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 |
| 首楞嚴經 卷第四 | 수능엄경 제 4권 |
| 唐天竺沙門般剌蜜帝譯 | 당 천축사문 반랄밀제 역 |
| 爾時에 富樓那彌多羅尼子가 | 그때 부루나 미다라니자가 |
| 이시 부루나미다라니자 | |
| 在大眾中이라가 即從座起하야 | 대중 속에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
| 재대중중 즉종좌기 | |
| 偏袒右肩 右膝著地하고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
| 편단우견 우슬착지 | 오른 무릎을 꿇어 |
| 合掌恭敬하야 而白佛言호대 | 합장하며 공경히 부처님께 아뢰었다. |
| 합장공경 이백불언 | |
| 大威德世尊하 善為眾生하사 | "위덕 높으신 세존이시어! |
| 대위덕세존 선위중생 | 중생들을 위하시어 |
| 敷演如來 第一義諦니다 | 여래의 제일의제(第一義諦)를 |
| 부연여래 제일의제 | 잘 말씀하여 주셨나이다. |
| 世尊常推 說法人中에 我為第一하시나 | 세존께서 항상 '설법하는 사람 중에 |
| 세존상추 설법인중 아위제일 | 부루나가 제일이다' 하셨으나 |
| 今聞如來 微妙法音하니 | 제가 지금 여래의 |
| 금문여래 미묘법음 | 미묘한 법음을 듣고 보니 |
| 猶如聾人이 逾百步外하야 聆於蚊蚋니다 | 마치 귀먹은 사람이 백보 밖에서 |
| 유여농인 유백보외 영어문예 | 모기소리를 듣는 것과 같습니다. |
| 本所不見커니 何況得聞이릿가 | 모기는 작아서 본래 보기도 어려운데 |
| 본소불견 하황득문 | 하물며 어찌 소리를 들을 수 있겠습니까? |
| 佛雖宣明 令我除惑이시언만 | 부처님께서 비록 분명히 하시어 |
| 불수선명 영아제혹 | 저희들이 의혹이 없게 하셨으나 |
| 今猶未詳 斯義究竟 無疑惑地니다 | 이 뜻의 구경인 의혹없는 경지까지는 |
| 금유미상 사의구경 무의혹지 | 아직 상세히 알지 못하겠나이다. |
| 世尊하 如阿難輩는 | 세존이시여! |
| 세존 여아난배 | 아난과 같은 이들은 |
| 雖則開悟나 習漏未除어니와 | 비록 깨달았다고는 하나 |
| 수즉개오 습루미제 | 익혀진 번뇌가 아직 없어지지 않았고, |
| 我等會中 登無漏者는 雖盡諸漏언정 | 저희 회중에 무루(無漏)에 오른 자도 |
| 아등회중 등무루자 수진제루 | 비록 모든 번뇌가 다했을지언정 |
| 今聞如來所說法音하고 尚紆疑悔호이다 | 지금 여래께서 말씀하신 법음을 듣고 |
| 금문여래소설법음 상우의회 | 오히려 의혹에 얽히게 되었나이다. |
| 世尊하 若復世間 一切根塵과 | 세존이시여! |
| 세존 약부세간 일체근진 | 만약 세간의 모든 육근(六根) 육입(六入) |
| 陰處界等이 皆如來藏 清淨本然인댄 | 오음(五陰) 십이처(十二處) 십팔계(十八界) 등이 |
| 음처계등 개여래장 청정본연 | 다 여래장으로서 청정본연하다면 |
| 云何忽生 山河大地 諸有為相하야 | 어찌하여 홀연히 산하대지의 |
| 운하홀생 산하대지 제유위상 | 모든 유위상(有爲相)이 생겨나서 |
| 次第遷流 終而復始닛가 | 차례로 변천해 흘러서 |
| 차제천류 종이부시 | 마쳤다가는 다시 시작하나이까? |
| 又如來說 地水火風이 本性圓融하야 | 또 여래께서 ‘지수화풍은 |
| 우여래설 지수화풍 본성원융 | 본래 성품이 원융하여 |
| 周遍法界 湛然常住라하시니 | 법계에 두루 퍼져 담연하게 |
| 주변법계 담연상주 | 항상 머물러 있다’고 하셨습니다. |
| 世尊하 若地性遍인댄 云何容水하며 | 세존이시여! 만약 흙의 성품이 두루하다면 |
| 세존 약지성변 운하용수 | 어떻게 물을 용납하며, |
| 水性周遍인댄 火則不生이언만 | 물의 성품이 두루하다면 |
| 수성주변 화즉불생 | 불은 생길 수 없을 것인데, |
| 復云何明水火二性이 俱遍虛空하야 | 어찌하여 물과 불의 두 가지 성품이 |
| 부운하명수화이성 구변허공 | 허공에 가득하면서 |
| 不相陵滅이라하시닛가 | 서로 능멸(凌滅)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까? |
| 불상능멸 | |
| 世尊하 地性障礙하고 空性虛通커늘 | 세존이시여! 흙의 성질은 장애하는 것이고, |
| 세존 지성장애 공성허통 | 허공의 성질은 비어 통하는 것입니다. |
| 云何二俱 周遍法界릿가 | 그런데도 어찌하여 다시 두 가지가 |
| 운하이구 주변법계 | 다 함께 법계(法界)에 두루하다고 하십니까? |
| 而我不知 是義攸往하오니 | 저는 그러한 이치를 알지 못하오니 |
| 이아부지 시의유왕 | |
| 惟願如來는 宣流大慈하사 | 오직 원컨대 부처님께서는 |
| 유원여래 선류대자 | 큰 자비를 베푸시어 |
| 開我迷雲 及諸大眾하소서 | 저와 모든 대중들의 |
| 개아미운 급제대중 | 어두운 구름을 벗겨 주소서!” |
| 作是語已에 五體投地하야 | 이렇게 말하고서 오체투지하여 |
| 작시어이 오체투지 | |
| 欽渴如來 無上慈誨러라 | 여래의 위없이 자애로운 가르침을 |
| 흠갈여래 무상자회 | 흠모하여 갈망하였다. |
| 爾時世尊이 告富樓那 及諸會中의 | 그때 세존께서 부루나와 회중의 |
| 이시세존 고부루나 급제회중 | |
| 漏盡無學 諸阿羅漢하사대 | 번뇌가 다하여 더 배울 것이 없는 |
| 누진무학 제아라한 | 모든 아라한들에게 말씀하셨다. |
| 如來가 今日에 普爲此會하야 | “여래가 오늘 |
| 여래 금일 보위차회 | 널리 이 모임을 위해 |
| 宣勝義中 眞勝義性인댄 | 승의제(勝義諦) 가운데서도 |
| 선승의중 진승의성 | 진승의성(眞勝義性)을 펼치면 |
| 今汝會中 定性聲聞 | 그대들 회중의 |
| 금여회중 정성성문 | 정성성문(定性聲聞)과 |
| 及諸一切 未得二空과 | 아직 이공(二空; 我空,法空)을 |
| 급제일체 미득이공 | 얻지 못한 모든 이들과 |
| 廻向上乘 阿羅漢等이 | 대승에 회향한 아라한들이 |
| 회향상승 아라한등 | |
| 皆獲一乘 寂滅場地요 | 다 일승(一乘)의 적멸도량[寂滅場地]이요 |
| 개획일승 적멸장지 | 참다운 아란야(阿練若)인 |
| 眞阿練若인 正修行處하리니 | 바른 수행처를 얻을 것이니 |
| 진아란야 정수행처 | |
| 汝今諦聽하라 當爲汝說호리라 | 그대들은 이제 자세히 들어라. |
| 여금제청 당위여설 | 마땅히 그대들을 위해 설하리라.” |
| 富樓那等이 欽佛法音하와 黙然承聽이러라 | 부루나 등이 부처님의 법음을 흠모하여 |
| 부루나등 흠불법음 묵연승청 | 묵연히 받들어 듣고 있었다. |
| 佛言하사대 富樓那야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부루나 | “부루나야 |
| 如汝所說하야 淸淨本然커니와 | 네가 말한 것과 같이 청정본연한데 |
| 여여소설 청정본연 | |
| 云何忽生 山河大地고 | 어찌하여 홀연히 |
| 운하홀생 산하대지 | 산하대지가 생겼느냐? |
| 汝常不聞을 如來宣說 性覺妙明하고 | 그대는 여래가 늘 |
| 여상불문 여래선설 성각묘명 | ‘성각(性覺)이 묘명(妙明)하고 |
| 本覺明妙아 | 본각(本覺)이 명묘(明妙)하다’고 |
| 본각명묘 | 하는 말을 듣지 못했느냐?” |
| 富樓那言호대 唯然世尊하 | 부루나가 말했다. |
| 부루나언 유연세존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
| 我常聞佛 宣說斯義니다 | 저는 항상 부처님께서 그러한 이치를 |
| 아상문불 선설사의 |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나이다.” |
| 佛言하사대 汝稱覺明은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여칭각명 | “그대가 말하는 각(覺)과 명(明)은 |
| 爲復性明을 稱名爲覺가 | 성품이 밝은 것을 |
| 위부성명 칭명위각 | 각(覺)이라 칭하는 것이냐 |
| 爲覺不明을 稱爲明覺가 | 성품이 밝지 못한 것을 |
| 위각불명 칭위명각 | 명각(明覺)이라 칭하는 것이냐?” |
| 富樓那言호대 | 부루나가 말했다. |
| 부루나언 | |
| 若此不明을 名爲覺者인댄 | “만약 이 밝지 못한 것을 |
| 약차불명 명위각자 | 각(覺)이라 한다면 |
| 則無所明이니다 | 곧 밝힐 것도 없겠나이다.” |
| 즉무소명 | |
| 佛言하사대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 |
| 若無所明이면 則無明覺이니라 | “만약 밝힐 것이 없다면 |
| 약무소명 즉무명각 | 밝혀야 할 각(覺)도 없으려니와 |
| 有所非覺이요 無所非明이니 | 밝힐 것이 있다면 각(覺)이 이니요 |
| 유소비각 무소비명 | 밝힐 것이 없다면 밝음[明]도 아니니 |
| 無明又非覺湛明性이며 | 밝음이 없으면 |
| 무명우비각담명성 | 각의 밝은 성품이 아니니라. |
| 性覺必明이언만 妄爲明覺이니라 | 성각(性覺)은 반드시 명(明)이건만 |
| 성각필명 망위명각 | 허망하게도 밝힐 각이 된 것이니라. |
| 覺非所明이언만 因明立所하고 | 각(覺)은 밝힐 것이 아니건만 |
| 각비소명 인명입소 | 명으로 인해 소(所)가 성립되고 |
| 所旣妄立하니 生汝妄能하야 | 소(所)가 기왕에 허망히 세워지니 |
| 소기망립 생여망능 | 그대의 허망한 능(能)이 생겨나서 |
| 無同異中에 熾然成異하고 | 같고 다름이 없는 가운데 |
| 무동이중 치연성이 | 치연하게 다름을 이루고 |
| 異彼所異하야 因異立同하고 | 다른 것을 다르다 하여 |
| 이피소이 인이립동 | 다름으로 인해 같음이 성립되고, |
| 同異發明하야 | 같음과 다름이 분명해져서 |
| 동이발명 | |
| 因此復立 無同無異하니 | 그로 인해 다시 |
| 인차부립 무동무이 | 같음도 없고 다름도 없음이 성립하니 |
| 如是擾亂 相待生勞하고 | 이렇게 요란함이 서로 작용하면 |
| 여시우란 상대생노 | 피로[勞]가 생기고 |
| 勞久發塵하야 自相渾濁하니 | 그 피로가 오래되면 티끌이 일어나 |
| 노구발진 자상휘탁 | 저절로 서로 혼탁해지니 |
| 由是引起 塵勞煩惱어니와 | 이로 말미암아 |
| 유시인기 진로번뇌 | 진로번뇌(塵勞煩惱)가 일어나는데, |
| 起爲世界하고 靜成虛空하니 | 일어나면 세계가 되고 |
| 기위세계 정성허공 | 고요하면 허공을 이루니 |
| 虛空爲同하고 世界爲異라 | 허공은 같고 세계는 다른 것이라 |
| 허공위동 세계위이 | |
| 彼無同異라사 眞有爲法이니라 | 같고 다름이 없어야 |
| 피무동이 진유위법 | 참된 유위법이니라. |
| 覺明空昧가 相待成搖할새 | 각(覺)의 명(明)과 허공의 어둠[昧]이 |
| 각명공매 상대성요 | 서로 거들어 흔들림을 이루니 |
| 故有風輪하야 執持世界하며 | 그 때문에 풍륜(風輪)이 있어 |
| 고유풍륜 집지세계 | 세계를 붙잡아 지탱하는 것이며, |
| 因空生搖하야 堅明立礙하니 | 허공의 매(昧)로 인해 흔들림이 생기고 |
| 인공생요 견명입의 | 명(明)을 굳혀 푸른 돌이 생기게 하나니 |
| 彼金寶者는 明覺立堅일새 | 저 금보(金寶)라는 것은 |
| 피금보자 명각입견 | 명각(明覺)이 굳어진 것이기에 |
| 故有金輪하야 保持國土니라 | 그러므로 금륜(金輪)이 있어 |
| 고유금륜 보지국토 | 국토를 보전하고 지탱하는 것이며, |
| 堅覺寶成하고 搖明風出하니 | 각(覺)이 굳어져서 금보가 되고 |
| 견각보성 요명풍출 | 명(明)이 흔들려 바람이 일어나 |
| 風金相摩할새 故有火光하야 爲變化性하며 | 바람과 금보가 서로 마찰하니 |
| 풍금상마 고유화광 위변화성 | 불빛이 생겨 변화하는 성품이 되었으며 |
| 寶明生潤하고 火光上蒸일새 | 금보의 밝음은 윤택한 기운을 내고, |
| 보명생윤 화광상증 | 불빛은 위로 증발하기에 |
| 故有水輪하야 含十方界니라 | 그러므로 수륜(水輪)이 있어 |
| 고유수륜 함시방계 | 시방세계를 머금고 있는 것이니라. |
| 火騰水降하야 交發立堅하니 | 불은 솟아 오르고 물은 떨어지면서 |
| 화등수강 교발입견 | 서로 교차하여 굳어지니 |
| 濕爲巨海하고 乾爲州潬하며 | 습한 곳은 큰 바다가 되고 |
| 습위거해 건위주단 | 건조한 곳은 육지와 섬이 되며, |
| 以是義故로 彼大海中에 火光常起하고 | 이러한 이치로 저 큰 바다에서는 |
| 이시의고 피대해중 화광상기 | 불빛이 항상 일어나고 |
| 彼州潬中에 江河常注니라 | 육지에서는 강물과 냇물이 |
| 피주단중 강하상주 | 항상 흐르는 것이니라. |
| 水勢劣火하면 結爲高山일새 | 물의 힘이 불보다 부족하면 |
| 수세열화 결위고산 | 맺혀서 높은 산이 되기 때문에 |
| 是故山石이 擊則成炎하고 融則成水하며 | 산에서 돌이 부딪치면 불꽃이 일어나고, |
| 시고산석 격즉성염 융즉성수 | 녹으면 물이 되는 것이며, |
| 土勢劣水하면 抽爲草木일새 | 흙의 힘이 물보다 약하면 |
| 토세열수 추위초목 | 싹터서 초목이 되기에 |
| 是故로 林藪遇燒成土하고 因絞成水하며 | 그 때문에 숲과 늪이 타면 흙이 되고, |
| 시고 임수우소성토 인교성수 | 짜이면 물이 되기를 |
| 交妄發生하야 遞相爲種하나니 | 교차하며 허망하게 일으켜 |
| 교망발생 체상위종 | 번갈아 서로 종자(種子)가 되나니 |
| 以是因緣으로 世界相續이니라 | 이러한 인연으로 |
| 이시인연 세계상속 | 세계가 서로 연속되는 것이니라. |
| 復次富樓那야 明妄非他요 | 또 부루나야, 명이라는 허망한 것은 |
| 부차부루나 명망비타 | 다른 것이 아니라 |
| 覺明爲咎니 | 각명이 허물이 된 것이니 |
| 각명위구 | |
| 所妄旣立인댄 明理不踰라 | 허망한 것이 기왕 성립하면 |
| 소망기립 명리불유 | 밝은 이치가 넘어가지 못하니 |
| 以是因緣으로 | 이러한 인연으로 |
| 이시인연 | |
| 聽不出聲하고 見不起色하야 | 듣는 것은 소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
| 청불출성 견불기색 | 보는 것은 색깔을 벗어나지 못해 |
| 色香味觸 六妄成就하고 | 색향미촉(色香味觸) 등의 |
| 색향미촉 육망성취 | 여섯 가지 허망함이 이루어지고, |
| 由是分開하야 見覺聞知하야 | 이로 말미암아 |
| 유시분개 견각문지 | 견문각지(見聞覺知)로 나누어져서 |
| 同業相纏 合離成化하나니라 | 같은 업이 서로 얽히고 합하고 |
| 동업상전 합리성화 | 분리되고 이루어지며 변화하느니라. |
| 見明色發하고 明見想成하니 | 명(明)을 보아 색(色)이 일어나고 |
| 견명색발 명견상성 | 밝게 보아 상(想)을 이루는데 |
| 異見成憎하고 同想成愛하야 | 견(見)이 다르면 미워하고 |
| 이견성증 동상성애 | 상(想)이 같으면 사랑하여 |
| 流愛爲種하고 納想爲胎하니 | 그 사랑을 흘려서 씨가 되고 |
| 유애위종 납상위태 | 상(想)을 받아들여 태(胎)가 되어서 |
| 交遘發生하야 吸引同業일새 | 서로 만나 생을 이루려고 |
| 교구발생 흡인동업 | 같은 업을 끌어들이니 |
| 故有因緣하야 生褐羅藍과 | 이러한 인연으로 |
| 고유인연 생갈라람 | 갈라람(褐羅藍:입태 후 7일간의 상태)과 |
| 謁蒲曇等하나니라 | 알포담(謁蒲曇:27일간의 상태) 등이 |
| 알포담등 | 생기느니라. |
| 胎卵濕化가 隨其所應호대 | 태란습화(胎卵濕化)가 |
| 태란습화 수기소응 | 그 감응할 바에 따라 |
| 卵唯想生하고 胎因情有하며 | 난생(卵生)은 오직 상(想)으로 생기고, |
| 난유상생 태인정유 | 태생(胎生)은 정(情)으로 생기며, |
| 濕以合感하고 化以離應하니 | 습생(濕生)은 합(合)하여 감응하고, |
| 습이합감 화이이응 | 화생(化生)은 분리[離]하여 감응하니 |
| 情想合離가 更相變易호대 | 정상합리(情想合離)가 |
| 정상합리 갱상변역 | 서로 변하고 바뀌되 |
| 所有受業하야 逐其飛沈하니 | 지닌 바 업을 받아 |
| 소유수업 축기비침 | 그 부침(浮沈)을 따르나니 |
| 以是因緣으로 衆生相續하나니라 | 이러한 인연으로 |
| 이시인연 중생상속 | 중생이 상속되는 것이니라. |
| 富樓那야 想愛同結하야 愛不能離하면 | 부루나야! 생각과 애욕이 함께 맺혀서 |
| 부루나 상애동결 애불능리 | 애욕을 떨쳐버리지 못하면 |
| 則諸世間父母子孫이 相生不斷하나니 | 곧 모든 세간의 부모와 자손이 |
| 즉제세간부모자손 상생부단 | 서로 끊임없이 태어나게 되는데, |
| 是等則以慾貪爲本이며 | 이러한 것은 곧 탐욕이 그 근본이며, |
| 시등즉이욕탐위본 | |
| 貪愛同滋하고 貪不能止하면 | 탐과 애가 함께 돕고 |
| 탐애동자 탐불능지 | 탐욕을 그치지 못하면 |
| 則諸世間 卵化濕胎가 | 모든 세간의 태란습화가 |
| 즉제세간 난화습태 | |
| 隨力强弱하야 遞相呑食하나니 | 그 힘의 강약에 따라 |
| 수력강약 체상탄식 | 번갈아 서로 잡아먹게 되는데, |
| 是等은 則以殺貪爲本이니라 | 이러한 것은 |
| 시등 즉이살탐위본 | 살탐(殺貪)을 근본으로 삼느니라. |
| 以人食羊하면 羊死爲人하고 | 사람이 양을 잡아먹으면 |
| 이인식양 양사위인 | 양은 죽어서 사람이 되고 |
| 人死爲羊하야 如是乃至十生之類가 | 사람은 죽어서 양이 되어서 |
| 인사위양 여시내지십생지류 | 이렇게 십생(十生)의 무리가 |
| 死死生生하며 互來相噉하야 | 죽고 죽고 나고 나면서 |
| 사사생생 호래상담 | 번갈아 와서 서로 잡아먹으며 |
| 惡業俱生하야 窮未來際하나니 | 악업으로 함께 나서 |
| 악업구생 궁미래제 | 미래세상을 다 하는데 |
| 是等則盜貪爲本이니라 | 이러한 것은 |
| 시등즉도탐위본 | 도탐(盜貪)으로 근본을 삼느니라. |
| 汝負我命하고 我還債汝하야 | 너는 나의 목숨을 빚지고, |
| 여부아명 아환채여 | 나는 너의 빚을 갚아서 |
| 以是因緣으로 經百千劫 常在生死하며 | 이러한 인연으로 백천 겁이 지나도록 |
| 이시인연 경백천겁 상재생사 | 항상 생사에 머물며, |
| 汝愛我心하고 我憐汝色하야 | 너는 나의 마음을 사랑하고 |
| 여애아심 아련여색 | 나는 너의 모습을 어여삐 여겨서 |
| 以是因緣으로 經百千劫 常在纏縛하니 | 이러한 인연으로 백천 겁이 지나도록 |
| 이시인연 경백천겁 상재전박 | 항상 얽매여 있으니 |
| 唯殺盜婬 三為根本하야 | 오직 살생 투도 사음[殺盜淫]의 |
| 유살도음 삼위근본 | 세 가지가 근본이 되어 |
| 以是因緣으로 業果相續하나니라 | 이러한 인연으로 |
| 이시인연 업과상속 | 업과(業果)가 상속되느니라. |
| 富樓那야 如是三種 顚倒相續은 | 부루나야! 이와 같이 |
| 부루나 여시삼종 전도상속 | 세 가지 전도가 상속되는 것은 |
| 皆是覺明의 明了知性이 | 모두 이 각명의 |
| 개시각명 명료지성 | 밝게 요지하려는 성품이 |
| 因了發相하야 從妄見生하니 | 요지하고자 상(相)을 일으켜 |
| 인료발상 종망견생 | 허망한 견해에서 생기니 |
| 山河大地 諸有爲相이 次第遷流하며 | 산하대지의 모든 유위상(有爲相)이 |
| 산하대지 제유위상 차제천류 | 차례로 변천하여 흘러가는 것이며, |
| 因此虛妄하야 終而復始하나니라 | 이러한 허망함으로 인해 |
| 인차허망 종이부시 | 마쳤다가는 다시 시작되는 것이니라. |
| 富樓那云 若此妙覺의 本妙覺明이 | 부루나가 말했다. “만약 이 묘각(妙覺)의 |
| 부루나운 약차묘각 본묘각명 | 본래 미묘한 각명(覺明)이 |
| 與如來心으로 不增不減커니와 | 여래의 마음과 같이 |
| 여여래심 부증불감 | 늘지도 줄지도 않는데 |
| 無狀忽生 山河大地 諸有爲相인댄 | 까닭없이 산하대지의 |
| 무상홀생 산하대지 제유위상 | 모든 유위상(有爲相)이 홀연히 생겼다면 |
| 如來今得 妙空明覺하시니 | 여래께서는 이제 |
| 여래금득 묘공명각 | 묘공명각(妙空明覺)을 얻으셨으니 |
| 山河大地 有爲習漏는 何當復生이닛가 | 산하대지의 유위(有爲)의 번뇌는 |
| 산하대지 유위습루 하당부생 | 언제 다시 생기겠나이까?” |
| 佛告富樓那하사대 譬如迷人이 | 부처님이 부루나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부루나 비여미인 | “마치 미혹한 사람이 |
| 於一聚落에 惑南爲北하면 | 어떤 마을에서 |
| 어일취락 혹남위북 | 남쪽을 북쪽으로 잘못 알고 있다면 |
| 此迷爲復 因迷而有아 因悟而出가 | 이러한 미혹은 미혹으로 인해 있는 것이냐? |
| 차미위부 인미이유 인오이출 | 깨달음으로 인해 나온 것이냐?” |
| 富樓那言호대 如是迷人은 | 부루나가 아뢰었다. |
| 부루나언 여시미인 | “이와 같이 미혹한 사람은 |
| 亦不因迷하고 又不因悟니 | 미혹으로 인한 것도 아니요 |
| 역불인미 우불인오 | 또 깨달음으로 인한 것도 아니옵니다. |
| 何以故오 迷本無根이니 云何因迷며 | 왜냐하면 미혹은 본래 뿌리가 없사온데 |
| 하이고 미본무근 운하인미 | 어떻게 미혹에 기인하겠사오며, |
| 悟非生迷커니 云何因悟리잇가 | 깨달음에서는 미혹이 생기지 않사온데 |
| 오비생미 운하인오 | 어떻게 깨달음에 기인하겠나이까?” |
| 佛言하사대 彼之迷人이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피지미인 | “저 미혹한 사람이 |
| 正在迷時에 倏有悟人하야 | 진정으로 미혹했을 때에 |
| 정재미시 숙유오인 | 문득 어떤 깨달은 사람이 |
| 指示令悟케하면 | 가르쳐 깨닫게 한다면 |
| 지시령오 | |
| 富樓那야 於意云何오 | 부루나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
| 부루나 어의운하 | |
| 此人縱迷로되 於此聚落에 更生迷不아 | 이 사람이 비록 미혹했었지만 |
| 차인종미 어차취락 갱생미부 | 그 마을에서 다시 미혹이 생기겠느냐?" |
| 不也니다 世尊하 | “그렇지 않겠습니다. 세존이시어!” |
| 불야 세존 | |
| 富樓那야 十方如來도 亦復如是니라 | “부루나야! |
| 부루나 시방여래 역부여시 | 시방의 여래도 역시 그러하니라. |
| 此迷無本하야 性畢竟空하니 | 이 미혹은 근본이 없어서 |
| 차미본무 성필경공 | 그 성품이 필경에 공한 것이니 |
| 昔本無迷호대 似有迷覺커니와 | 옛날에는 본래 미혹이 없었으되, |
| 석본무미 사유미각 | 흡사 미혹과 깨달음이 있는 듯하지만 |
| 覺迷迷滅하면 覺不生迷하나니라 | 미혹을 깨달아 미혹이 없어지면 |
| 각미미멸 각불생미 | 각(覺)에서는 미혹이 생기지 않느니라. |
| 亦如翳人이 見空中華라가 | 또 마치 눈병 난 사람이 |
| 역여예인 견공중화 | 허공 꽃을 보는 것과 같아서 |
| 翳病若除하면 華於空滅하나니 | 눈병이 없어지면 |
| 예병약제 화어공멸 | 그 꽃은 허공에서 사라질 것인데 |
| 忽有愚人이 於彼空華 所滅空地에 |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
| 홀유우인 어피공화 소멸공지 | 그 허공 꽃이 없어진 빈자리에서 |
| 待華更生하면 汝觀是人이 | 그 꽃이 다시 생기기를 기다린다면 |
| 대화갱생 여관시인 | 네가 보건대 그 사람이 |
| 爲愚아 爲慧아 | 어리석다고 하겠느냐, |
| 위우 위혜 | 지혜롭다고 하겠느냐? |
| 富樓那言호대 | 부루나가 아뢰었다. |
| 부루나언 | |
| 空元無華언만 妄見生滅하니 | “허공에는 원래 꽃이 없건만 |
| 공원무화 망견생멸 | 허망하게 생멸을 보는 것이라 |
| 見華滅空호미 已是顚倒요 | 그 꽃이 허공에서 사라짐을 보는 것이 |
| 견화멸공 이시전도 | 이미 전도인 것이요 |
| 㩽令更出하면 斯實狂癡어늘 | 움이 다시 트기를 기다린다면 |
| 기령갱출 사실광치 | 이는 실로 어리석고 미친 짓인데 |
| 云何更名 如是狂人하야 | 어찌 다시 이런 미친 사람을 |
| 운하갱명 여시광인 | |
| 爲愚爲慧하리잇가 | 어리석다 지혜롭다 하겠나이까?” |
| 위우위혜 | |
| 佛言하사대 如汝所解인댄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여여소해 | “네가 이해한 바가 그렇다면 |
| 云何問言을 諸佛如來 妙覺明空에 | 어째서 제불여래의 |
| 운하문언 제불여래 묘각명공 | 묘각명공(妙覺明空)에서 |
| 何當更出 山河大地가 | 언제 다시 산하대지가 |
| 하당갱출 산하대지 | 생기느냐고 묻느냐? |
| 又如金鑛 雜於精金이로되 | 또 마치 금광석에 |
| 우여금광 잡어정금 | 순금이 섞여 있다가 |
| 其金一純하면 更不成雜하고 | 그 금이 일단 순금이 되면 |
| 기금일순 갱불성잡 | 다시는 섞이지 않는 것과 같고, |
| 如木成灰하면 不重爲木인달하야 | 마치 나무가 타서 재가 되면 |
| 여목성회 부중위목 | 다시는 나무가 되지 못하는 것처럼 |
| 諸佛如來 菩提涅槃도 亦復如是니라 | 제불여래의 깨달음과 열반도 |
| 제불여래 보리열반 역부여시 | 이와 같느니라. |
| 富樓那야 又汝問言호대 | 부루나야, 또 네가 묻기를 |
| 부루나 우여문언 | |
| 地水火風이 本性圓融하야 | '지수화풍의 본성이 원융하여 |
| 지수화풍 본성원융 | |
| 周遍法界인댄 疑水火性이 | 법계에 두루하다면 |
| 주변법계 의수화성 | 물의 성품과 불의 성품이 |
| 不相陵滅하고 | 서로 능멸(凌滅)하지 않겠는가 의심하고, |
| 불상능멸 | |
| 又徵虛空 及諸大地가 俱遍法界인댄 | 또 허공과 모든 대지가 |
| 우징허공 급제대지 구변법계 | 다 법계에 두루하다면 |
| 不合相容이라하니 |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하였는데, |
| 불합상용 | |
| 富樓那야 譬如虛空이 體非群相이로되 | 부루나야, 마치 허공이 |
| 부루나 비여허공 채비군상 | 본체가 여러 가지 모습은 아니지만 |
| 而不拒彼諸相發揮니 | 저 모든 현상이 발휘되는 것을 |
| 이불거피제상발휘 | 거부하지 않는 것과 같으니 |
| 所以者何오 富樓那야 | 왜냐하면 부루나야, |
| 소이자하 부루나 | |
| 彼太虛空이 日照則明하고 雲屯則暗하며 | 저 드넓은 허공이 해가 비치면 밝고, |
| 피태허공 일조즉명 운둔즉암 | 구름이 끼면 어두우며, |
| 風搖則動하고 霽澄則淸하며 | 바람이 불면 흔들리고, |
| 풍요즉동 제징즉청 | 비가 개면 맑으며, |
| 氣凝則濁하고 土積成霾하며 | 기운이 엉키면 탁하고, |
| 기응즉탁 토적성매 | 흙먼지가 쌓이면 흙비가 되고, |
| 水澄成映이니라 | 물이 맑으면 비치기 때문이니라 |
| 수징성영 | |
| 於意云何오 | 어떻게 생각하느냐? |
| 어의운하 | |
| 如是殊方 諸有爲相이 | 이러한 여러 방면의 |
| 여시수방 제유위상 | 모든 유위상(有爲相)이 |
| 爲因彼生가 爲復空有아 | 저들(해, 구름, 바람)로 인해 생기느냐, |
| 위인피생 위부공유 | 허공에 있는 것이냐? |
| 若彼所生인댄 | 만약 저들로 인해 생기는 것이라면 |
| 약피소생 | |
| 富樓那야 且日照時에 旣是日明이라 | 부루나야, 우선 해가 비칠 때에는 |
| 부루나 차일조시 기시일명 | 기왕에 그것은 해의 밝음일 것이라 |
| 十方世界同義日色커늘 | 시방세계가 다같이 햇빛일 터인데, |
| 시방세계동의일색 | |
| 云何空中更見圓日이며 | 어찌하여 허공에서 |
| 운하공중갱견원일 | 다시 둥근 해를 보게 되느냐? |
| 若是空明인댄 空應自照어늘 | 만약 그것이 허공의 밝음이라면 |
| 약시공명 공응자조 | 허공이 마땅히 스스로 비출 것인데 |
| 云何中宵雲霧之時에 不生光耀가 | 어째서 밤중이나 구름이 끼었을 때에는 |
| 운하중소운무지시 불생광요 | 빛을 내지 못하느냐? |
| 當知是明 非日非空이며 | 마땅히 알아라. 그 밝음은 해 때문도 아니요, |
| 당지시명 비일비공 | 허공 때문도 아니며, |
| 不異空日이니라 | 허공이나 해와 다르지도 않느니라. |
| 불이공일 | |
| 觀相元妄하야 無可指陳호미 | 상을 보면 원래 허망하여 |
| 관상원망 무가지진 | 가리켜 말 할 수가 없으니 |
| 猶邀空花 結爲空果어늘 | 마치 허공 꽃에서 허깨비 열매가 |
| 유요공화 결위공과 | 맺히기를 바라는 것과 같거늘, |
| 云何詰其相陵滅義이며 | 어떻게 서로 능멸하는 의미를 |
| 운하힐기상능멸의 | 따질 것이며, |
| 觀性元眞하야 唯妙覺明이라 | 그 성품을 보면 원래 진실하여 |
| 관성원진 유묘각명 | 오직 묘각명(妙覺明) 뿐이라 |
| 妙覺明心은 先非水火어늘 | 이 묘각명한 마음은 |
| 묘각명심 선비수화 | 우선 물도 불도 아니거늘 |
| 云何復問 不相容者가 | 어찌하여 서로 용납하지 |
| 운하부문 불상용자 | 못하는 것인지를 묻느냐? |
| 眞妙覺明도 亦復如是하야 | 참된 묘각명도 역시 그와 같아서 |
| 진묘각명 역부여시 | |
| 汝以空明하면 則有空明하고 | 네가 공으로 밝히면 공이 나타나고, |
| 여이공명 즉유공명 | |
| 地水火風으로 各各發明하면 則各各現하며 | 지수화풍으로 각각 밝히면 |
| 지수화풍 각각발명 즉각각현 | 곧 각각 나타나며, |
| 若俱發明하면 則有俱現이니라 | 만약 한꺼번에 밝히면 |
| 약구발명 즉유구현 | 곧 함께 나타나는 것이니라. |
| 云何俱現고 富樓那야 | 어떤 것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겠느냐? |
| 운하구현 부루나 | 부루나야, |
| 如一水中에 現於日影커든 | 마치 한 물 속에 |
| 여일수증 현어일영 | 해 그림자가 나타나거든 |
| 兩人同觀 水中之日이라가 | 두 사람이 함께 물속의 해를 보다가 |
| 양인동관 수중지일 | |
| 東西各行하면 則各有日하야 | 동쪽과 서쪽으로 제각기 가면 |
| 동서각행 즉각유일 | 곧 각각에 해가 있어 |
| 隨二人去호대 一東一西하니 | 두 사람을 쫓아 |
| 수이인거 일동일서 | 하나는 동으로 가고 하나는 서로 가니 |
| 先無准的이라 | 우선해 가늠할 기준이 없는지라 |
| 선무준적 | |
| 不應難言을 此日是一어늘 云何各行하고 | '저 해는 하나인데 |
| 불응난언 차일시일 운하각행 | 어째서 각각 가는 것이며 |
| 各日旣雙이어늘 云何現一이니 | 각각 가는 해가 기왕에 둘인데, |
| 각일기쌍 운하현일 | 어째서 하나로 나타났는가' 하고 |
| 여렵게 말하는 것은 마땅치 못하니 | |
| 婉轉虛妄하야 無可憑據니라 | 완연히 허망하여 |
| 완전허망 무가빙거 | 증명할 근거가 없느니라. |
| 富樓那야 汝以色空으로 | 부루나야, 네가 이 색(色)과 공(空)으로 |
| 부루나 여이색공 | |
| 相傾相奪 如來藏하니 | 여래장을 서로 타투고 빼앗으니 |
| 상경상탈 여래장 | |
| 而如來藏이 隨爲色空하야 周遍法界일새 | 여래장이 따라서 색과 공이 되어 |
| 이여래장 수위색공 주변법계 | 법계에 두루하는 것이기에 |
| 是故로 於中에 風動空澄하며 | 그러므로 그 가운데서 |
| 시고 어중 풍동공징 | 바람은 움직이고, 허공은 맑으며, |
| 日明雲暗커늘 | 해는 밝고, 구름은 어두운 것인데, |
| 일명운암 | |
| 衆生迷悶하야 背覺合塵일새 | 중생들이 미민(迷悶)하여 |
| 중생미민 배각합진 | 깨달음을 등지고 망진에 부합하니 |
| 故發塵勞하야 有世間相이니라 | 진로(塵勞)가 일어나서 |
| 고발진로 유세간상 | 세간의 상이 있는 것이니라. |
| 我以妙明 不滅不生으로 合如來藏하니 | 나는 묘명(妙明)의 불생불멸함으로 |
| 아이묘명 불멸불생 합여래장 | 저 여래장에 부합하니 |
| 而如來藏이 唯妙覺明이며 圓照法界일새 | 여래장이 오직 묘각명(妙覺明)이요 |
| 이여래장 유묘각명 원조법계 | 법계를 원만히 비추는 것이기에 |
| 是故於中에 一爲無量하고 無量爲一하며 | 그러므로 그 가운데서 |
| 시고어중 일위무량 무량위일 | 하나가 무량이 되고 무량이 하나가 되며, |
| 小中現大 大中現小하고 | 작은 가운데 큰 것을 나타내고, |
| 소중현대 대중현소 | 큰 가운데 작은 것을 나타내며, |
| 不動道場 遍十方界하야 | 도량에서 움직이지 않은 채 |
| 부동도량 변시방계 | 시방세계에 두루하고, |
| 身含十方 無盡虛空하며 | 몸으로 시방의 끝없는 허공을 머금으며, |
| 신함시방 무진허공 | |
| 於一毛端에 現寶王刹하고 | 하나의 털끝에서 |
| 어일모단 현보왕찰 | 보왕(寶王)의 세계를 나타내며, |
| 坐微塵裏 轉大法輪하야 | 미진 속에 앉아서 |
| 좌미진리 전대법륜 | 대법륜(大法輪)을 굴리므로써 |
| 滅塵合覺일새 故發眞如 妙覺明性이니라 | 망진을 멸하여 각에 부합하기에 |
| 멸진합각 고발진여 묘각명성 | 진여의 묘각명한 성품을 발하느니라. |
| 而如來藏 本妙圓心은 非心非空이며 | 여래장 본래의 묘원심(妙圓心)은 |
| 이여래장 본묘원심 비심비공 | 마음도 아니요 허공도 아니며, |
| 非地非水 非風非火며 | 흙도 아니요 물도 아니며, |
| 비지비수 비풍비화 | 바람도 아니요 불도 아니며, |
| 非眼 非耳鼻舌身意며 | 눈도 아니요 |
| 비안 비이비설신의 | 귀, 코, 혀, 몸도 아니며, |
| 非色 非聲香味觸法이며 | 색도 아니요 |
| 비색 비성향미촉법 | 성, 향, 미, 촉, 법도 아니며, |
| 非眼識界 如是乃至 非意識界이며 | 안식계도 아니요 이와 같이 |
| 비안식계 여시내지 비의식계 | 나아가 의식계도 아니며, |
| 非明無明 明無明盡이며 | 명(明)도 무명(無明)도 |
| 비명무명 명무명진 | 명과 무명이 다함도 아니며, |
| 如是乃至 非老非死 非老死盡이며 | 이와 같이 노(老)도 사(死)도 아니요 |
| 여시내지 비노비사 비노사진 | 노사(老死)가 다함도 아니며, |
| 非苦非集 非滅非道며 | 고(苦)도 아니요 집(集)도 아니며, |
| 비고비집 비멸비도 | 멸(滅)도 아니요 도(道)도 아니며, |
| 非智非得이며 | 지혜도 얻음도 아니며, |
| 비지비득 | |
| 非檀那 非尸羅요 非毗梨耶 非羼提며 | 보시도 아니요 지계도 아니며 |
| 비단나 비시라 비비리야 비찬제 | 정진도 아니요 인욕도 아니며 |
| 非禪那 非缽剌若요 非波羅密多며 | 선정도 아니요 지혜도 아니며 |
| 비선나 비발나야 비바라밀다 | 바라밀다도 아니며, |
| 如是乃至 非怛闥阿竭이요 | 이와 같이 나아가 |
| 여시내지 비달달아갈 | 여래[怛闥阿竭]도 아니고, |
| 非阿羅訶 三耶三菩며 非大涅槃이며 | 응공[阿羅訶]도 정변지(正徧知)도 아니며, |
| 비아라하 삼야삼보 비대열반 | 대열반(大涅槃)도 아니며, |
| 非常非樂 非我非淨이며 | 상(常)도 낙(樂)도 아니요 |
| 비상비락 비아비정 | 아(我)도 정(淨)도 아니며, |
| 以是俱非 世出世故로 | 이와 같이 세간도 출세간도 |
| 이시구비 세출세고 | 모두 아닌 까닭에 |
| 卽如來藏 元明心妙는 卽心卽空이며 | 여래장의 원래 밝은 마음의 미묘함은 |
| 즉여래장 원명심묘 즉심즉공 | 곧 마음이요 공(空)이며, |
| 卽地卽水 卽風卽火며 | 지, 수. 화, 풍이며 |
| 즉지즉수 즉풍즉화 | |
| 卽眼 卽耳鼻舌身意며 | 안, 이, 비, 설, 신, 의이며, |
| 즉안 즉이비설신의 | |
| 卽色 卽聲香味觸法이며 | 색, 성, 향, 미, 촉, 법이며, |
| 즉색 즉성향미촉법 | |
| 卽眼識界 如是乃至 卽意識界며 | 안식계이며 이와 같이 나아가 |
| 즉안식계 여시내지 즉의식계 | 의식계에 이르기까지 이며, |
| 卽明無明 明無明盡이며 | 명(明)이요 무명이며, |
| 즉명무명 명무명진 | 명과 무명이 다함이며, |
| 如是乃至 卽老卽死 卽老死盡이며 | 이렇게 나아가 |
| 여시내지 즉노즉사 즉노사진 | 노(老), 사(死), 노사진(老死盡)이며, |
| 卽苦卽集 卽滅卽道며 | 고, 집, 멸, 도이며, |
| 즉고즉집 즉멸즉도 | |
| 卽智卽得이며 | 지(智)요 득(得)이며, |
| 즉지즉득 | |
| 卽檀那 卽尸羅 卽毗梨耶 卽羼提 | 보시, 지계, 인욕, 정진, |
| 즉단나 즉시라 즉비리야 즉찬제 | |
| 卽禪那 卽缽剌若 卽波羅密多며 | 선정, 지혜, 바라밀다이며, |
| 즉선나 즉발나야 즉바라밀다 | |
| 如是乃至 卽怛闥阿竭이며 | 이렇게 나아가 여래이며, |
| 여시내지 즉달달아갈 | |
| 卽阿羅訶 三耶三菩며 卽大涅槃이며 | 응공이며, 정변지며, 대열반이며, |
| 즉아라하 삼야삼보 즉대열반 | |
| 卽常卽樂卽我卽淨이니라 | 상, 락, 아, 정이니라. |
| 즉상즉락즉아즉정 | |
| 以是俱卽世出世故로 | 이와 같이 모두가 |
| 이시구즉세출세고 | 곧 세간과 출세간의 법이기 때문에 |
| 卽如來藏 妙明心元은 | 곧 여래장의 묘명심(妙明心)의 근본은 |
| 즉여래장 묘명심원 | |
| 離卽離非요 是卽非卽이어늘 | 긍정[卽]을 떠나고, 부정[非]도 떠나며, |
| 이즉이비 시즉비즉 | 또한 즉(卽)이요 즉이 아니거늘 |
| 如何世間 三有衆生 及出世間 聲聞緣覺이 | 어떻게 세간의 삼유(三有)중생과 |
| 여하세간 삼유중생 급출세간 성문연각 | 출세간의 성문연각(聲聞緣覺)들이 |
| 以所知心으로 測度如來 無上菩提하고 | 그의 아는 마음으로 |
| 이소지심 측도여래 무상보리 | 여래의 무상보리를 측량하여 |
| 用世語言하야 入佛知見고 | 세간의 언어로 |
| 용세어언 입불지견 | 부처님의 지견(知見)에 들어가겠느냐? |
| 譬如琴瑟 箜篌琵琶가 雖有妙音이라도 | 비유컨대 마치 거문고, 공후, 비파가 |
| 비여금슬 공후비파 수유묘음 | 비록 묘음을 지녔다 하나 |
| 若無妙指면 終不能發인달하야 | 만약 오묘한 손가락이 없다면 |
| 약무묘지 종무능발 | 결코 소리를 낼 수 없듯이 |
| 汝與衆生도 亦復如是하야 | 너와 중생들도 그와 같아서 |
| 여여중생 역부여시 | |
| 寶覺眞心이 各各圓滿이언만 | 보각진심(寶覺眞心)이 |
| 보각진심 각각원만 | 저마다 원만하건만 |
| 如我按指하면 海印發光하고 | 내가 손가락을 짚으면 |
| 여아안지 해인발광 | 해인(海印)의 빛이 발하지만 |
| 汝暫擧心하야도 塵勞先起하니 | 너는 잠시만 마음을 두어도 |
| 여잠거심 진로선기 | 번뇌가 먼저 일어나거니와, |
| 由不勤求無上覺道하고 | 이는 무상각도(無上覺道)를 |
| 유부동구무상각도 | 힘써 구하지 않고 |
| 愛念小乘하야 得少爲足이니라 | 소승(小乘)을 좋아하여 |
| 애념소승 득소위족 | 적은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이니라. |
| 富樓那言호대 我與如來가 寶覺圓明하야 | 부루나가 말했다. “저나 여래나 |
| 부루나언 아여여래 보각원명 | 보각(寶覺)이 원명(圓明)하여 |
| 眞妙淨心은 無二圓滿이언만 | 참된 묘정심(妙淨心)은 |
| 진묘정심 무이원만 | 둘도 없이 원만하건만 |
| 而我昔遭 無始妄想하야 久在輪廻일새 | 저는 옛부터 무시(無始)의 망상을 만나 |
| 이아석조 무시망상 구재윤회 | 오랫동안 윤회하는 데에 있었기에 |
| 今得聖乘이라도 猶未究竟어니와 | 지금 성승(聖乘)을 얻었으나 |
| 금득성승 유미구경 | 오히려 구경치 못하거니와 |
| 世尊은 諸妄一切圓滅하사 | 세존께서는 모든 망상이 다 없어져서 |
| 세존 제망일체원멸 | |
| 獨妙眞常이시니 敢問如來하옵건대 | 홀로 묘하고 진실로 항상하시니 |
| 독묘진상 감문여래 | 감히 여래께 여쭙건대, |
| 一切衆生은 何因有妄하야 | 일체중생은 |
| 일체중생 하인유망 | 무슨 인으로 망념이 있어서 |
| 自蔽妙明하고 受此淪溺이닛가 | 스스로 묘명(妙明)을 가리우고, |
| 자폐묘명 수차륜익 | 이렇게 윤회에 빠지게 되었나이까?” |
| 佛告富樓那하사대 | 부처님이 부루나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부루나 | |
| 汝雖除疑나 餘惑未盡이니 | “네가 비록 의심은 제거하였으나 |
| 여수제의 여혹미진 | 나머지 의혹이 다하지 못했으니 |
| 吾以世間現前諸事로 今復問汝하노니 | 내가 세간에 현재하는 |
| 오이세간현전제사 금부문여 | 여러가지 일로고 이제 다시 네게 묻나니 |
| 汝豈不聞가 室羅城中 演若達多가 | 너는 어찌 듣지 못하였느냐? |
| 여기불문 실라성중 연야달다 | 실라벌성의 연야달다(演若達多)가 |
| 忽於晨朝에 以鏡照面이라가 | 새벽에 홀연히 |
| 홀어신조 이경조면 | 거울로 얼굴을 비추어 보다가 |
| 愛鏡中頭 眉目可見어니와 | 거울 속의 머리에서는 |
| 애경중두 미목가견 | 눈썹과 눈이 보이는데 |
| 瞋責己頭 不見面目하야 | 자기 머리에서는 |
| 진책기두 불견면목 | 얼굴과 눈을 볼 수 없으니 화를 내며 |
| 以爲魑魅無狀하야 狂走라하니 | 형상없는 도깨비라고 여겨 |
| 이위리매무상 광주 | 미친듯 달아났다 하니, |
| 於意云何오 | 어떻게 생각하느냐? |
| 어의운하 | |
| 此人은 何因無故狂走가 | 이 사람은 무엇 때문에 |
| 차인 하인무고광주 | 까닭없이 미쳐 달아났겠느냐?” |
| 富樓那言호대 是人心狂이요 | 부루나가 말했다. |
| 부루나언 시인심광 | “그 사람은 마음이 미친 것이옵고 |
| 更無他故니다 | 다른 까닭은 없겠나이다.” |
| 갱무타고 | |
| 佛言하사대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 |
| 妙覺明圓하야 本圓明妙커늘 | “묘각(妙覺)이 원명(明圓)하여 |
| 묘각원명 본원묘명 | 본래 뚜렷하고 명묘(明妙)하거늘 |
| 旣稱爲妄인댄 云何有因이며 | 기왕에 허망이라 일컫는데 |
| 기칭위망 운하유인 | 무슨 인(因)이 있을 것이며, |
| 若有所因인댄 云何名妄가 | 만일 인이 있다면 |
| 약유소인 운하명망 | 어찌 망(妄)이라 하겠느냐? |
| 自諸妄想이 展轉相因하야 | 스스로의 모든 망상이 |
| 자제망상 전전상인 | 서로 인이 되어가고 |
| 從迷積迷하고 以歷塵劫이라 | 미혹에서 미혹을 쌓아 |
| 종미적미 이력진겁 | 겁을 다해왔으니, |
| 雖佛發明이나 猶不能返이니라 | 비록 부처님이 밝혀주신다 해도 |
| 수불발명 유불능반 | 도저히 돌이킬 수 없는 것이니라. |
| 如是迷因은 因迷自有라 | 이와 같이 미혹의 인은 |
| 여시미인 인미자유 | 미혹으로 인해 스스로 있는 것이니, |
| 識迷無因하면 妄無所依하야 | 미혹에 인이 없음을 알면 |
| 식미무인 망무소의 | 망념이 의지할 데가 없어서 |
| 尙無有生이어늘 欲何爲滅가 | 오히려 생(生)도 없거늘 |
| 상무유생 욕하위멸 | 무엇을 멸(滅)하려 하겠느냐? |
| 得菩提者가 如寤時人이 | 보리를 얻는 것은 |
| 득보리자 여오시인 | 마치 잠을 깬 사람이 |
| 說夢中事인달하야 心縱精明이로되 | 꿈속의 일을 이야기하는 것과 같아서 |
| 설몽중사 심종정명 | 마음에는 분명하다지만 |
| 欲何因緣으로 取夢中物이며 | 무슨 인연으로 |
| 욕하인연 취몽중물 | 꿈속의 물건을 취하려 할 것이며, |
| 況復無因 本無所有가 | 하물며 인이 없어서 |
| 황부무인 본무소유 | 본래부터 있지 않은 것이겠느냐? |
| 如彼城中 演若達多하야 | 마치 저 실라벌성의 연야달다와 같나니 |
| 여피성중 연야달다 | |
| 豈有因緣하야 自怖頭走가 | 어찌 인연이 있어서 |
| 기유인연 자포두주 | 스스로 머리를 무서워 하며 달아났겠느냐? |
| 忽然狂歇이라도 頭非外得이요 | 홀연히 광증이 그치더라도 |
| 홀연광헐 두비외득 | 머리가 밖에서 얻어질 것도 아니요, |
| 縱未歇狂이라도 亦何遺失가 | 광증이 그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
| 종미헐광 역하유실 | 어찌 잃어버려 지겠느냐? |
| 富樓那야 妄性如是어늘 因何爲在가 | 부루나야, 망(妄)의 성품이 이와 같은데 |
| 부루나 망성여시 인하위재 | 인(因)이 어디에 있겠느냐? |
| 汝旦不隨分別 世間業果衆生의 | 네가 다만 세간, 업과(業果), 중생의 |
| 여단불수분별 세간업과중생 | 세 가지 지속되는 것들을 |
| 三種相續하면 | 쫓아 분별하지만 않는다면 |
| 삼종상속 | |
| 三緣斷故로 三因不生하야 | 살도음(殺盜淫)의 삼연(三緣)이 |
| 삼연단고 삼인불생 | 끊어지기 때문에 삼인(三因)도 생기지 않아서 |
| 則汝心中 演若達多의 狂性自歇하리라 | 곧 네 마음 속의 연야달다 같은 |
| 즉여심중 연야달다 광성자헐 | 미친 성품이 저절로 그칠 것이며, |
| 歇卽菩提 勝淨明心이 | 그치면 곧 보리의 |
| 궐즉보리 승정명심 | 수승하고 정명한 마음[勝淨明心]이 |
| 本周法界라 不從因得이어늘 | 본래 법계에 두루한 것이라 |
| 본주법계 부종인득 | 인(因)에서 얻어질 것이 아니거늘 |
| 何籍劬勞肯綮修證이리요 | 어찌 애써 뼈를 깎는 수고하며 |
| 하적구로긍계수증 | 닦고 증득하려 하겠느냐? |
| 譬如有人이 於自衣中에 繫如意珠로되 | 마치 어떤 사람이 자기의 옷 속에 |
| 비여유인 어자의중 계여의주 | 여의주가 들어 있는데도 |
| 不自覺知하고 窮露他方 乞食馳走커니와 | 알지 못하고 가난하게 타향에서 |
| 부자각지 궁로타방 걸식치주 | 걸식하며 돌아 다니는데, |
| 雖實貧窮이나 珠不曾失일새 | 비록 실로 가난하기는 하나 |
| 수실빈궁 주부증실 | 여의주를 잃어버린 적이 없기 때문에 |
| 忽有智者가 指示其珠하면 | 홀연히 어떤 지혜로운 이가 |
| 홀유지자 지시기주 | 그 여의주를 가리켜 주면 |
| 所願從心하야 致大饒富하며 | 원하는 마음대로 큰 부자가 되고 |
| 소원종심 치대요부 | |
| 方悟神珠가 非從外得인달하니라 | 비로소 그 신통한 구슬이 밖에서 얻어진 |
| 방오신주 비종외득 |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는 것과 같으니라. |
| 卽時阿難이 在大衆中이라가 | 그 때 아난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
| 즉시아난 재대중중 | |
| 頂禮佛足하고 起立白佛호대 |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
| 정례불족 기립백불 | 일어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
| 世尊現說 殺盜淫業의 | “세존께서 지금 말씀하시기를, |
| 세존현설 살도음업 | '살도음(殺盜淫) 업의 |
| 三緣斷故로 三因不生하야 | 세 연이 끊어짐으로써 |
| 삼연단고 삼인불생 | 삼인(三因)이 생기지 않고 |
| 心中達多 狂性自歇하고 | 마음에 연야달다의 |
| 심중달다 광성자헐 | 미친 성품이 자연히 그치고 |
| 歇卽菩提라 不從人得이라하시니 | 그치면 곧 보리인 것이라 |
| 헐즉보리 부종인득 | 사람에게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하셨는데 |
| 斯則因緣 皎然明白하거늘 | 이것이 인연(因緣)임이 분명한데, |
| 사즉인연 교연명백 | |
| 云何如來는 頓棄因緣하시닛가 | 어찌하여 여래께서는 |
| 운하여래 동기인연 | 갑자기 인연을 버리시나이까? |
| 我從因緣하야 心得開悟어니와 | 저도 인연을 쫓아 |
| 아종인연 심득개오 | 마음이 열려 깨달음을 얻었거니와 |
| 世尊하 此義가 | 세존이시어! 이 이치가 |
| 세존 차의 | |
| 何獨我等 年少有學聲聞이릿고 | 어찌 유독 저희 나이 어린 |
| 하독아등 년소유학성문 | 배워야 할 성문들 뿐이오리까! |
| 今此會中 大目犍蓮及舍利弗須菩提等도 | 지금 이 자리의 대목건련과 |
| 금차회중 대목건련급사리불수보리등 | 사리불과 수보리 등도 |
| 從老梵志하야 聞佛因緣하고 | 늙은 범지(梵志)였다가 |
| 종노범지 문불인연 | 부처님의 인연법을 듣고서 |
| 發心開悟하야 得成無漏언만 | 발심하고 깨달아 |
| 발심개오 득성무루 | 무루(無漏)를 이루었건만 |
| 今說菩提가 不從因緣이라하신댄 | 이제와서‘보리가 인연에서 |
| 금설보리 부종인연 |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하신다면 |
| 則王舍城 拘舍離等의 | 그것은 왕사성의 |
| 즉왕사성 구사리등 | 구사리(拘舍離) 등이 말하는 |
| 所說自然 成第一義리니 | ‘자연(自然)이 제일의(第一義)가 |
| 소설자연 성제일의 | 되어버릴 것이오니 |
| 惟垂大悲하사 開發迷悶하소서 | 바라옵건대 대비를 베푸시어 |
| 유수대비 개발미민 | 저희들의 미민(迷悶)을 열어주소서!” |
| 佛告阿難하사대 卽如城中 演若達多의 |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아난 즉여성중 연야달다 | “마치 저 성중 연야달다의 |
| 狂性因緣이 若得滅除하면 | 미친 성품의 인연이 소멸하면 |
| 광성인연 약득멸제 | |
| 則不狂性이 自然而出인달하야 | 곧 미치지 않은 본성이 |
| 즉불광성 자연이출 | 자연스럽게 드러나듯이 |
| 因緣自然 理窮於是니라 | 인연이다 자연이다 하는 이론이 |
| 인연자연 이궁어시 | 여기에서 끝날 것이니라. |
| 阿難아 演若達多 頭本自然인댄 | 아난아! 연약달다의 머리가 |
| 아난 연야달다 두본자연 | 본래 자연이라면 |
| 本自其然하야 無然非自어늘 | 본래부터 스스로 그러한 것이어서 |
| 본자기연 무연비자 | 자연 아닌 것이 없을 터인데, |
| 何因緣故로 怖頭狂走며 | 무슨 인연으로 머리가 무서워 |
| 하인연고 포두광주 | 미쳐 달아났겠으며, |
| 若自然頭가 因緣故狂인댄 | 만약 자연인 머리가 |
| 약자연두 인연고광 | 인연 때문에 미쳤다면 |
| 何不自然이 因緣故失가 | 어찌하여 자연인 머리가 인연 때문에 |
| 하불자연 인연고실 | 잃어지지는 않았느냐? |
| 本頭不失어늘 狂怖妄出인댄 | 본래 머리는 잃어버리지 않았는데 |
| 본두불실 광포망출 | 광포(狂怖)가 허망하게 생겼다면 |
| 曾無變易이니 何籍因緣가 |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으니 |
| 증무변역 하적인연 | 어찌 인연을 쫓았다 하겠느냐? |
| 本狂自然인댄 本有狂怖니 | 본래 미친 것이 자연이라면 |
| 본광자연 본유광포 | 본래 광포가 있다는 것이니 |
| 未狂之際에 狂何所潛고 | 아직 미치지 않았을 때에는 |
| 미광지제 광하소잠 | 그 광포는 어디에 숨어 있었느냐? |
| 不狂自然인댄 頭本無妄이어늘 | 미치지 않은 것이 자연이라면 |
| 불광자연 두본무망 | 머리가 본래 잘못된 것이 아닌데 |
| 何爲狂走가 | 어찌하여 미쳐 달아나게 되었느냐? |
| 하위광주 | |
| 若悟本頭하야 識知狂走하면 | 만약 본래의 머리를 깨달아 |
| 약오본두 식지광주 | 미쳐서 달아났던 일을 인식하게 되면 |
| 因緣自然이 俱爲戱論일새 | ‘인연이다, 자연이다’하는 말이 |
| 인연자연 구위희론 | 모두 희론이 될 것이기에 |
| 是故我言 三緣斷故로 卽菩提心하니라 | 그러므로 내가 삼연이 끊어지므로 |
| 시고아언 삼연단고 즉보리심 | 곧 보리심이라 한 것이니라. |
| 菩提心生이면 生滅心滅이니 此但生滅이요 | 보리심이 생기면 생멸심은 멸했으리니 |
| 보리심생 생멸심멸 차단생멸 | 이것도 다만 생멸일 뿐이요 |
| 滅生俱盡하야 無功用道어늘 | 멸과 생이 모두 다하여 |
| 멸생구진 무공용도 | 공용(功用)의 길이 없는데 |
| 若有自然인댄 如是則明하야 | 자연이 있다 한다면 |
| 약유자연 여시즉명 | 이것은 곧 분명히 |
| 自然心生 生滅心滅이니 此亦生滅이며 | 자연심이 생기고 생멸심이 멸한 것이니 |
| 자연심생 생멸심멸 차역생멸 | 이 또한 생멸인 것이며, |
| 無生滅者가 名爲自然인댄 | 생멸이 없는 것을 |
| 무생멸자 명위자연 | 자연이라 한다면 |
| 猶如世間 諸相雜和하야 | 마치 세간에서 |
| 유여세간 제상잡화 | 모든 것들이 잡다하게 섞여 |
| 成一體者를 名和合性하고 | 일체(一體)를 이룬 것을 |
| 성일체자 명화합상 | 화합성(和合性)이라 하고 |
| 非和合者를 稱本然性인달하야 | 화합하지 않은 것을 |
| 비화합자 칭본연성 | 본연성(本然性)이라 하는 것과 같아서 |
| 本然非然과 和合非合의 | 본연이다, 본연이 아니다, |
| 본연비연 화합비합 | 화합이다, 화합이 아니다 하는 |
| 合然俱離하고 離合俱非라사 | 화합이나 본연을 다 떠나고 |
| 합연구리 이합구비 | 떠났다, 안 떠났다도 다 아니어야 |
| 此句方名 無戱論法이니라 | 이것을 비로소 |
| 차구방명 무희론법 | 희론 없는 법이라 할 것이니라. |
| 菩提涅槃 尙在遙遠하야 | 보리와 열반이 아직 요원하여 |
| 보리열반 상재요원 | |
| 非汝歷劫에 辛勤修證이며 | 네가 여러 겁동안 |
| 비여역겁 신근수증 | 힘써 닦아 증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
| 雖復憶持 十方如來 十二部經의 | 비록 다시 시방여래 12부 경의 |
| 수부억지 시방여래 십이부경 | |
| 淸淨妙理호미 如恒河沙라도 | 청정한 묘리(妙理)를 기억해 지니기를 |
| 청정묘리 여항하사 | 항하사와 같이 하더라도 |
| 秖益戱論이니라 | 희론만 더할 뿐이니라. |
| 지익희론 | |
| 汝雖談說 因緣自然호미 決定明了하야 | 네가 비록 인연과 자연을 설명하는 것이 |
| 여수담설 인연자연 결정명료 | 결정코 분명하여 |
| 人間稱汝하야 多聞第一이로되 | 사람들이 그대를 |
| 인간칭여 다문제일 | '다문제일(多聞第一)이라 하지만 |
| 以此積劫 多聞薰習으로 | 이렇게 여러 겁 동안 |
| 이차적겁 다문훈습 | 다문하여 익힌 보람으로도 |
| 不能免離 摩登伽難하고 | 마등가(摩登伽)의 수난을 면치 못하고 |
| 불능면리 마등가난 | |
| 何因待我佛頂神呪코사 | 무슨 인으로 나의 |
| 하인대아불정신주 | 불정신주(佛頂神呪)를 의지하고서야 |
| 摩登伽心 淫火頓歇하고 | 마등가 마음 속의 |
| 마등가심 음화돈헐 | 음탕한 불길이 단박에 그치고 |
| 得阿那含하야 於我法中 成精進林하고 | 아나함 과를 얻어 |
| 득아나함 어아법중 성정진림 | 나의 법 안에서 정진림을 이루었으며, |
| 愛河乾枯하야 令汝解脫고 | 애욕의 강이 말라붙어 |
| 애하건고 영여해탈 | 너로 하여금 해탈케 하였느냐? |
| 是故로 阿難아 汝雖歷劫에 | 그러므로 아난아, |
| 시고 아난 여수역겁 | 네가 비록 여러 겁 동안 |
| 憶持如來秘密妙嚴이라도 | 여래의 비밀하고 미묘한 장엄을 |
| 억지여래비밀묘엄 | 기억하여 지녔더라도 |
| 不如一日에 修無漏業하야 | 하룻 동안 무루업을 닦아서 |
| 불여일일 수무루업 | |
| 遠離世間 憎愛二苦니라 | 세간의 애증의 두 고통을 |
| 원리세간 증애이고 | 멀리 여의는 것만 못하느니라. |
| 如摩登伽는 宿爲淫女로대 | 마등가는 숙세에 음녀이지만 |
| 여마등가 숙위음녀 | |
| 由神呪力으로 銷其愛慾하야 | 신주의 힘으로 |
| 유신주력 소기애욕 | 애욕이 소멸되어 |
| 法中今名 性比丘尼하며 | 나의 법 안에서 이제 |
| 법중금명 성비구니 | 성비구니(性比丘尼)라 하며, |
| 與羅睺羅母 耶輸多陀羅로 同悟宿因하야 | 라후라의 모친인 야수다라와 |
| 여라후라모 야수다라 동오숙인 | 함께 숙인(宿因)을 깨달아 |
| 知歷世因 貪愛爲苦하고 | 여러 세상의 인(因)이 |
| 지력세인 탐애위고 | 탐애로 고(苦)가 된 줄을 알고 |
| 一念薰修 無漏善故로 | 일념으로 무루의 선업을 |
| 일념훈수 무루선고 | 닦아 익혔기 때문에 |
| 惑得出纏 惑蒙授記어늘 | 얽매임에서 벗어나거나 |
| 혹득출계 혹몽수기 | 혹은 수기를 받았거늘 |
| 如何自歎하야 尙留觀聽고 | 너는 어째서 자탄만 하며 |
| 여하자탄 상유관청 | 보고 듣는 데에만 머물러 있느냐?" |
| 阿難及諸大衆이 聞佛示誨하고 | 아난과 대중들이 |
| 아난급제대중 문불시회 |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
| 疑惑銷除하야 心悟實相하야 | 의혹이 소멸해 없어지고 |
| 의혹소제 심오실상 | 마음으로 실상법을 깨달아 |
| 身意輕安하야 得未曾有하고 | 몸과 마음이 경안(輕安)하여 |
| 신의경안 득미증유 | 미증유를 얻고서 |
| 重復悲淚하며 頂禮佛足하고 | 거듭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
| 중부비루 정례불족 | 부처님의 발에 정례하고 |
| 長跪合掌하야 而白佛言호대 | 무릅 꿇고 합장하여 |
| 장궤합장 이백불언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無上大悲淸淨寶王이 善開我心하시고 | “위없는 대비의 청정 보배왕께서 |
| 무상대비청정보왕 선개아심 | 저의 마음을 잘 열어 주시고, |
| 能以如是種種因緣方便으로 提獎하사 | 이러한 갖가지 인연과 |
| 능이여시종종인연방편 제장 | 방편으로 이끄시어 |
| 引諸沈冥하야 出於苦海니다 | 모든 어둠 속에서 인도하여 |
| 인제침명 출어고해 | 고해를 벗어나게 하셨나이다. |
| 世尊하 我今雖承如是法音하고 |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비록 |
| 세존 아금수승여시법음 | 이러한 법음을 듣고 |
| 知如來藏 妙覺明心이 遍十方界하야 | 여래장의 묘각명심(妙覺明心)이 |
| 지여래장 묘각명심 변시방계 | 시방세계에 두루하여 |
| 含育如來 十方國土의 淸淨寶嚴한 | 여래의 시방국토에 있는 |
| 함육여래 시방국토 청정보엄 | 청정보배로 장엄한 |
| 妙覺王刹이언만 | 묘각왕찰(妙覺王刹)을 |
| 묘각왕철 | 함유하고 있음을 알았사오나 |
| 如來復責 多聞無功하야 不逮修習하시니 | 여래께서 다시 '다문이 공(功)이 없어서 |
| 여래부책 다문무공 부체수습 | 닦아 익힘만 못하다' 책망하시니 |
| 我今猶如 旅泊之人이 | 저는 지금 마치 떠돌던 사람이 |
| 아금유여 여박지인 | |
| 忽蒙天王 賜以華屋이니다 | 홀연히 천왕이 내리신 |
| 홀몽천왕 사이화옥 | 화려한 집을 받은 것 같사옵니다. |
| 雖獲大宅이나 要因門入하오니 | 비록 큰 집을 얻었다 하나 |
| 수획대택 요인문입 | 들어갈 문이 필요하오니 |
| 唯願如來는 不捨大悲하시고 | 바라옵건대 여래께서는 |
| 유원여래 불사대비 | 대비를 버리지 마시고 |
| 示我在會 諸蒙暗者로 捐捨小乘하고 | 이 회중의 깜깜한 꿈 속에 |
| 시아재회 제몽암자 연사소승 | 있는 이들이 소승을 버리고 |
| 必獲如來 無餘涅槃의 本發心路토록 | 반드시 여래의 무여열반을 위해 |
| 필획여래 무여열반 본발심로 | 본래 발심한 길을 갈 수 있도록 |
| 令有學者로 從何攝伏 疇昔攀緣하야사 | 배우는 이들이 어떻게 과거의 반연을 |
| 영유학자 종하섭복 주석반연 | 섭수하고 극복하여야 |
| 得陀羅尼하고 入佛知見인가하소서 | 다라니를 얻고 부처님의 지견에 |
| 득다라니 입불지견 | 들어가는지 열어보여 주소서." |
| 作是語已에 五體投地하고 |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하여 |
| 작시어이 오체투지 | |
| 在會一心으로 佇佛慈旨러라 | 회중에서 일심으로 |
| 재회일심 저불자지 | 부처님의 자비하신 말씀을 기다렸다. |
| 爾時世尊이 哀愍會中 緣覺聲聞의 | 이때 세존께서 회중의 성문 연각들로서 |
| 이시세존 애민회중 연각성문 | |
| 於菩提心에 未自在者하시고 | 보리심에 아직 자재하지 못한 이들을 |
| 어보살심 미자재자 | 측은히 여기시고 |
| 及為當來 佛滅度後 | 또 닥쳐올 부처님 멸도하신 뒤 |
| 급위당래 불멸도후 | |
| 末法眾生 發菩薩心하시며 | 말법시대 중생으로서 |
| 말법중생 발보살심 | 보살심을 낸 이들을 위하시며, |
| 開無上乘 妙修行路하사 | 무상승(無上乘)에 나아갈 |
| 개무상승 묘수행로 | 미묘한 수행의 길을 여시어 |
| 宣示阿難 及諸大眾하사대 | 아난과 대중들에게 펼쳐 보이셨다. |
| 선시아난 급제대중 | |
| 汝等이 決定發菩提心하야 | "너희가 결정코 보리심을 내서 |
| 여등 결정발보리심 | |
| 於佛如來 妙三摩提에 不生疲惓인댄 | 부처님 여래의 미묘한 삼마제에 |
| 어불여래 묘삼마제 불생피권 | 싫증을 느끼지 않으려면 |
| 應當先明 發覺初心 二決定義라사하리니 | 응당 먼저 각을 일으키려는 초심에 |
| 응당선명 발각초심 이결정의 | 두 가지 결정한 뜻을 밝혀야 할 것이니 |
| 云何初心 二義決定고 | 무엇이 그 초심의 |
| 운하초심 이의결정 | 두 가지 뜻의 결정함이겠느냐? |
| 阿難아 第一義者는 | 아난아, 첫째는 |
| 아난 제일의자 | |
| 汝等이 若欲捐捨聲聞하고 | 너희가 만일 성문을 버리고 |
| 여등 약욕연사성문 | |
| 修菩薩乘하야 入佛知見인댄 | 보살승을 닦아서 |
| 수보살승 입물지견 | 부처의 지견에 들어가고자 한다면 |
| 應當審觀 因地發心이 與果地覺으로 | 응당 인지(因地)의 발심이 |
| 응당심관 인지발심 여과지각 | 과지(果地)의 깨달음과 |
| 爲同爲異아하라 | 동일한지 다른지를 |
| 위동위이 | 자세히 살펴야 하느니라. |
| 阿難아 若於因地에 以生滅心爲本修因하야 | 아난아, 만일 인지에서 |
| 아난 약어인지 이생멸심 위본수인 | 생멸심으로 근본 수행인을 삼고 |
| 以求佛乘不生不滅은 無有是處니라 | 불승(佛乘)의 불생불멸을 구하려는 것은 |
| 이구불승불생불멸 무유시처 | 옳지 않으니라. |
| 以是義故로 汝當照明 諸器世間하라 | 이러한 의미에서 너는 마땅히 |
| 이시의고 여당조명 제기세간 | 기세간(器世間)을 분명히 보아라. |
| 可作之法이 皆從變滅이니 | 만들어진 법은 다 변해 없어지느니라. |
| 가작지법 개종변멸 | |
| 阿難아 汝觀世間 可作之法하라 | 아난아, |
| 아난 여관세간 가작지법 | 네가 보기에 세간의 만들어진 법 중에 |
| 誰爲不壞오 | 무엇이 무너지지 않더냐? |
| 수위불괴 | |
| 然終不聞 爛壞虛空이니 何以故오 | 그러나 허공이 허물어졌다는 말은 |
| 연종불문 난괴허공 하이고 | 듣지 못하였으니, 왜냐하면 |
| 空非可作일새 由是始終 無壞滅故니라 | 허공은 본래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
| 공비가작 유시시종 무괴멸고 | 처음부터 끝까지 괴멸하지 않는 것이니라. |
| 則汝身中의 堅相爲地 潤習爲水요 | 너의 몸 가운데 단단한 것은 흙으로 되고, |
| 즉여신중 견상위지 윤습위수 | 축축한 것은 물로 되었으며, |
| 煖觸爲火 動搖爲風이니 | 따뜻한 느낌은 불로 되고, |
| 난촉위화 동요위풍 | 움직이는 것은 바람으로 된 것인데 |
| 由此四纏이 分汝湛圓妙覺明心하야 | 이 4대의 얽힘 때문에 너의 맑고 원만한 |
| 유차사전 분여담원묘각명심 | 묘각명심(妙覺明心)이 나뉘어 |
| 爲視爲聽하며 爲覺爲察하야 | 보고 듣고 깨닫고 살피게 되니 |
| 위시위청 위각위찰 | |
| 從始入終 五疊渾濁이니라 | 처음부터 끝까지 |
| 종시입종 오첩혼탁 | 다섯 겹으로 혼탁한 것이니라. |
| 云何爲濁가 阿難아 | 어떤 것을 혼탁이라 하겠느냐? |
| 운하위탁 아난 | 아난아, |
| 譬如淸水가 淸潔本然하고 | 마치 맑은 물이 청결한 그대로이고 |
| 비여청수 청결본연 | |
| 卽彼塵土 灰沙之倫은 本質留礙하야 | 저 진토(塵土)나 회사(灰沙) 따위는 |
| 즉피진토 회사지륜 본질유애 | 본질이 유애(留碍)하여 |
| 二體法爾 性不相循이어든 | 두 가지의 성품이 |
| 이체법이 성불상순 | 서로 같지 않은데 |
| 有世間人이 取彼土塵하야 投於淨水하면 | 어떤 사람이 그 진토를 취해 |
| 유세간인 취피토진 투어정수 | 맑은 물에 던지면 |
| 土失留礙하고 水亡淸潔하야 | 흙은 유애함을 잃고 |
| 토실유애 수망청결 | 물을 청결함을 잃어서 |
| 容貌汩然하면 明之爲濁이니 | 모양이 흐리터분해지면 |
| 용모율연 명지위탁 | 맑음이 탁(濁)해지듯이 |
| 汝濁五重도 亦復如是하니라 | 너의 오탁(五濁)도 그와 같느니라. |
| 여탁오중 역부여시 | |
| 阿難아 汝見虛空遍十方界에 | 아난아, |
| 아난 여견허공변시방계 | 네가 보듯이 허공이 시방계에 두루하되 |
| 空見不分하야 有空無體요 | 허공과 견(見)이 구분되지 않아서 |
| 공견불분 유공무체 | 허공은 체(體)가 없고 |
| 有見無覺이어든 相織妄成이면 | 견은 각(覺)이 없는데 |
| 유견무각 상직망성 | 서로 어울려 허망한 것을 이루면 |
| 是第一重 名爲劫濁이니라 | 이것이 제 1중(一重)으로서 |
| 시제일중 명위겁탁 | 겁탁(劫濁)이라 하느니라. |
| 汝身現搏 四大爲體어니와 | 너의 몸은 지금 사대가 뭉쳐 |
| 여신현박 사대위체 | 체(體)를 이루었는데 |
| 見聞覺知를 壅令留礙하고 | 견문각지(見聞覺知)를 막아 |
| 견문각지 옹령유애 | 유애(留碍)케 하고 |
| 水火風土를 旋令覺知하야 相織妄成하면 | 사대를 돌려 깨달아 알게 함으로써 |
| 수화풍토 선령각지 상직망성 | 서로 어울려 허망한 것을 이루면 |
| 是第二重 名爲見濁이니라 | 이것이 제 2중(二重)으로서 |
| 시제이중 명위견탁 | 견탁(見濁)이라 하느니라. |
| 又汝心中에 憶識誦習하고 | 또 너의 마음 속에 기억하고 |
| 우여심중 억식송습 | 인식하고 외우고 익혀 |
| 性發知見하고 容現六塵하나니 | 성품은 지견을 일으키고 |
| 성발지견 용현육진 | 모양은 육진(六塵)을 나타내나니 |
| 離塵無相 離覺無性이어든 | 진(塵)을 여의면 상(相)이 없고 |
| 이진무상 이각무성 | 각(覺)을 여의면 성품이 없는데 |
| 相織妄成하면 | 서로 어울려 허망한 것을 이루면 |
| 상직망성 | |
| 是第三重 名爲煩惱濁이니라 | 이것이 제 3중(三重)으로서 |
| 시제삼중 명위번뇌탁 | 번뇌탁(煩惱濁)이라 하느니라. |
| 又汝朝夕에 生滅不停하야 | 또 네가 조석으로 |
| 우여조석 생멸부정 | 생멸이 멈추지 아니하여 |
| 知見每欲留於世間하고 | 지견은 늘 세간에 머물려 하고, |
| 지견매욕유어세간 | |
| 業運每常 遷於國土어든 相織妄成하면 | 업의 흐름은 늘 국토로 옮겨가려 하면서 |
| 업운매상 천어국토 상직망성 | 서로 어울려 허망한 것을 이루면 |
| 是第四重 名衆生濁이니라 | 이것이 제 4중(四重)으로서 |
| 시제사중 명중생탁 | 중생탁(衆生濁)이라 하느니라. |
| 汝等見聞은 元無異性이언만 | 너희의 견(見)과 문(聞)은 |
| 여등견문 원무이성 | 원래 다른 성품이 없건만 |
| 衆塵隔越하야 無狀異生이라 | 온갖 번뇌가 가로막아 |
| 중진격월 무상이생 | 까닭이 없이 다른 성품이 생기는 것이며 |
| 性中相知나 用中相背하야 | 성품 가운데서는 서로 가깝지만 |
| 성중상지 용중상배 | 작용에서는 서로 등져서 |
| 同異失準이어든 相織妄成하면 | 같고 다름의 표준이 없는데 |
| 동이실준 상직망성 | 서로 어울려 허망한 것을 이루면 |
| 是第五重 名爲命濁이니라 | 이것이 제 5중(五重)으로서 |
| 시제오중 명위명탁 | 명탁(命濁)이라 하느니라. |
| 阿難아 汝今欲令見聞覺知로 | 아난아, |
| 아난 여금욕령견문각지 | 네가 이제 견문각지로 하여금 |
| 遠契如來 常樂我淨인댄 | 여래의 상(常),락(樂),아(我),정(淨)에 |
| 원계여래 상락아정 | 계합하게 하려거든 |
| 應當先擇 死生根本하고 | 응당 먼저 생사의 근본을 가리고 |
| 응당선택 사생근본 | |
| 依不生滅 圓湛性成이니 | 불멸하지 않는 원담(圓湛)한 성품에 |
| 의불생멸 원담성성 | 의지하여 이루어야 하나니 |
| 以湛旋其虛妄滅生하야 伏還元覺하고 | 담연함으로 그 허망한 생멸을 돌이켜 |
| 이담선기허망멸생 복환원각 | 원각(元覺)으로 돌아오게 하고, |
| 得元明覺 無生滅性하야 爲因地心하며 | 원래의 명각(明覺)인 생멸없는 성품을 얻어 |
| 득원명각 무생멸성 위인지심 | 인지(因地)의 마음을 삼은 연후에 |
| 然後圓成果地修證이니 | 과지(果地)의 수증(修證)을 |
| 연후원성과지수증 | 원만히 성취해야 하나니, |
| 如澄濁水에 貯於靜器하야 | 흐린 물을 맑게 할 때 |
| 여징탁수 저어정기 | 고요한 그릇에 담고 |
| 靜深不動하면 沙土自沈하야 | 고요함이 깊어져 흔들리지 않으면 |
| 정심부동 사토자침 | 모래와 흙이 저절로 가라앉아서 |
| 淸水現前하면 名爲初伏客塵煩惱요 | 맑은 물이 앞에 나타나면 |
| 청수현전 명위초복객진번뇌 | '처음으로 객진번뇌를 항복 받았다’하고 |
| 去泥純水는 名爲永斷根本無明이니라 | 진흙을 버리고 순수한 물만 남으면 |
| 거니순수 명위영단근본무명 | ‘근본무명을 영원히 끊었다’ 하느니라. |
| 明相靜純하면 一切變現이 不爲煩惱하고 | 명상(明相)이 정순(靜純)하면 |
| 명상정순 일체변현 불위번뇌 | 일체가 변해 나타나도 번뇌가 되지 않고, |
| 皆合涅槃淸淨妙德하리라 | 모두가 열반의 청정한 묘덕(妙德)에 |
| 개합열반청정묘덕 | 부합하게 되느니라. |
| 第二義者는 汝等必欲 發菩提心하고 | 둘째 이치는 너희가 |
| 제이의자 여등필욕 발보리심 | 반드시 보리심을 발하여 |
| 於菩薩乘에 生大勇猛하야 | 보살승에 큰 용맹심을 내서 |
| 어보살승 생대용맹 | |
| 決定棄損 諸有爲相인댄 | 결정코 모든 유위상(有爲相)을 |
| 결정기연 제유위상 | 버리려 한다면 |
| 應當審詳 煩惱根本호대 | 응당 번뇌의 근본에 대해 |
| 응당심상 번뇌근본 | |
| 此無始來 發業潤生하나니 | 이것이 무시이래로 |
| 차무시래 발업윤생 | 업을 일으키고 생을 더하는데 |
| 誰作誰受아하라 | 무엇이 짓고 무엇이 받는지를 |
| 수작수수 | 자세히 살펴야 한다. |
| 阿難아 汝修菩提호대 | 아난아! |
| 아난 여수보리 | 네가 보리를 닦으면서 |
| 若不審觀 煩惱根本하면 | 만약 번뇌의 근본을 |
| 약불심관 번뇌근본 | 자세히 살피지 않는다면 |
| 則不能知 虛妄根塵이 何處顚倒라 | 허망한 근진(根塵)이 어디에서 |
| 즉불능지 허망근진 하처전도 | 전도되었는지 알 수 없을 것이라 |
| 處尙不知어니 云何降伏取如來位리오 | 전도된 곳을 모르는데 |
| 처상부지 운하항복취여래위 | 어떻게 항복받고 여래지위를 취하겠느냐? |
| 阿難아 汝觀世間 解決之人하라 | 아난아! 너는 세간에서 |
| 아난 여관세간 해결지인 | 매듭 푸는 사람을 보아라. |
| 不見所結인댄 云何知解리오 | 매듭이 맺힌 데를 보지 못하고서야 |
| 불견소결 운하지해 | 어떻게 풀 줄을 알겠느냐? |
| 不聞虛空이 被汝墮裂이니 | 허공을 네가 깨뜨렸다는 말은 |
| 불문허공 피여휴열 | 들어보지 못했으니 |
| 何以故오 空無相形하야 無結解故니라 | 왜냐하면 허공은 형상이 없어서 |
| 하이고 공무상형 무결해고 | 맺고 풀 것이 없기 때문이니라. |
| 則汝現前에 眼耳鼻舌 及與身心이 | 네게 현재하는 안(眼),이(耳),비(鼻),설(舌)과 |
| 즉여현전 안이비설 급여신심 | 더불어 신(身),심(心)의 |
| 六爲賊媒하야 自劫家寶하나니 | 여섯 가지가 도적을 모의하여 |
| 육위적모 자겁가보 | 집안의 재물을 겁탈하는데 |
| 由此無始 衆生世界 生纏縛故로 | 이로 인해 무시이래로 중생세계에 |
| 유차무시 중생세계 생전박고 | 얽매이기 때문에 |
| 於器世間에 不能超越이니라 | 기세간(器世間)에서 |
| 어기세간 불능초월 |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니라. |
| 阿難아 云何名爲衆生世界오 | 아난아! |
| 아난 운하명위중생세계 | 무엇을 중생세계라 하느냐? |
| 世爲遷流요 界爲方位니 | 세(世)는 변천하는 흐름[遷流]이요 |
| 세위천류 계위방위 | 계(界)는 방위(方位)이니 |
| 汝今當知하라 東西南北 東南西南과 | 너는 마땅히 알아라. |
| 여금당지 동서남북 동남서남 | 동서남북과 동남 서남과 |
| 東北西北 上下爲界하고 | 동북 서북과 |
| 동북서북 상하위계 | 상, 하가 계(界)가 되고, |
| 過去未來現在爲世하니 | 과거 미래 현재가 |
| 과거미래현재위세 | 세(世)가 되는 것이니 |
| 方位有十이요 流數有三이어든 | 방위에는 십(十)이 있고 |
| 방위위십 유수유삼 | 천류에는 삼(三)이 있는데 |
| 一切衆生이 織妄相成일새 | 일체 중생이 |
| 일체중생 직망상성 | 허망한 상을 짜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
| 身中貿遷 世界相涉이니라 | 몸 안에서 무천(貿遷)하여 |
| 신중무천 세계상섭 | 세계와 상섭(相涉)하느니라. |
| 而此界性이 設雖十方이나 | 이 계(界)의 성품이 |
| 이차계성 설수시방 | 비록 시방(十方)이라 하지만 |
| 定位可明은 世間秖目 東西南北이니 | 일정한 방위로서 분명한 것은 |
| 정위가명 세간지목 동서남북 | 세간에서는 동서남북만 지목하고, |
| 上下無位요 中無定方이니라 | 상하는 정위가 없으며 |
| 상하무위 중무정방 | 중간도 일정한 방위가 없느니라. |
| 四數必明하야 與世相涉호대 | 사방은 분명하게 |
| 사수필명 여세상섭 | 세(世)와 더불어 상섭(相涉)하되, |
| 三四四三 宛轉十二하고 | 3, 4와 4, 3이 |
| 삼사사삼 완전십이 | 완연히 12가 되고, |
| 流變三疊하야 一十百千하니 | 흘러 변함이 세 번 거듭하여 |
| ㅇ변삼첩 일십백천 | 일, 십, 백, 천이 되나니 |
| 總括始終컨대 六根之中에 | 처음과 끝을 총괄하면 |
| 총괄시종 육근지중 | 육근 가운데 |
| 各各功德이 有千二百하니라 | 각각의 공덕이 천 이백이 있느니라. |
| 각각공덕 유천이백 | |
| 阿難아 汝復於中에 克定優劣이니 | 아난아! 네가 다시 그 가운데서 |
| 아난 여부어중 극정우열 | 우열을 정하여 보아라. |
| 如眼觀見호대 後暗前明이니 | 눈으로 보는 것은 |
| 여안관견 후암전명 | 뒤는 어둡고 앞은 밝은데, |
| 前方全明하고 後方全暗하며 | 전방은 온전히 밝고 |
| 전방전명 후방전암 | 후방은 온전히 어두우며, |
| 左右傍觀은 三分之二니 | 좌우의 곁 시야는 |
| 좌우방관 삼분지이 | 3분의 2가 되나니 |
| 統論所作인댄 功德不全하야 | 통털어 지은 바를 논한다면 |
| 통론소작 공덕부전 | 공덕이 온전치 못하여 |
| 三分言功하고 一分無德일새 | 삼분(三分)으로 공덕을 말하고 |
| 삼분언공 일분무덕 | 일분(一分)은 공덕이 없으니 |
| 當知眼唯八百功德이니라 | 그러므로 눈은 오직 |
| 당지안유팔백공덕 | 팔백의 공덕임을 알아야 하느니라. |
| 如耳周聽하야 十方無遺하니 | 귀는 시방으로 두루 빠짐없이 듣는데 |
| 여이주청 시방무유 | |
| 動若邇遙나 靜無邊際하니 | 동(動)에는 가깝고 먼 것이 있는 듯 하나 |
| 동약이요 정무변제 | 정(靜)에는 한계가 없으니 |
| 當知耳根이 圓滿一千二百功德이니라 | 귀는 일천 이백의 공덕이 |
| 당지이근 원만일천이백공덕 | 원만함을 알아야 한다. |
| 如鼻嗅聞호대 通出入息하나니 | 코로 냄새를 맡는 것은 |
| 여비후문 통출입식 | 출입식(出入息)을 통하는데 |
| 有出有入하야 而闕中交하니 | 출식(出息)과 입식(入息)은 있으나 |
| 유출유입 이궐중교 | 중간에 교체되는 동안에는 끊어지니 |
| 驗於鼻根인댄 三分闕一이라 | 코에서 시험해 보면 |
| 험어비근 삼분궐일 | 3분의 1이 빈 것이라 |
| 當知鼻唯八百功德이니라 | 코는 오직 팔백의 공덕뿐임을 알아야 한다. |
| 당지비유팔백공덕 | |
| 如舌宣揚호대 盡諸世間出世間智하니 | 혀로 선양(宣揚)하기로는 |
| 여설선양 진제세간출세간지 | 세간과 출세간의 지혜를 다하나니 |
| 言有方分하나 理無窮盡이라 | 말에는 그 방법과 배분이 있으나 |
| 언유방분 이무궁진 | 이치는 다함이 없으니 |
| 當知舌根 圓滿一千二百功德이니라 | 혀는 일천 이백의 공덕이 |
| 당지설근 원만일찬이백공덕 | 원만함을 알아야 한다. |
| 如身覺觸 識於違順호대 | 몸으로 촉을 깨닫는 것은 |
| 여신각촉 식어위순 | 거스르고 순함을 인식하되 |
| 合時能覺하고 離中不知하니 | 합할 때는 알고[覺知], |
| 합시능각 이중부지 | 떨어지면 알지 못하니 |
| 離一合雙이라 | 떨어지면 하나요, |
| 이일합쌍 | 합하면 한 쌍이라 |
| 驗於身根인댄 三分闕一이니 | 신근(身根)으로 증험해 보면 |
| 험어신근 삼분궐일 | 3분의 1이 빈 것이니 |
| 當知身唯八百功德이니라 | 몸은 오직 팔백의 |
| 당지신유팔백공덕 | 공덕뿐임을 알아야 한다. |
| 如意黙容 十方三世一切世間出世間法하야 | 뜻으로는 시방삼세의 모든 세간과 |
| 여의묵용 시방삼세일체세간출세간법 | 출세간의 법을 묵연히 용납하되, |
| 惟聖與凡을 無不包容하야 盡其涯際하니 | 성인과 범부를 포용하지 못함이 없이 |
| 유성여법 무불포용 진기애제 | 그 끝까지 다하니 |
| 當知意根圓滿一千二百功德이니라 | 뜻은 천 이백의 공덕이 |
| 당지의근원만일천이백공덕 | 원만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 阿難아 汝今欲逆生死欲流하야 | 아난아! |
| 아난 여금욕역생사욕류 | 네가 이제 생사의 흐름을 거슬러 |
| 返窮流根하야 至不生滅인댄 | 흐름의 근원으로 돌아가서 |
| 반궁유근 지불생멸 | 불생멸(不生滅)에 이르고자 한다면 |
| 當驗此等 六受用根이 | 마땅히 이러한 |
| 당험차등 육수용근 | 여섯 가지로 수용하는 근[六受用根]이 |
| 誰合誰離이며 誰深誰淺이며 | 어느 것은 합하고, 어느 것은 떨어지며, |
| 수합수리 수심수천 | 어느 것은 깊고, 어느 것은 얕으며, |
| 誰爲圓通하고 誰不圓滿하야 | 어느 것은 원통(圓通)하고, |
| 수위원통 수불원만 | 어느 것은 원만치 못한 지를 증험해서 |
| 若能於此에 悟圓通根하야 | 만약 여기에서 |
| 약능어차 오원통근 | 원통의 근(根)을 깨달아 |
| 逆彼無始 織妄業流하고 得循圓通하면 | 무시이래의 허망으로 짜여진 |
| 역피무시 직망업류 득순원통 | 업류를 거슬러 원통을 따르면 |
| 與不圓根으로 日劫相倍하리라 | 원만하지 못한 근(根)과 더불어 |
| 여불원근 일겁상배 | 하루와 겁으로 배가(倍加)하리라. |
| 我今備顯 六湛圓明한 | 내가 지금 여섯 가지 |
| 아금비현 육담원명 | 맑고 원명한 성품의 |
| 本所功德의 數量如是니 | 본래 지닌 공덕의 수량을 |
| 본소공덕 수량여시 | 이와 같이 나타냈으니 |
| 隨汝詳擇 其可入者하라 | 네가 마음대로 |
| 수여상택 기가입자 | 들어갈 만한 것을 선택하라. |
| 吾當發明하야 令汝增進호리라 | 내가 마땅히 밝혀 |
| 오당발명 영여증진 | 너로 하여금 증진케 하리라. |
| 十方如來는 於十八界에 一一修行하야 | 시방의 여래는 18계에서 |
| 시방여래 어십팔계 일일수행 | 하나씩 수행하여 |
| 皆得圓滿無上菩提라 於其中間에 | 모두 무상보리를 원만히 하였기에 |
| 개득원만무상보리 어기중간 | 그 중간에 |
| 亦無優劣어니와 但汝下劣하야 | 우열이 없지만 |
| 역무우열 단여하열 | 너는 다만 하열하여 |
| 未能於中 圓自在慧일새 | 그 중에서 아직 원만하고 자재한 |
| 미능어중 원자재혜 | 지혜를 얻지 못하였으니 |
| 故我宣揚하야 令汝但於一門深入호리니 | 내가 선양하여 너로 하여금 |
| 고아선양 영여단어일문심입 | 한 문에 깊이 들어가게 하리라. |
| 入一無妄하면 彼六知根이 一時淸淨하리라 | 한 문에 들어가 허망함이 없어지면 |
| 입일무망 피육지근 일시청정 | 저 육근이 일시에 청정해지리라." |
| 阿難이 白佛言호대 世尊하 |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아난 백불언 세존 | “세존이시여, |
| 云何逆流 深入一門하야 | 어떻게 해야 흐름을 거슬러 |
| 운하역류 심입일문 | 일문(一門)으로 깊이 들어가 |
| 能令六根으로 一時淸淨이닛고 | 육근이 일시에 청정해지겠나이까?" |
| 능령육근 일시청정 | |
| 佛告阿難하사대 汝今已得 須陀洹果하야 |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아난 여금이득 수다함과 | “너는 지금 이미 수다원과를 얻어 |
| 已滅三界衆生世間의 見所斷惑이나 | 삼계의 중생세간들이 견도위(見道位)에서 |
| 이멸삼계중생세간 견소단혹 | 끊을 의혹을 멸하였으나 |
| 然猶未知根中積生한 無始虛習이니 | 아직 육근 속에 오랫동안 쌓여온 |
| 연유미지근중적생 무시허습 | 무시이래의 허습(虛習)은 알지 못하였으니 |
| 彼習要因 修所斷得이어든 | 그 습기는 수도위(修道位)에서야 |
| 피습요인 수소단득 | 끊게 될 터인데, |
| 何況此中 生住異滅의 分劑頭數아 | 하물며 어찌 그 중의 생주이멸(生住異滅)하는 |
| 하황차중 생주이멸 분제두수 | 분제(分劑)와 수량[頭數]일까보냐? |
| 今汝且觀하라 現前六根이 爲一爲六가 | 너는 또 현재의 육근이 |
| 금여차관 현전육근 위일위육 | 하나인지 여섯인지 보아라. |
| 阿難아 若言一者인댄 | 아난아, 만약 하나라면 |
| 아난 약언일자 | |
| 耳何不見하고 目何不聞이며 | 귀로는 왜 보지 못하고, |
| 이하불견 목하불문 | 눈으로는 왜 듣지 못하며, |
| 頭奚不履며 足奚無語오 | 머리로는 왜 밟지 못하고, |
| 두해불리 족해무어 | 발은 왜 말하지 못하느냐? |
| 若此六根 決定成六인댄 | 만약 육근이 결정코 여섯이라면 |
| 약차육근 결정성육 | |
| 如我今會에 與汝宣揚 微妙法門에 | 내가 지금 이 회중에서 |
| 여아금회 여여선양 미묘법문 | 너에게 미묘한 법문을 선양하면 |
| 汝之六根이 誰來領受오 | 너의 육근 중에 |
| 여지육근 수래영수 | 어느 것이 받아들이느냐?” |
| 阿難言호대 我用耳聞이니다 | 아난이 아뢰었다. |
| 아난언 아용이문 | “저는 귀로 듣나이다.” |
| 佛言하사대 汝耳自聞이어늘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 불언 여이자문 | “너의 귀가 스스로 듣는데 |
| 何關身口완대 口來問義하고 | 몸과 입은 무슨 관계가 있어서 |
| 하관신구 구래문의 | 입으로는 뜻을 묻고 |
| 身起欽承가 是故應知하라 | 몸은 일어나 공경히 받드느냐? |
| 신기흠승 시고응지 |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라. |
| 非一終六이요 非六終一이며 | ‘하나가 아님이 결국 여섯이요 |
| 비일종육 비육종일 | 여섯이 아님이 결국 하나이며 |
| 終不汝根 元一元六이니라 | 결국 너의 육근은 원래 |
| 종불여근 원일원육 | 하나도 여섯도 아니니라. |
| 阿難아 當知是根이 非一非六이언만 | 아난아, 마땅히 알아라. |
| 아난 당지시근 비일비육 | 이 근은 하나도 여섯도 아니지만, |
| 由無始來 顚倒淪替일새 | 무시이래로 전도(顚倒)되어 |
| 유무시래 전도윤체 | 빠져있기 때문에 |
| 故於圓湛에 一六義生이니 | 원담(圓湛)한 데서 하나다 여섯이다 하는 |
| 고어원담 일육의생 | 의미가 생긴 것이니 |
| 汝首陀洹이 雖得六銷나 | 너는 수다원으로서 |
| 여수다함 수득육쇠 | 비록 여섯[六結]은 쇠망하였으나 |
| 猶未亡一이니라 | 아직 하나를 없애지 못한 것이니라. |
| 유미망일 | |
| 如太虛空을 參合群器하면 | 마치 태허공(太虛空)을 |
| 여태허공 참합군기 | 여러 그릇에 담아 놓으면 |
| 由器形異하야 名之異空이요 | 그릇의 모양이 다름으로 말미암아 |
| 유기형이 명지이공 | 허공이 다르다 하고, |
| 除器觀空하면 說空爲一어니와 | 그릇을 없애고 허공을 보면 |
| 제기관공 설공위일 | 허공이 하나라고 말하는 것과 같거니와 |
| 彼太虛空이 云何爲汝 成同不同이며 | 저 태허공이 어떻게 너를 위해 |
| 피태허공 운하위여 성동부동 | 같기도 하고 같지 않기도 하겠으며, |
| 何況更名 是一非一가 | 하물며 어찌 하나이거나 |
| 하황갱명 시일비일 | 하나가 아니거나 하겠느냐? |
| 則汝了知 六受用根도 亦復如是니라 | 네가 요지하여 수용하는 육근 |
| 즉여요지 육수용근 역부여시 | [六受用根]도 이와 같으니라. |
| 由明暗等 二種相形하야 | 명(明),암(暗) 등의 |
| 유명암등 이종형상 | 두 가지 모양이 형성됨으로 말미암아 |
| 於妙圓中에 粘湛發見하고 | 묘원(妙圓)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견 | 담(湛)에 붙어서 견(見)이 일어나고 |
| 見精映色하야 結色成根하니 | 견정(見精)이 색(色)을 반영하며 |
| 견정영색 결색성근 | 색이 맺혀 근(根)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爲淸淨四大요 因名眼體어니와 | 근원(根元)은 청정한 사대(四大)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안체 | 이로 인해 안체(眼體)라 하거니와 |
| 如蒲萄朵 浮根四塵이라 | 마치 포도송이와 같은 |
| 여포도타 부근사진 | 부근사진(浮根四塵)이라 |
| 流逸奔色이니라 | 빠르게 흘러 색(色)으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색 | |
| 由動靜等 二種相擊하야 | 동(動),정(靜) 등의 |
| 유동정등 이종상격 | 두 가지가 서로 부딪침으로 말미암아 |
| 於妙圓中에 粘湛發聽하고 | 묘원(妙圓)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청 | 담(湛)에 붙어서 들음[聽]이 일어나고 |
| 聽精映聲하며 卷聲成根하니 | 청정(聽精)이 소리[聲]을 반영하며 |
| 청정영성 권성성근 | 소리가 뭉쳐 근(根)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爲淸淨四大요 因名耳體어니와 | 근원(根元)은 청정한 사대(四大)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이체 | 이로 인해 이체(耳體)라 하거니와 |
| 如新卷葉 浮根四塵이라 | 마치 말려나오는 잎과 같은 |
| 여신권엽 부근사진 | 부근사진(浮根四塵)이라 |
| 流逸奔聲이니라 | 빠르게 흘러 소리[聲]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성 | |
| 由通塞等 二種相發하야 | 통(通)과 색(塞) 등의 |
| 유통색등 이종상발 | 두 가지가 서로 일어남으로 말미암아 |
| 於妙圓中에 粘湛發嗅하고 | 묘원(妙圓)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후 | 담(湛)에 붙어서 냄새[嗅]가 일어나고 |
| 嗅精映香하며 納香成根하니 | 후정(嗅精)이 향(香)을 반영하며 |
| 후정영향 납향성근 | 향을 받아들여 근(根)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爲淸淨四大요 因名鼻體어니와 | 근원(根元)은 청정한 사대(四大)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비체 | 이로 인해 비체(鼻體)라 하거니와 |
| 如雙垂爪 浮根四塵이라 | 마치 쌍손톱과 같은 |
| 여쌍수조 부근사진 | 부근사진(浮根四塵)이라 |
| 流逸奔香이니라 | 빠르게 흘러 향(香)으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향 | |
| 由恬變等 二種相參하야 | 평온함[恬]과 변함[變] 등의 |
| 유념변등 이종상참 | 두 가지가 서로 부딪침으로 말미암아 |
| 於妙圓中 粘湛發嘗하고 | 묘원(妙圓)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상 | 담(湛)에 붙어서 상(嘗)이 일어나고, |
| 嘗精映味 絞味成根이니 | 상정(嘗精)이 미(味)를 나타내며 |
| 상정영미 교미성근 | 미각을 엮어서 근(根)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爲淸淨四大요 因名舌體어니와 | 근원(根元)은 청정한 사대(四大)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설체 | 이로 인해 설체(舌體)라 하거니와 |
| 如初偃月 浮根四塵이라 | 마치 누은 초승달[初偃月]과 같은 |
| 여초언월 부근사진 | 부근사진(浮根四塵)이라 |
| 流逸奔味니라 | 빠르게 흘러 미(味)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미 | |
| 由離合等 二種相摩하야 | 이(離)와 함(合) 등의 |
| 유리합등 이종상마 | 두 가지가 서로 마찰하여 |
| 於妙圓中에 粘湛發覺하고 | 묘원(妙圓)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각 | 담(湛)에 붙어서 각(覺)이 일어나고, |
| 覺精映觸 搏觸成根하니 | 각정(覺精)이 촉(觸)를 나타내며 |
| 각정영촉 박촉성근 | 촉을 잡아 근(根)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為清淨四大요 因名身體어니와 | 근원(根元)은 청정한 사대(四大)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신체 | 이로 인해 신체(身體)라 하거니와 |
| 如腰鼓顙 浮根四塵이라 | 마치 장구머리[腰鼓顙]와 같은 |
| 여요고상 부근사진 | 부근사진(浮根四塵)이라 |
| 流逸奔觸이니라 | 빠르게 흘러 촉(觸)으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촉 | |
| 由生滅等 二種相續하야 | 생(生), 멸(滅) 등 |
| 유생멸등 이종상속 | 두 가지가 상속하여 |
| 於妙圓中에 粘湛發知하며 | 묘원한 가운데 |
| 어묘원중 점담발지 | 담연한 것에 붙어서 지(知)가 일어나며 |
| 知精映法하고 覽法成根하니 | 지정(知精)이 법을 반영하고 |
| 지정영법 남법성근 | 법을 받아들여서 근을 이루었으니 |
| 根元目為清淨四大요 因名意思어니와 | 근원은 청정한 사대라 하고 |
| 근원목위청정사대 인명의사 | 이로 인해 의사(意思)라 하거니와 |
| 如幽室見 浮根四塵이라 | 마치 깜깜한 방에서 보는 듯한 |
| 여유실견 부근사진 | 부근사진이라 |
| 流逸奔法이니라 | 빠르게 흘러 법(法)으로 치닫느니라. |
| 유일분법 | |
| 阿難아 如是六根이 | 아난아! 이와 같이 육근이 |
| 아난 여시육근 | |
| 由彼覺明 有明明覺하야 | 그 각명(覺明)에 밝히려는 |
| 유피각명 유명명각 | 명각(明覺)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
| 失彼精了하고 粘妄發光이라 | 정료(精了)함을 잃어버리고 |
| 실피정료 점망발광 | 허망에 붙어서 빛을 발하는 것이니라. |
| 是以汝今에 | 그러므로 네가 지금 |
| 시이여금 | |
| 離暗離明인댄 無有見體요 | 명(明)과 암(暗)을 여의면 |
| 이암이명 무유견체 | 보는 체성이 없을 것이며 |
| 離動離靜인댄 元無聽質이며 | 동(動)과 정(靜)을 여의면 |
| 이동이정 원무청질 | 듣는 성질이 없을 것이며, |
| 無通無塞인댄 嗅性不生이며 | 통(通)과 색(塞)이 없으면 |
| 무통무색 후성불생 | 맡는 성품이 생기지 않을 것이며, |
| 非變非恬인댄 嘗無所出이며 | 변(變)과 염(恬)이 아니면 |
| 비변비념 상무소출 | 맛보는 성품이 생기지 않을 것이며, |
| 不離不合인댄 覺觸本無이며 | 이(離)와 합(合)을 하지 않으면 |
| 불리불합 각촉본무 | 각촉(覺觸)이 본래 없을 것이며, |
| 無滅無生인댄 了知安寄리오 | 멸(滅)과 생(生)이 없다면 |
| 무멸무생 요지안기 | 요지함이 어디에 있겠느냐? |
| 汝但不循 動靜合離 | 네가 다만 |
| 여단불순 동정합리 | 동(動),정(靜),합(合),이(離), |
| 恬變通塞 生滅暗明의 | 염(恬),변(變),통(通),색(塞), |
| 염변통색 생멸암명 | 생(生),멸(滅),명(明),암(暗)의 |
| 如是十二諸有為相하고 隨拔一根하야 | 이러한 열두 가지 유위상(有爲相)을 |
| 여시십이제유위상 수발일근 | 쫓지 않고, 하나의 근을 골라 |
| 脫粘內伏하고 伏歸元真하야 | 붙은 것[粘]을 벗겨 안으로 굴복시키고 |
| 탈점내복 복귀원진 | 원래의 진여로 돌아가서 |
| 發本明耀 耀性發明하면 | 본래의 빛을 발하게 되고 |
| 발명본요 요성발명 | 비추는 성품이 밝아지면 |
| 諸餘五粘이 應拔圓脫하리라 | 다른 오근(五根)에 붙은 것도 뽑혀서 |
| 제여오점 응발원탈 | 원만히 해탈할 것이니라. |
| 不由前塵所起知見하야 | 전진(前塵)이 일으킨 지견(知見)에 |
| 불유전진소기지견 | 연유하지 않아서 |
| 明不循根하고 寄根明發하면 | 밝음이 근(根)을 따르지 않고 |
| 명불순근 기근명발 | 근에 맡겨 밝음이 일어나면 |
| 由是六根이 互相為用이니라 | 그로부터 육근이 서로 작용하게 되리라. |
| 유시육근 호상위용 | |
| 阿難아 汝豈不知아 | 아난아, 너는 어찌 모르느냐? |
| 아난 여기부지 | |
| 今此會中에 阿那律陀는 無目而見하고 | 지금 이 회중에 아나율타(阿那律陀)는 |
| 금차회중 아나율타 무목이견 | 눈이 없어도 보고, |
| 跋難陀龍은 無耳而聽하며 | 발란타용(跋難陀龍)은 |
| 발란타용 무이이청 | 귀가 없어도 들으며, |
| 殑伽神女는 非鼻聞香하며 | 긍가신녀(殑伽神女)는 |
| 긍가신녀 비비문향 | 코 아닌 것으로 냄새를 맡고, |
| 驕梵缽提는 異舌知味하며 | 교범바제(驕梵鉢提)는 |
| 교범바제 이설지미 | 혀가 달라도 맛을 알며, |
| 舜若多神은 無身有觸하며 | 순야다신(舜若多神)은 |
| 순야다신 무신유촉 | 몸이 없어도 감촉이 있으니 |
| 如來光中映令暫現이어나 | 여래광명(如來光明)에 비치어 |
| 여래광중영령잠현 | 잠깐 나타나지만 |
| 既為風質하야 其體元無하고 | 기왕에 바람의 체질이어서 |
| 기위풍질 기체원무 | 그 몸이 원래 없고 |
| 諸滅盡定에 得寂聲聞인 | 멸진정(滅盡定)으로 |
| 제멸진정 득적성문 | 적정을 얻은 성문인 |
| 如此會中의 摩訶迦葉은 久滅意根이언만 | 이 회중의 마하가섭(摩詞迦葉) 같은 이는 |
| 여차회중 마하가섭 구멸의근 | 오래 전에 의근(意根)이 멸했지만 |
| 圓明了知 不因心念이니라 | 심념(心念)에 기인하지 않고도 |
| 원명요지 불인심념 | 원명하게 요지하느니라. |
| 阿難아 今汝諸根을 | 아난아! 이제 네가 제근을 |
| 아난 금여제근 | |
| 若圓拔已에 內瑩發光하면 | 만약 모두 뽑아버리고 |
| 약원발이 내영발광 | 안으로 환하게 광명을 발하기만 하면 |
| 如是浮塵 及器世間의 | 이와 같은 부진(浮塵)과 |
| 여시부진 급기세간 | 기세간(器世間)의 |
| 諸變化相이 如湯銷冰하야 | 모든 변화하는 모습들이 |
| 제변화상 여탕쇠빙 | 마치 끓는 물에 얼음 녹듯하여 |
| 應念化成 無上知覺하리라 | 한 생각에 무상지각(無上知覺)을 |
| 응념화성 무상지각 | 화성(化成)하게 되리라. |
| 阿難아 如彼世人이 聚見於眼이라가 | 아난아, 마치 세상 사람들이 |
| 아난 여피세인 취견어안 | 견(見)을 눈에 모았다가 |
| 若令急合하야 暗相現前하면 | 갑자기 눈을 감아 |
| 약령급합 암상현전 | 눈앞이 온통 어두우면 |
| 六根黯然하야 頭足相類어니와 | 육근이 캄캄하여 |
| 육근암연 두족상류 | 머리에서 발끝까지 한결 같으려니와 |
| 彼人以手로 循體外繞하면 | 그러나 그 사람이 손으로 |
| 피인이수 순체외요 | 몸을 따라 두루 만지면 |
| 彼雖不見이로되 頭足一辯하야 | 그가 보지는 못하더라도 |
| 피수불견 두족일변 | 머리와 발을 낱낱이 분별하여 |
| 知覺是同이니라 | 지각하는 것이 |
| 지각시동 | 밝을 때와 같을 것이니라. |
| 緣見因明이라 暗成無見어니와 | 연진(緣塵)을 보는 것은 밝음에 기인하니 |
| 연견인명 암성무견 | 어두우면 견이 없거니와 |
| 不明自發하면 則諸暗相이 | 밝지 않아도 스스로 깨달음이 발한다면 |
| 불명자발 즉제암상 | 모든 어두움이 |
| 永不能昏이니 根塵既銷인댄 | 영원히 어둡게 할 수 없을 것이니 |
| 영불능혼 근진기쇠 | 근(根)과 진(塵)이 기왕 소멸했다면 |
| 云何覺明이 不成圓妙리요 | 어찌 각명(覺明)이 |
| 운하각명 불성원묘 | 원묘(圓妙)를 이루지 못하겠느냐?" |
| 阿難白佛言호대 世尊하 如佛說言하야 |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아난백불언 세존 여불설언 | “세존이시여! 부처님 말씀처럼 |
| 因地覺心으로 欲求常住인댄 | 인지(因地)의 각심으로 |
| 인지각심 욕구상주 | 상주(常住)함를 구하려면 |
| 要與果位 名目相應이니다 | 그 과위(果位)의 명목(名目)에 |
| 요여과위 명목상응 | 상응해야 하겠나이다. |
| 世尊하 如果位中에 | 세존이시여, 과위 중에 |
| 세존 여과위중 | |
| 菩提涅槃 真如佛性 菴摩羅識 | 보리(菩提), 열반(涅槃), 진여(真如), |
| 보리열반 진여불성 암마라식 | 불성(佛性), 암마라식(菴摩羅識), |
| 空如來藏 大圓鏡智의 | 공여래장(空如來藏), |
| 공여래장 대원경지 | 대원경지(大圓鏡智)의 |
| 是七種이 名稱謂雖別이나 | 일곱 가지가 명칭은 비록 다르나 |
| 시칠종 명칭위수별 | |
| 清淨圓滿하고 體性堅凝하야 | 청정하고 원만하며 |
| 청정원만 체성견응 | 체성이 단단하게 뭉쳐 있어서 |
| 如金剛王하야 常住不壞어니와 | 마치 금강왕처럼 항상 머물러 |
| 여금강왕 상주불괴 | 무너지지 않는 것과 같사온데 |
| 若此見聽이 離於暗明 動靜通塞하야 | 만약 보고 듣는 것이 |
| 약차견청 이어암명 동정통색 | 명,암,동,정,통,색을 여의고는 |
| 畢竟無體인댄 | 필경에 체(體)가 없다면 |
| 필경무체 | |
| 猶如念心이 離於前塵코는 本無所有어늘 | 마치 생각하는 마음이 전진을 여의고는 |
| 유여념심 이어전진 본무소유 | 본래 아무 것도 없다는 것과 같사온데 |
| 云何將此 畢竟斷滅로 以為修因하야 | 어떻게 필경 단멸하는 것으로 |
| 운하장차 필경단멸 이위수인 | 수행의 인(因)을 삼아 |
| 欲獲如來 七常住果릿가 | 여래의 일곱 가지 상주과(常住果)를 |
| 욕획여래 칠상주과 | 얻사오리까? |
| 世尊하 若離明暗코는 見畢竟空인댄 | 세존이시여! 만약 명암을 여의고는 |
| 세존 약리명암 견필경공 | 견이 필경에 공하다면 |
| 如無前塵이면 念自性滅이니 | 마치 전진이 없으면 |
| 여무전진 염자성멸 | 생각의 자성이 멸하는 것과 같겠나이다. |
| 進退循環하야 微細推求라도 | 이리 저리 돌아보며 |
| 진퇴순환 미세추구 | 미세하게 추구하여도 |
| 本無我心 及我心所인댄 | 본래 저의 마음과 |
| 본무아심 급아심소 | 심소(心所)가 없는 것이라면 |
| 將誰立因하야 求無上覺이릿가 | 장차 무엇으로 인을 삼아 |
| 장수립인 구무상각 | 무상각을 구하오리까? |
| 如來先說 湛精圓常이 | 여래께서 앞서 말씀하신 |
| 여래선설 담정원상 | 담정(湛精)이 원상(圓常)하다는 것은 |
| 違越誠言하야 終成戲論이온데 | 성실한 말이 아니어서 |
| 위월성언 종성희론 | 결국 희론(戱論)이 될 것이온데 |
| 云何如來가 真實語者이릿가 | 어떻게 여래가 |
| 운하여래 진실어자 | 진실한 말씀을 하시는 분이겠나이까? |
| 惟垂大慈하사 開我蒙吝하소서 | 큰 자비를 내리시어 |
| 유수대자 개아몽린 | 저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소서.” |
| 佛告阿難하사대 |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
| 불고아난 | |
| 汝學多聞 未盡諸漏하야 | “너는 다문만 배우고 |
| 여학다문 미진제루 | 모든 번뇌를 다하지 못하여 |
| 心中徒知 顛倒所因이로되 | 마음속에 다만 전도의 원인은 알면서도 |
| 심중도지 전도소인 | |
| 真倒現前은 實未能識이로다 | 참으로 전도가 앞에 있는 것은 |
| 진도현전 실미능식 | 실로 인식하지 못하는구나! |
| 恐汝誠心 猶未信伏이니 | 네가 아직도 진심으로 |
| 공여성심 유미신복 | 믿지 않는듯 하니 |
| 吾今試將 塵俗諸事하야 當除汝疑호리라 | 내가 이제 진속(塵俗)의 사실을 들어서 |
| 오금시장 진속제사 당제여의 | 너의 의혹을 없애주리라." |
| 即時如來가 敕羅睺羅 擊鍾一聲하시고 | 그때 여래께서 라후라를 시켜 |
| 즉시여래 칙라후라 격종일성 | 종을 한 번 치게 하시고, |
| 問阿難言하사대 汝今聞不아 | 아난에게 물으셨다. |
| 문아난언 여금문부 | "네가 지금 듣느냐?" |
| 阿難大眾俱言호대 我聞이니다 | 아난과 대중이 다같이 말했다. |
| 아난대중구언 아문 | "저희가 듣나이다." |
| 鍾歇無聲커늘 佛又問言하사대 | 종소리가 스러진 뒤에 |
| 종헐무성 불우문언 | 부처님께서 또 물으셨다. |
| 汝今聞不아 | "네가 지금 듣느냐?" |
| 여금문부 | |
| 阿難大眾俱言호대 不聞이니다 | 아난과 대중이 함께 말했다. |
| 아난대중구언 불문 | "듣지 못하나이다." |
| 時羅睺羅가 又擊一聲커늘 | 이때 라후라가 |
| 시라후라 우격일성 | 다시 한 번 종을 치자 |
| 佛又問言하사대 汝今聞不아 | 부처님께서 또 물으셨다. |
| 불우문언 여금문부 | "네가 지금 듣느냐?" |
| 阿難大眾又言호대 俱聞이니다 | 아난과 대중이 또 말했다. |
| 아난대중우언 구문 | "모두 듣나이다." |
| 佛問阿難하사대 |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물으셨다. |
| 불문아난 | |
| 汝云何聞이며 云何不聞고 | "너는 무엇을 듣는다 하고 |
| 여운하문 운하불문 | 무엇을 듣지 못한다 하느냐?" |
| 阿難大眾俱白佛言호대 | 아난과 대중이 다같이 |
| 아난대중구백불언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鍾聲若擊이면 則我得聞하옵고 | "종소리가 울리면 |
| 종성약격 즉아득문 | 저희가 듣는다 하고 |
| 擊久聲銷하야 音響雙絕하면 | 종을 친지 오래되어 소리가 약해져서 |
| 격구성쇠 음향쌍절 | 음향이 다 끊어지면 |
| 則名無聞이니다 | 듣지 못한다 하나이다." |
| 즉명무문 | |
| 如來가 又敕羅睺擊鍾하시고 | 여래께서 또 라후라를 시켜 |
| 여래 우칙라후격종 | 종을 치게 하시고 |
| 問阿難言하사대 爾今聲不아 | 아난에게 물으셨다. |
| 문아난언 이금성부 | "너는 지금 소리가 난다 하겠느냐?" |
| 阿難言호대 聲이니다 | 아난이 답했다. |
| 아난언 성 | "소리가 나나이다." |
| 少選聲銷어늘 | 잠깐 있다가 소리가 스러지자 |
| 소선성쇠 | |
| 佛又問言하사대 爾今聲不아 | 부처님께서 물으셨다. |
| 불우문언 이금성부 | "너는 지금 소리가 난다 하겠느냐?" |
| 阿難大眾答言호대 無聲이니다 | 아난과 대중이 답했다. |
| 아난대중답언 무성 | "소리가 없나이다." |
| 有頃羅睺更來撞鍾이어늘 | 잠깐 뒤에 라후라가 |
| 유경라후갱래당종 | 다시 종을 쳤는데, |
| 佛又問言하사대 爾今聲不아 | 부처님께서 또 물으셨다. |
| 불우문언 이금성부 | "너는 지금 소리가 난다 하겠느냐?" |
| 阿難大眾俱言호대 有聲이니다 | 아난과 대중이 함께 아뢰었다. |
| 아난대중구언 유성 | "소리가 나나이다." |
| 佛問阿難하사대 |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물으셨다. |
| 불문아난 | |
| 汝云何聲이며 云何無聲고 | "너는 무엇을 소리난다 하고 |
| 여운하성 운하무성 | 무엇을 소리나지 않는다 하느냐?" |
| 阿難大眾俱白佛言호대 | 아난과 대중이 함께 |
| 아난대중구백불언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鍾聲若擊이면 則名有聲이옵고 | "종을 쳐서 소리가 나면 |
| 종성약격 즉명유성 | 소리가 난다 하옵고 |
| 擊久聲銷하야 音響雙絕이면 | 종을 친지 오래되어 소리가 약해져서 |
| 격구성쇠 음향쌍절 | 음향이 다 끊어지면 |
| 則名無聲이니다 | 소리가 없다고 하나이다." |
| 즉명무성 | |
| 佛語阿難 及諸大眾하사대 | 부처님께서 아난과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
| 불어아난 급제대중 | |
| 汝今에 云何自語矯亂고 | "너희는 지금 어째서 스스로 |
| 여금 운하자어교란 | 말을 교란하느냐?" |
| 大眾阿難이 俱時問佛호대 | 대중과 아난이 동시에 |
| 대중아난 구시문불 | 부처님께 여쭈었다. |
| 我今에 云何名為矯亂이닛가 | "저희가 어째서 교란한다 하시나이까?" |
| 아금 운하명위교란 | |
| 佛言하사대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
| 불언 | |
| 我問汝聞에 汝則言聞하고 | "내가 듣느냐 물으면 |
| 아문여문 여즉언문 | 너희는 듣는다 말하고, |
| 又問汝聲에 汝則言聲하야 | 또 소리가 나느냐 물으면 |
| 우문여성 여즉언성 | 너희는 소리가 난다 말하여 |
| 惟聞與聲에 報答無定하니 | 듣는다 소리가 난다 하며 |
| 유문여성 보답무정 | 대답이 일정치 못하니 |
| 如是云何不名矯亂이리요 | 이것이 어찌 교란한 것이 아니겠느냐?" |
| 여시운하불명교란 | |
| 阿難아 聲銷無響을 汝說無聞하나 | 아난아, 소리가 스러지고 메아리가 |
| 아난 성쇠무향 여설무문 | 없는 것을 네가 들음이 없다 하지만 |
| 若實無聞이면 聞性已滅하야 同于枯木커늘 | 진실로 들음이 없다면 |
| 약실무문 무성이멸 도우고목 | 듣는 성품이 멸하여 고목과 같을 터인데 |
| 鍾聲更擊을 汝云何知리오 | 다시 친 종 소리를 |
| 종성갱격 여운하지 | 네가 어찌 알겠느냐? |
| 知有知無는 自是聲塵이 或無或有언정 | 있는 줄 알고 없는 줄 아는 것은 |
| 지유지무 자시성진 혹무혹유 | 소리가 스스로 없다가 있다가 할지언정 |
| 豈彼聞性이 為汝有無아 | 어찌 그 듣는 성품이 |
| 기피문성 위여유무 | 너에게 있거나 없거나 하겠느냐? |
| 聞實云無인댄 誰知無者리오 | 들음이 실로 없다고 말한다면 |
| 문실운무 수지무자 | 무엇이 없는 것을 알겠느냐? |
| 是故阿難아 | 그러므로 아난아! |
| 시고아난 | |
| 聲於聞中에 自有生滅이언정 | 듣는 성품 안에서 |
| 성어문중 자유생멸 | 소리가 났다가 없어졌다 할지언정 |
| 非為汝聞 聲生聲滅이 | 네가 듣는 |
| 비위여문 성생성멸 | 소리가 나고 소리가 없어지는 것이 |
| 令汝聞性으로 為有為無요 | 네 듣는 성품을 |
| 영여문성 위유위무 | 있거나 없게 하는 것이 아니며, |
| 汝尚顛倒하야 惑聲為聞이니 | 네가 오히려 전도하여 |
| 여상전도 혹성위문 | 소리를 미혹하여 듣게 된 것이니 |
| 何怪昏迷 以常為斷이리요 | 항상된 것을 단멸이라고 혼미한들 |
| 하괴혼미 이상위단 | 어찌 이상하다 하겠느냐? |
| 終不應言을 離諸動靜 閉塞開通코는 | 동(動),정(靜),폐색(閉塞),개통(開通)을 |
| 종불응언 이제동정 개색개통 | 여의고서는 |
| 說聞無性이니라 | 듣는 성품이 없다고 말해서는 |
| 설문무성 | 결코 안되느니라. |
| 如重睡人이 眠熟床枕에 | 마치 깊이 잠든 사람이 |
| 여중수인 면숙상침 | 침상에서 숙면을 취할 때 |
| 其家有人이 於彼睡時에 擣練舂米하면 | 그 가인(家人)이 |
| 기가유인 어피수시 도련용미 | 다듬이질이나 방아를 찧으면 |
| 其人夢中에 聞舂擣聲하고 別作他物하야 | 그 사람이 꿈결에 방망이와 절구소리를 |
| 기인몽중 문용도성 별작타물 | 다른 물건의 소리를 |
| 或為擊鼓커나 或復撞鍾하야 | 북치는 소리나 종치는 소리로 알고 |
| 혹위격고 혹부당종 | |
| 即於夢時에 自怪其鍾 為木石響이라가 | 꿈결에 '종소리가 목석이 울리는 것 같다'고 |
| 즉어몽시 자괴기종 위목석향 | 스스로 괴이하게 여기다가 |
| 於時忽寤하야 遄知杵音하고 | 문득 깨어나서는 |
| 어시홀오 천지저음 | 곧 절구소리인 줄을 알고 |
| 自告家人호대 我正夢時에 | 가인에게 말하기를 |
| 자고가인 아정몽시 | '내가 꿈꾸었을 때 |
| 惑此舂音하야 將為鼓響이니라 | 이 절구소리를 미혹하여 |
| 혹차용음 장위고향 | 북소리인 줄 알았다.' 하면, |
| 阿難아 是人夢中에 | 아난아, 이 사람이 꿈 속에서 |
| 아난 시인몽중 | |
| 豈憶靜搖 開閉通塞이리오만 | 어찌 동(動),정(靜)과 |
| 기억정요 개폐통색 | 개폐(開閉),통색(開塞)을 기억하랴마는 |
| 其形雖寐나 聞性不昏이니 | 몸은 비록 잠들었으나 |
| 기형수매 문성불혼 | 듣는 성품은 혼미하지 않은 것이니 |
| 縱汝形銷하야 命光遷謝런들 | 네 형상이 쇠퇴하여 |
| 종여형쇠 명광천사 | 목숨이 떠나간들 |
| 此性云何 為汝銷滅이리요 | 이 성품이 어찌 쇠멸하겠느냐? |
| 차성운하 위여쇠멸 | |
| 以諸眾生 從無始來로 | 모든 중생이 무시이래로 |
| 이제중생 종무시래 | |
| 循諸色聲하고 逐念流轉하며 | 색(色), 성(聲)을 따르고 |
| 순제색성 축념유전 | 망념을 쫓아 유전하면서 |
| 曾不開悟 性淨妙常하고 | 일찍이 성품이 정묘(淨妙)하게 |
| 증불개오 성정묘상 | 항상함을 깨닫지 못하고 |
| 不循所常하야 逐諸生滅일새 | 항상함을 따르지 못하여 |
| 불순소상 축제생멸 | 온갖 생멸을 쫒기 때문에 |
| 由是生生에 雜染流轉커니와 | 그로 말미암아 세세생생 |
| 유시생생 잡염유전 | 여러가지로 물들어 유전하거니와 |
| 若棄生滅하고 守於真常하면 | 만일 생멸을 버리고 |
| 약기생멸 수어진상 | 진실되고 항상함을 지켜나간다면 |
| 常光現前하야 塵根識心이 | 언제나 광명이 현전하여 |
| 상광현전 진근식심 | 진(塵), 근(根), 식(識)의 마음이 |
| 應時銷落하리라 | 마당한 때에 쇠락하리라. |
| 응시쇠락 | |
| 想相為塵이요 識情為垢니 | 상상(想相)은 망진(妄塵)이요 |
| 상상위진 식정위구 | 식정(識情)은 구염(垢染)이니 |
| 二俱遠離하면 則汝法眼이 應時清明이어니 | 두 가지를 멀리 여의면 |
| 이구원리 즉여법안 응시청명 | 너의 법안이 청명해지리니 |
| 云何不成 無上知覺이리오 | 어찌 무상지각(無上知覺)을 |
| 운하불성 무상지각 | 이루지 못하겠느냐?" |
| 大佛頂萬行首楞嚴經卷第四 | |
'수릉엄경(首楞嚴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수능엄경 제 9권 (0) | 2017.09.23 |
|---|---|
| 대불정만행 수능엄경 제 8권 (0) | 2016.09.22 |
| 대불정만행 수능엄경 제 7권 (0) | 2016.04.03 |
| 대불정만행 수능엄경 제 3권 (0) | 2015.07.24 |
| 대불정만행 수능엄경 제 1권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