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59

六祖大師法寶壇經

六祖大師法寶壇經序古筠比丘德異撰 妙道虛玄不可思議,忘言得旨端可悟明。故世尊分座於多子塔前,拈華於靈山會上,似火與火,以心印心。西傳四七,至菩提達磨。東來此土,直指人心,見性成佛。有可大師者,首於言下悟入,末上三拜得髓,受衣紹祖開闡正宗,三傳而至黃梅,會中高僧七百,惟負舂居士,一偈傳衣為六代祖,南遯十餘年,一旦以非風旛動之機,觸開印宗正眼。居士由是祝髮登壇,應跋陀羅懸記,開東山法門,韋使君命海禪者錄其語,目之曰「法寶壇經」。大師始於五羊,終至曹溪,說法三十七年,霑甘露味,入聖超凡者,莫記其數,悟佛心宗,行解相應,為大知識者,名載傳燈。惟南嶽青原,執侍最久,盡得無巴鼻。故出馬祖石頭,機智圓明,玄風大震,乃有臨濟溈仰、曹洞、雲門、法眼諸公巍然而出,道德超群,門庭險峻,啟迪英靈,衲子奮志衝關,一門深入,五派同源,歷遍罏錘,規模廣大,原其五家綱要,盡出《壇經》。夫《壇經》者,言簡義豐,理明事..

六祖壇經 2025.08.22

육조단경(六祖壇經) 돈황본(敦惶本) 원문

南宗頓教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惠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一卷兼授無相戒弘法弟子法海集記 惠能大師於大梵寺講堂中,昇高座,說摩訶般若波羅蜜法,授無相戒。其時座下僧尼、道俗一萬餘人,韶州刺史韋據及諸官僚三十餘人,儒士三十餘人,同請大師說摩訶般若波羅蜜法。刺史遂令門人僧法海集記,流行後代,與學道者承此宗旨,遞相傳授,有所依約,以為稟承,說此《壇經》。 能大師言:「善知識!淨心念摩訶般若波羅蜜法。」大師不語,自淨心神,良久乃言:「善知識靜聽:惠能慈父,本官范陽,左降遷流嶺南,作新州百姓。惠能幼小,父亦早亡。老母孤遺,移來南海。艱辛貧乏,於市賣柴。忽有一客買柴,遂領惠能至於官店,客將柴去。惠能得錢,却向門前,忽見一客讀《金剛經》。惠能一聞,心明便悟。乃問客曰:『從何處來,持此經典?』客答曰:『我於蘄州黃梅縣東馮茂山,禮拜五祖弘忍和尚,現今在彼,門人有千餘眾。我於彼聽見大師勸道俗,但持《金..

六祖壇經 2025.08.22

벽암록(碧巖錄) 제80칙 조주(趙州)의 초생해자(初生孩子:嬰孩,嬰兒)

【八○】舉。 【제80칙】 조주(趙州)의 갓난아기[初生孩子*] 僧問趙州。 初生孩子。還具六識也無 (閃電之機。說什麼初生孩兒子) 趙州云。急水上打毬子 (過也。俊鷂趁不及。 也要驗過) 僧復問投子。 急水上打毬子。意旨如何 (也是作家同驗過。還會麼。 過也) 子云。念念不停流 (打葛藤漢)。 중(僧)이 조주(趙州)에게 물어 "갓난아기도 6식(六識*)을 갖추지 않았습니까?" 하니 (난데없이 무슨 갓난아기를 말하느냐) 趙州가 "급물살 위에 공을 보낸다" 하였다. (너무했다. 빼어난 새매[俊鷂]도 쫓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시험해봐야 한다.) 僧이 다시 투자(投子)에게 물어 "'급물살 위에 공을 보낸다' 함은 무슨 뜻입니까?" 하자 (作家들도 똑같이 경험..

碧巖錄 2025.08.22

보경삼매(寶鏡三昧)

寶鏡三昧보경삼매(寶鏡三昧)寶鏡이란 부처의 大圓鏡智에 비유하니 곧 真如本性을 비추어 보는 佛智佛慧이다.三昧는 定, 正受, 等持, 心一境性이니 이로써 外境에 動하지 않는 寂靜心을 이룰 수 있다.如是之法。佛祖密付。汝今得之。宜善保護。銀盌盛雪。明月藏鷺。髏[類]之弗齊。混則知處。이와 같은 법(法)을 불조(佛祖)께서 은밀히 부촉하시니 너희는 이제 받들어 마땅히 잘 보호해야 하거니와, 은쟁반에 담긴 눈[雪]과 밝은 달이 품은 백로는 동류(同類)이되 다른 것이니 섞여도 곧 분간해내리라. 佛祖께서 密付하신 法을 마땅히 잘 보호하되 無數한 「方便, 比喩, 言辭」와 「第一義」는 분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 意不在言。來機亦赴。動成窠臼。差落顧佇。背觸俱非。如大火聚。但形文彩。即屬染污。뜻은 말에 있지 않되 오는 기(機)에 또한 가기도..

人天眼目 2025.08.12

벽암록(碧巖錄) 제79칙 투자(投子)의 「일체불성(一切佛聲)」 _모든 소리가 부처의 음성이다

垂示云。수시(垂示)大用現前。不存軌則。活捉生擒。不勞餘力。且道是什麼人。曾恁麼來。試舉看。大用이 現前하되 軌則을 두지 않아서 활착생금(活捉生擒*)에 별 힘을 들이지 않는다. 자 말해보라. 이 누가 일찍이 그래왔는가. 예를 들어 살펴보자. *活捉生擒; 산 채로 붙잡다. 생포(生捕)하다.  【七九】舉。 【제79칙】 투자(投子)선사의 모든 소리[一切聲] 僧問投子。 一切聲是佛聲是否 (也解捋虎鬚。 青天轟霹靂。 自屎不覺臭) 投子云。是 (賺殺一船人。 賣身與爾了也。 拈放一邊。是什麼心行) 僧云。和尚莫㞘沸碗鳴聲 (只見錐頭利。不見鑿頭方。 道什麼。果然納敗缺) 投子便打 (著。好打。放過則不可) 僧이 投子에게 물어 "'一切聲이 佛聲*'이라는데 그렇습니까" 하니 (호랑이 수염 ..

碧巖錄 2025.07.27

불설죄복보응경(佛說罪福報應經)

佛說罪福報應經불설죄복보응경(佛說罪福報應經)宋于闐國三藏求那跋陀羅譯송(宋) 우전국(于闐國)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역 聞如是:이와 같이 들었다. 一時佛在迦維羅衛國釋氏精舍,與千二百五十比丘俱。九月本齋一時畢竟,從神室出,往至舍衛國祇樹給孤獨園。二國之間有一大樹,名尼拘類,高二十里,枝布方圓覆六十里。其樹上子數千萬斛,食之香甘其味如蜜。甘果熟落人民食之,眾病皆除,眼目精明。佛坐樹下。時諸比丘取果食之。한 때 부처님은 가유라위국(迦維羅衛國*)의 석씨(釋氏) 정사(精舍*)에서 1,250명의 비구와 함께 계셨다.9월의 본재(本齋*)가 일시에 마치자 신실(神室)에서 나와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으로 가셨다.두 나라 사이에 큰 나무 하나가 있어 니구류(尼拘類)라 하였고, 높이가 20리(里)이며 가지가 사방으로 둥글게 60..

벽암록(碧巖錄) 제78칙 개사입욕(開士入浴) _어느 보살이 욕탕에 들어가다가

벽암록(碧巖錄) 제78칙 개사입욕(開士入浴) _어느 보살이 욕탕에 들어가다가  【七八】舉。 【제78칙】 개사가 물을 인해 깨닫다(開士悟水因) 古有十六開士 (成群作隊。有什麼用處。 這一隊不唧𠺕漢) 於浴僧時隨例入浴 (撞著露柱。漆桶作什麼) 忽悟水因 (惡水驀頭澆) 諸禪德作麼生會。 他道妙觸宣明 (更不干別人事。 作麼生會他。 撲落非他物) 成佛子住 (天下衲僧到這裏摸索不著。 兩頭三面作什麼) 也須七穿八穴始得 (一棒一條痕。 莫辜負山僧好。 撞著磕著。 還曾見德山臨濟麼)。 옛날에 어느 16개사(十六開士*)가 (成群作隊해서 무슨 쓸모가 있으리오. 이 一隊는 멍청한 놈들이다.) 스님들 목욕할 시간에 예(例)따라 입욕(入浴)하다 (撞著露柱*로구나. 漆桶이 ..

碧巖錄 2025.04.24

수능엄경(首楞嚴經) 제 4권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第四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제 4권  唐天竺沙門般剌蜜帝譯 당 천축사문 반랄밀제 역 爾時富樓那彌多羅尼子。在大眾中即從座起。偏袒右肩右膝著地合掌恭敬而白佛言。그때 부루나 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가대중 속에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꿇어 합장하며 공경히 부처님께 아뢰었다.*富樓那彌多羅尼子(Pūrṇamaitrāyaṇī-putra); 佛의 十大弟子中 說法第一인 富樓那의 full name. 大威德世尊善為眾生。敷演如來第一義諦。世尊常推說法人中我為第一。今聞如來微妙法音。猶如聾人逾百步外聆於蚊蚋。本所不見何況得聞。佛雖宣明令我除惑。今猶未詳斯義究竟無疑惑地。世尊如阿難輩。雖則開悟習漏未除。我等會中登無漏者。雖盡諸漏今聞如來所說法音。尚紆疑悔。..

首楞嚴經 2025.04.19

수행(修行)

如澄濁水貯於淨器。靜深不動沙土自沈清水現前。名為初伏客塵煩惱。去泥純水名為永斷根本無明。明相精純一切變現不為煩惱。皆合涅槃清淨妙德。 마치 흐린 물을 맑힐 때 깨끗한 그릇에 담아 고요함이 깊어지고 흔들림이 없거든 모래와 흙이 저절로 가라앉아서 맑은 물이 앞에 드러나는 것과 같은 것을  「객진번뇌(客塵煩惱)를 처음 굴복시켰다」 하고, 진흙이 가라앉고 깨끗한 물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을  「근본무명(根本無明)을 영원히 끊었다」고 하나니,  상(相)을 관(觀)하여 밝힘(明)이 정순(靜純)해지거든일체의 상(相)이 변해 나타나도 번뇌가 되지 않고  다 열반(涅槃)의 청정한 묘덕(妙德)에 부합할 것이니라. (능엄경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