,會中高僧七百,惟負舂居士,一偈傳衣為六代祖,南遯十餘年,一旦以非風旛動之機,觸開印宗正眼。居士由是祝髮登壇,應跋陀羅懸記,開東山法門,韋使君命海禪者錄其語,目之曰「法寶壇經」。大師始於五羊,終至曹溪,說法三十七年,霑甘露味,入聖超凡者,莫記其數,悟佛心宗,行解相應,為大知識者,名載傳燈。惟南嶽青原,執侍最久,盡得無巴鼻。故出馬祖石頭,機智圓明,玄風大震,乃有臨濟溈仰、曹洞、雲門、法眼諸公巍然而出,道德超群,門庭險峻,啟迪英靈,衲子奮志衝關,一門深入,五派同源,歷遍罏錘,規模廣大,原其五家綱要,盡出《壇經》。夫《壇經》者,言簡義豐,理明事..

육조단경(六祖壇經) 돈황본(敦惶本) 원문

南宗頓教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惠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一卷兼授無相戒弘法弟子法海集記 惠能大師於大梵寺講堂中,昇高座,說摩訶般若波羅蜜法,授無相戒。其時座下僧尼、道俗一萬餘人,韶州刺史韋據及諸官僚三十餘人,儒士三十餘人,同請大師說摩訶般若波羅蜜法。刺史遂令門人僧法海集記,流行後代,與學道者承此宗旨,遞相傳授,有所依約,以為稟承,說此《壇經》。 能大師言:「善知識!淨心念摩訶般若波羅蜜法。」大師不語,自淨心神,良久乃言:「善知識靜聽:惠能慈父,本官范陽,左降遷流嶺南,作新州百姓。惠能幼小,父亦早亡。老母孤遺,移來南海。艱辛貧乏,於市賣柴。忽有一客買柴,遂領惠能至於官店,客將柴去。惠能得錢,却向門前,忽見一客讀《金剛經》。惠能一聞,心明便悟。乃問客曰:『從何處來,持此經典?』客答曰:『我於蘄州黃梅縣東馮茂山,禮拜五祖弘忍和尚,現今在彼,門人有千餘眾。我於彼聽見大師勸道俗,但持《金..

벽암록(碧巖錄) 제80칙 조주(趙州)의 초생해자(初生孩子:嬰孩,嬰兒)

【八○】舉。 【제80칙】 조주(趙州)의 갓난아기[初生孩子*] 僧問趙州。 初生孩子。還具六識也無 (閃電之機。說什麼初生孩兒子) 趙州云。急水上打毬子 (過也。俊鷂趁不及。 也要驗過) 僧復問投子。 急水上打毬子。意旨如何 (也是作家同驗過。還會麼。 過也) 子云。念念不停流 (打葛藤漢)。 중(僧)이 조주(趙州)에게 물어 "갓난아기도 6식(六識*)을 갖추지 않았습니까?" 하니 (난데없이 무슨 갓난아기를 말하느냐) 趙州가 "급물살 위에 공을 보낸다" 하였다. (너무했다. 빼어난 새매[俊鷂]도 쫓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시험해봐야 한다.) 僧이 다시 투자(投子)에게 물어 "'급물살 위에 공을 보낸다' 함은 무슨 뜻입니까?" 하자 (作家들도 똑같이 경험..

보경삼매(寶鏡三昧)

寶鏡三昧보경삼매(寶鏡三昧)寶鏡이란 부처의 大圓鏡智에 비유하니 곧 真如本性을 비추어 보는 佛智佛慧이다.三昧는 定, 正受, 等持, 心一境性이니 이로써 外境에 動하지 않는 寂靜心을 이룰 수 있다.如是之法。佛祖密付。汝今得之。宜善保護。銀盌盛雪。明月藏鷺。髏[類]之弗齊。混則知處。이와 같은 법(法)을 불조(佛祖)께서 은밀히 부촉하시니 너희는 이제 받들어 마땅히 잘 보호해야 하거니와, 은쟁반에 담긴 눈[雪]과 밝은 달이 품은 백로는 동류(同類)이되 다른 것이니 섞여도 곧 분간해내리라. 佛祖께서 密付하신 法을 마땅히 잘 보호하되 無數한 「方便, 比喩, 言辭」와 「第一義」는 분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 意不在言。來機亦赴。動成窠臼。差落顧佇。背觸俱非。如大火聚。但形文彩。即屬染污。뜻은 말에 있지 않되 오는 기(機)에 또한 가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