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2 장 현선수(賢善首)보살 | |
| 於是賢善首菩薩이 在大衆中이라가 | 이때에 현선수보살이 |
| 어시현선수보살 재대중중 | 대중 속에 있다가 |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자리에서 일어나 |
|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
| 右遶三帀하며 長跪叉手하야 | 우로 세 번 돈 다음 |
| 우요삼잡 장궤차수 | 두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
| 而白佛言호대 大悲世尊하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이백불언 대비세존 |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
| 廣爲我等及末世衆生하사 | 저희들과 말세의 중생들을 위해 |
| 광위아등급말세중생 | |
| 開悟如是不思議事하시나이다 | 이와 같은 불가사의한 일을 |
| 개오여시부사의사 | 깨우쳐 주셨나이다. |
| 世尊하 此大乘教는 名字何等이오며 | 세존이시여, |
| 세존 차대승교 명자하등 | 이 대승의 가르침은 이름이 무엇이오며, |
| 云何奉持하고 衆生修習하야 得何功德이며 | 어떻게 받들어 지니고, |
| 운하봉지 중생수습 득하공덕 | 중생이 닦아 익히면 무슨 공덕을 얻으며, |
| 云何使我 護持經人하며 | 저희가 경을 지니는 이들을 |
| 운하사아 호지경인 | 어떻게 보호하고, |
| 流布此教 至於何地하시나잇가 | 이 가르침을 어떻게 어느 곳으로 |
| 유포차교 지어하지 | 유포해야 하나이까? |
| 作是語已에 五體投地하야 | 이렇게 아뢰고서 |
| 작시어이 오체투지 | 오체투지하여 |
| 如是三請을 終而復始러라 | 똑 같이 세 번을 거듭하여 청했다. |
| 여시삼청 종이부시 | |
| 爾時世尊이 告賢善首菩薩言하사대 | 그러자 세존께서 |
| 이시세존 고현선수보살언 | 현선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
| 善哉 善哉라 善男子야 | "참으로 장하도다. 선남자여, |
| 선재 선재 선남자 | |
| 汝等乃能爲諸菩薩及末世衆生하야 | 그대가 모든 보살과 |
| 여등내능위제보살급말세중생 | 말세의 중생들을 위해 |
| 問於如來에 如是經教의 功德名字로다 | 여래에게 이와 같은 경전 가르침의 |
| 문어여래 여시경교 공덕명자 | 공덕과 이름을 물을 수 있다니. |
| 汝今諦聽하라 當爲汝說하리라 | 그대는 잘 들으라. |
| 여금제청 당위여설 | 마땅히 그대를 위해 설하리라." |
| 時에 賢善首菩薩이 奉教歡喜하고 | 때에 현선수보살이 가르침을 |
| 시 현선수보살 봉교환희 | 받게 되어 크게 기뻐하며 |
| 及諸大衆하야 默然而聽이러라 | 대중들과 함께하여 조용히 들었다. |
| 급제대중 묵연이청 | |
| 善男子야 是經은 | "선남자여, 이 경은 |
| 선남자 시경 | |
| 百千萬億恒河沙諸佛所說이요 | 백천만억 항하 모래알 수 만큼 많은 |
| 백천만억항하사제불소설 | 부처님들께서 설하신 것이요 |
| 三世如來之所守護며 | 삼세의 여래들께서 |
| 삼세여래지소수호 | 수호하시는 것이며, |
| 十方菩薩之所歸依며 | 시방세계의 보살들이 |
| 시방보살지소귀의 | 귀의하는 것이며, |
| 十二部經의 淸淨眼目이니 | 12부경전의 청정한 안목이니 |
| 십이부경 청정안목 | |
| 是經은 名大方廣圓覺陁羅尼하고 | 이 경은 이름을 대방광원각다라니 |
| 시경 명대방광원각다라니 | (大方廣圓覺陁羅尼)라고 하고, |
| 亦名修多羅了義하며 | 또 수다라요의(修多羅了義)라 |
| 역명수다라요의 | 하기도 하며, |
| 亦名秘密王三昧하며 | 또 비밀왕삼매(秘密王三昧)라 |
| 역명비밀왕삼매 | 하기도 하며, |
| 亦名如來決定境界하며 | 또 여래결정경계(如來決定境界)라 |
| 역명여래결정경계 | 하기도 하며, |
| 亦名如來藏自性差別하나니 | 또 여래장자성차별(如來藏自性差別)이라 |
| 역명여래장자성차별 | 하기도 하나니 |
| 汝當奉持어다 | 그대는 마땅하게 받들어 지닐지어다. |
| 여당봉지 | |
| 善男子야 是經은 唯顯如來境界라 | 선남자여, 이 경은 |
| 선남자 시경 유현여래경계 | 오직 여래의 경계를 드러낸 것이라 |
| 唯佛如來가 能盡宣說이니라 | 부처님 여래만이 |
| 유불여래 능진선설 | 다 설하실 수 있느니라. |
| 若諸菩薩及末世衆生이 依此修行하면 | 만약 보살들과 말세의 중생이 |
| 약제보살급말세중생 의차수행 | 이 경에 의지하여 수행하면 |
| 漸次增進하야 至於佛地니라 | 점차 증진하여 |
| 점차증진 지어불지 | 불지(佛地)에 이를 것이니라. |
| 善男子야 是經名爲頓教大乘이라 | 선남자여, 이 경은 |
| 선남자 시경명위돈교대승 | 이름이 돈교대승(頓教大乘)이라 |
| 頓機衆生은 從此開悟하고 | 돈오의 근기를 지닌 중생은 |
| 돈기중생 종차개오 | 이 경에서 깨우칠 수 있고, |
| 亦攝漸修一切群品하나니 | 또 점수의 근기를 지닌 |
| 역섭점수일체군품 | 모든 중생들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니 |
| 譬如大海가 不讓小流하야 | 비유하자면 큰 바다가 |
| 비여대해 불양소류 | 작은 물줄기도 마다하지 않아서 |
| 乃至蚊蝱及阿修羅히 | 모기나 아수라까지도 |
| 내지문맹 급아수라 | |
| 飮其水者면 皆得充滿인달하니라 | 그 물을 마시면 |
| 음기수자 개득충만 | 모두 충만함을 얻는 것과 같으니라. |
| 善男子야 假使有人이 純以七寶로 | 선남자여, 가령 어떤 사람이 |
| 선남자 가사유인 순이칠보 | 순전히 칠보로 |
| 積滿三千大千世界하야 以用布施라도 |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히 쌓아서 |
| 적만삼천대천세계 이용보시 | 그로써 보시하더라도 |
| 不如有人이 聞此經名 及一句義하며 | 어떤 사람이 이 경의 이름이나 |
| 불여유인 문차경명 급일구의 | 한 구절의 의미를 듣는 것만 못하며, |
| 善男子야 假使有人이 | 선남자여, 가령 어떤 사람이 |
| 선남자 가사유인 | |
| 教百千恒河沙衆生하야 得阿羅漢果라도 | 백천 항하 모래 수 만큼의 중생을 가르쳐 |
| 교백천항하사중생 득아라한과 | 아라한과를 얻게 했다 하더라도 |
| 不如有人이 宣說此經 分別半偈하니라 |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설하거나 |
| 불여유인 선설차경 분별반게 | 반 구절의 게송을 분별해 주는 것만 못하며, |
| 善男子야 若復有人이 | 선남자여, 만약 또 어떤 사람이 |
| 선남자 약부유인 | |
| 聞此經名하고 信心不惑이면 | 이 경의 이름을 듣고 |
| 문차경명 신심불혹 | 신심을 내 의혹을 품지 않는다면 |
| 當知是人은 非於一佛二佛에 種諸福慧요 |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두 부처님께 |
| 당지시인 비어일불이불 종제복혜 | 복덕과 지혜를 심은 것이 아니라 |
| 如是乃至盡恒河沙一切佛所에 | 그렇게 항하 모래 수 만큼의 |
| 여시내지진항하사일체불소 | 모든 부처님 처소에 이르도록 |
| 種諸善根하야 聞此經教니 | 온갖 선근을 심어서 |
| 종제선근 문차경교 | 이 경의 가르침을 듣게 된 것이니 |
| 汝善男子는 當護末世 是修行者하야 | 그대 선남자는 말세의 이런 수행자를 |
| 여선남자 당호발세 시수행자 | 마땅히 보호하여 |
| 無令惡魔及諸外道로 惱其身心하야 | 악마나 모든 외도들이 |
| 무령악마급제외도 뇌기신심 | 그의 몸과 마음을 어지럽혀서 |
| 令生退屈이어다 | 뜻을 꺾고 그만두게 하는 일이 |
| 영생퇴굴 | 없게 할지어다." |
| 爾時會中에 有火首金剛 摧碎金剛、 | 이때 법회에 있던 화수(火首)금강과 |
| 이시회중 유화수금강 최쇄금강 | 최쇄(摧碎)금강, |
| 尼藍婆金剛等 八萬金剛과 幷其眷屬이 | 니람바(尼藍婆)금강 등 |
| 니람바금강등 팔만금강 병기권속 | 8만의 금강과 그 권속들이 |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자리에서 일어나 |
|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머리숙여 예배하고 |
| 而白佛言호대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이백불언 | |
| 世尊하 若後末世一切衆生이 | "세존이시여, |
| 세존 약후말세일체중생 | 만약 훗날 말세의 일체중생이 |
| 有能持此決定大乘인댄 | 이 결정적 대승을 |
| 유능지차결정대승 | 지닐 수 있는 자가 있다면 |
| 我當守護 如護眼目하고 | 저희가 마땅히 |
| 아당수호 여호안목 | 제 눈을 보호하듯 수호하고 |
| 乃至道場 所修行處히 | 도량의 수행처까지도 |
| 내지도량 소수행처 | |
| 我等金剛이 自領徒衆하야 | 저희 금강들이 |
| 아등금강 자령도중 | 스스로 무리를 이끌고 가서 |
| 晨夕守護하야 令不退轉케하며 | 아침저녁으로 수호하여 |
| 신석수호 영불퇴전 | 퇴전치 않게 하며, |
| 其家가 乃至永無災障하고 | 그 집에 영원히 재앙이나 장애가 없고 |
| 기가 내지영무재장 | |
| 疫病銷滅하며 財寶豐足하야 | 질병이 소멸하며 재보가 풍족하여 |
| 역병소멸 재보풍족 | |
| 常不乏少케호리이다 | 늘 부족함이 없게 하겠나이다." |
| 상불핍소 | |
| 爾時에 大梵天王 二十八天王 | 그러자 대범천왕과 28천왕, |
| 이시 대범천왕 이십팔왕 | |
| 幷須彌山王 護國天王等이 | 그리고 수미산왕과 호국천왕 등이 |
| 병수미산왕 호국천왕등 | |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자리에서 일어나 |
|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머리숙여 예배하고 |
| 右遶三帀하야 而白佛言호대 | 부처님을 우로 세 바퀴 돈 다음 |
| 우요삼잡 이백불언 | 이렇게 이뢰었다. |
| 世尊하 我亦守護是持經者하야 | "세존이시여, 저희들도 |
| 세존 아역수호시지경자 | 이 경을 지니는 자들을 수호하여 |
| 常令安隱 心不退轉케호리이다 | 항상 안은하게 하고 |
| 상령안은 심불퇴전 | 마음이 퇴전치 않게 하겠나이다." |
| 爾時에 有大力鬼王 名吉槃茶가 | 그러자 길반다(吉槃茶)라는 |
| 이시 유대력귀왕 명길반다 | 대력귀왕이 |
| 與十萬鬼王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10만의 귀왕들과 함께 자리에서 일어나 |
| 여십만귀왕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머리숙여 예배하고 |
| 右遶三帀하야 而白佛言호대 | 우로 세 바퀴 돈 다음 |
| 우요삼잡 이백불언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世尊하 我亦守護是持經人하야 | "세존이시여, 저희도 역시 |
| 세존 아역수호시지경자 | 이 경을 지니는 자들을 수호하여 |
| 朝夕侍衛하야 令不退屈케하며 | 아침저녁으로 시중들고 지켜서 |
| 조석시위 영불퇴굴 | 뜻을 꺾는 일이 없게 하고 |
| 其人所居一由旬內에 | 그 사람이 사는 곳의 1유순 내에서 |
| 기인소거일유순내 | |
| 若有鬼神이 侵其境界하면 | 만약 어떤 귀신이 |
| 약유귀신 침기경계 | 그 사람의 경계를 침해하는 일이 있으면 |
| 我當使其 碎如微塵호리이다 | 저희가 마땅히 그들을 |
| 아당사기 쇄여미진 | 먼지처럼 부숴버리겠나이다." |
| 佛說此經已에 一切菩薩 |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시자 |
| 불설차경이 일체보살 | 모든 보살들과 |
| 天龍鬼神 八部眷屬과 | 천룡, 귀신, 팔부 권속들과 |
| 천룡귀신 팔부권속 | |
| 及諸天王梵王等 一切大衆이 | 모든 천왕, 범왕 등 일체의 대중들이 |
| 급제천왕범왕등 일체대중 | |
| 聞佛所說하고 皆大歡喜하야 | 부처님 말씀을 듣고 |
| 문불소설 개대환희 | 모두가 크게 기뻐하며 |
| 信受奉行이러라 | 신수봉행하였다. |
| 신수봉행 | |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 辛丑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 |
'원각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원각경_제 11장 원각(圓覺)보살 편 (0) | 2015.06.10 |
|---|---|
| 원각경_제 10장 보각(普覺)보살 편 (0) | 2015.06.09 |
| 원각경_제 9장 정제업장(淨諸業障)보살 편 (0) | 2015.06.08 |
| 원각경_제 8장 변음(辯音)보살 편 (0) | 2015.06.05 |
| 원각경_제 7장 위덕자재(威德自在)보살 편 (0) | 201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