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명(邪命) |
| 비구가 여법(如法)한 걸식으로 자활(自活)하지 않고, |
| 여법하지 못한 일을 지어 생활하는 것을 사명이라 한다. |
| 여기에는 네 가지가 있다. |
| 하나는 하구식(下口食)이니, |
| 전원(田園)에 탕약재를 섞어 심어서 |
| 그로써 의식(衣食)을 구하며 살아가는 것이요, |
| 둘은 앙구식(仰口食)이니, |
| 일월성숙(日月星宿)이나 |
| 풍우뢰전벽력(雨雷電霹靂) 등의 |
| 술수를 배운 것으로 의식을 구해 살아가는 것이며, |
| 셋은 방구식(方口食)이니, |
| 위세있는 부호에게 아첨하고 아양을 떨며 |
| 사방에 통하도록 교묘한 말로 |
| 많은 것을 구해 살아가는 것이요, |
| 넷은 유구식(維口食)이니, |
| 여러 가지 주술(咒術)과 길흉을 점치는 것을 배워 |
| 그로써 의식을 구해 살아가는 것이다. |
| 지도론(智度論) 3권을 보라. |
| 《丁福保佛學大辭典》에서 |
'불교의식(儀式)'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그리움의 노래(아미타불 정근) _혜광 (0) | 2021.05.25 |
|---|---|
| 삼의(三衣) _비구의 세 가지 옷 (0) | 2017.08.22 |
| 신묘장구대다라니 _여강스님 (1) | 2016.05.20 |
| 천수경(千手經) (0) | 2016.05.14 |
| 아미타불 정근 (그리움의 노래_혜광스님 송) (3) | 2016.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