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乘大集地藏十輪經 卷第八 | 대승대집지장십륜경 제8권 |
| 三藏法師玄奘奉 詔譯 | 삼장법사 현장 역 |
| 善業道品 第六之一 | 선업도품 제 6-1 |
| 爾時에 金剛藏菩薩摩訶薩이 復白佛言호대 | 그 때에 금강장보살마하살이 |
| 이시 금강장보살마하살 부백불언 |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
| 大德世尊하 菩薩摩訶薩이 | "덕 높으신 세존이시여! |
| 대덕세존 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이 |
| 云何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오며 | 어떻게 하면 성문승과 |
| 운하어성문승 득무오실 | |
| 云何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오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운하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云何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오며 | 어떻게 하면 독각승과 |
| 운하어독각승 득무오실 | |
| 云何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오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운하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云何於大乘에 得無誤失하오며 | 어떻게 하면 대승과 |
| 운하어대승 득무오실 | |
| 云何於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오며 | 대승보특가라에게 |
| 운하어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云何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오며 | 어떻게 하면 삼보의 종성을 |
| 운하상능치연 삼보종성 | 항상 치성하게 할 수 있사오며, |
| 云何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어떻게 하면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운하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오며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득무오실 | |
| 云何於大乘法에 常得升進하야 | 어떻게 하면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운하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오며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사오며, |
| 무유퇴전 | |
| 云何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오며 | 어떻게 하면 유익한 지혜와 |
| 운하이혜승복 상득증장 | 수승한 복을 항상 늘려갈 수 있고 |
| 云何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어떻게 하면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운하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오며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사오며, |
| 云何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어떻게 하면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운하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오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고 |
| 수순이행 | |
| 云何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어떻게 하면 항상 떠나지 않고 |
| 운하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오며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사오며, |
| 云何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어떻게 하면 모든 선근을 |
| 운하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오며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云何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어떻게 하면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운하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리잇가 | 즐겨할 수 있겠나이까?" |
| 심무염족 | |
| 爾時世尊이 告金剛藏菩薩摩訶薩言하사대 | 그 때에 부처님께서 |
| 이시세존 고금강장보살마하살언 | 금강장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 |
| 善男子야 有菩薩摩訶薩의 十輪하나니 | "선남자여, |
| 선남자 유보살마하살 십륜 | 보살마하살의 십륜이란 것이 있으니 |
| 若菩薩摩訶薩이 成此十輪하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약보살마하살 성차십륜 | 이 십륜을 성취하면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常於一切의 先所造作 惡不善業에 | 항상 전에 지은 모든 악업을 |
| 상어일체 선소조작 악불선업 | |
| 以聖金剛堅利法智로 | 거룩하고 금강처럼 단단하며 |
| 이성금강견리법지 | 유익한 법의 지혜로 |
| 摧壞散滅하야 令無遺餘하야 | 꺾어 부수고 흩어 없애서 |
| 최괴산멸 영무유여 | 남음이 없게 하여 |
| 不受果報케하며 | 과보를 받지 않게 되며, |
| 불수과보 | |
| 更不造新을 惡不善業하야 心無厭倦하고 | 다시는 새로운 악업을 짓지 않기를 |
| 갱불조신 악불선업 심무염권 | 즐겨하고 |
| 速能證得을 無上法輪하며 | 속히 위없는 법륜을 증득할 수 있으며, |
| 속능증득 무상법륜 | |
| 常勤修習을 七覺分寶하야 心無厭倦하고 | 항상 힘써 칠보리분(七菩提分)을 |
| 상근수습 칠각분보 심무염권 | 닦아 익히기를 즐겨하고 |
| 常能除滅을 一切衆生의 諸煩惱病하야 | 항상 모든 중생의 번뇌병을 |
| 상능제멸 일체중생 제번뇌병 | 제멸하기를 |
| 心無厭倦하니 | 즐겨할 수 있으니 |
| 심무염권 | |
| 一切衆生이 依止存活함이니라. | 모든 중생들이 의지하여 |
| 일체중생 의지존활 | 살아가는 것이니라. |
| 善男子야 如轉輪王이 具足七寶하고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전륜왕 구족칠보 | 마치 전륜왕이 칠보를 구족하고서 |
| 凡所行動이 輪寶導前하고 | 무릇 행동하기를 |
| 범소행동 윤보도전 | 굴리는 보배를 앞세우고 |
| 餘寶隨後하야 巡四大洲하며 | 다른 보배는 뒤따르게 하여 |
| 여보수후 순사대주 | 사대주를 순회하면서 |
| 普能除滅을 一切衆生의 身心濁穢하야 | 널리 모든 중생의 몸과 마음에 있는 |
| 보능제멸 일체중생 신심탁예 | 탁하고 더러운 것들을 제멸하여 |
| 普能生長을 一切衆生의 | 널리 모든 중생의 |
| 보능생장 일체중생 | |
| 身心安樂인닷하야 | 몸과 마음에 안락함이 자라게 하듯이 |
| 신심안락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於聲聞乘에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어성문승 | 성문승에게 |
| 得無誤失하며 廣說乃至 | 잘못하지 않게 되며… |
| 득무오실 광설내지 | 등등 앞서 말한 |
| 一切衆生이 依止存活함이니라 | 모든 중생이 의지하여 살아가는 것에 |
| 일체중생 의지존활 | 이르기까지와 같으니라. |
| 善男子야 如大車輅가 具足四輪하고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대차로 구족사륜 | 마치 큰 수레가 네 바퀴를 갖추고 |
| 多人乘之하야 遊行大路하면 | 많은 사람을 태워서 |
| 다인승지 유행대로 | 큰 길을 지나가면 |
| 於其路上에 土塊瓦礫과 | 그 길 위에 있던 |
| 어기로상 토괴와력 | 흙덩이, 기와, 자갈과 |
| 草木根莖 枝葉花果가 | 풀, 나무, 뿌리, 줄기, |
| 초목근경 지엽화과 | 가지, 잎, 꽃, 열매가 |
| 爲輪所軗하야 皆悉摧壞하야 | 바퀴에 끌려서 |
| 위륜소수 개실최괴 | 모두 다 꺾어지고 파괴되어 |
| 不任受用인닷하야 | 쓸 수 없게 되듯이 |
| 불임수용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悉能摧壞를 諸煩惱障과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실능최괴 제번뇌장 | 모든 번뇌장과 |
| 諸有情障과 一切法障하야 | 모든 중생장과 모든 법장을 |
| 제유정장 일체법장 | 능히 꺾고 무너뜨려서 |
| 令不受報하나니라 | 과보를 받지 않게 하느니라. |
| 영불수보 | |
| 善男子야 如利劍輪이 纔一投掣하면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리검륜 재일투철 | 마치 예리한 검이 한 번 휘두르면 |
| 能斬怨敵 首及支節하야 | 능히 원수의 목과 팔다리를 잘라 |
| 능참원적 수급지절 | |
| 令無勢用인닷하야 | 힘을 쓸 수 없게 하듯이 |
| 영무세용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能破一切五趣牢獄과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능파일체오취뢰옥 | 능히 모든 욕계오취의 감옥과 |
| 生死大苦하고 永斷一切煩惱惡業하야 | 생사의 큰 괴로움을 파하고 |
| 생사대고 영단일체번뇌악업 | 모든 번뇌와 악업을 길이 끊어서 |
| 令不受報케하나니라 | 과보를 받지 않게 하느니라. |
| 영불수보 | |
| 善男子야 如火災起하고 五日出時에 | 선남자여, 마치 화재가 나고 |
| 선남자 여화재기 오일출시 | 다섯 태양이 뜬다면 |
| 遍四大洲의 一切河海水界津潤이 | 두루 사대주의 모든 하천과 |
| 변사대주 일체하해수계진윤 | 바다의 수계와 나루터의 습기가 |
| 無不枯竭인닷하야 | 모두 말라버리듯이 |
| 무불고갈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一切四因 諸煩惱障과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일체사인 제번뇌장 | 모든 단혹사인(斷惑四因)과 번뇌장과 |
| 諸有情障 一切法障과 | 모든 중생장과 법장과 |
| 제유정장 일체법장 | |
| 苦報根本이 悉皆枯竭하나니라 | 근본 괴로움의 과보가 |
| 고보근본 실개고갈 | 다 말라버리느니라. |
| 善男子야 如風災起하야 四方猛風이 | 선남자여, 마치 태풍이 일어 |
| 선남자 여풍재기 사방맹풍 | 사방의 맹렬한 바람이 |
| 俱時頓發 一切世界하면 | 온 세계에 동시에 갑자기 불면 |
| 구시돈발 일체세계 | |
| 大小諸山 及諸大地가 | 크고 작은 모든 산과 대지가 |
| 대소제산 급제대지 | |
| 悉皆散滅인닷하야 | 다 흩어져 없어지듯이 |
| 실개산멸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世間四倒와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세간사도 | 세간의 네 가지 전도된 견해와 |
| 憍慢諸山이 無不崩壞하고 | 교만함의 모든 산이 |
| 교만제산 무불붕괴 | 붕괴하지 않는 것이 없고 |
| 一切衆生의 諸煩惱障과 | 모든 중생들의 모든 번뇌장과 |
| 일체중생 제번뇌장 | |
| 諸有情障 一切法障과 | 모든 중생장과 법장과 |
| 제유정장 일체법장 | |
| 苦報根本이 悉皆散滅하나니라 | 근본 괴로움의 과보가 |
| 고보근본 실개산멸 | 다 흩어져 없어지느니라. |
| 善男子야 如師子王이 吼聲一發하면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사자왕 후성일발 | 마치 사자왕이 한 번 울부짖으면 |
| 一切禽獸가 悉皆驚怖하야 | 모든 짐승들이 놀라서 |
| 일체금수 실개경포 | |
| 飛落走伏하며 無敢輒動인닷하야 | 날아 떨어지고 도망치고 납짝 엎드려 |
| 비락주복 무감첩동 | 감히 쉽사리 움직이지 못하듯이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야 法音一震하면 | 십륜을 성취하여 |
| 성취십륜 법음일진 | 법음이 한 번 진동하면 |
| 乃至一切 外道異學과 惡知識等이 | 모든 외도와 악지식들이 |
| 내지일체 외도이학 악지식등 | |
| 悉皆驚怖하야 忘失言辯하고 | 다 놀라서 망연히 말을 하지 못하고 |
| 실개경포 망실언사 | |
| 無敢酬抗하나니라 | 감히 대항할 수가 없느니라. |
| 무감수항 | |
| 善男子야 如天帝釋이 與阿素洛하야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천제석 여아수라 | 마치 천제석이 아수라와 더불어 |
| 將欲戰時에 天軍圍遶하야 | 전쟁을 하고자 할 때에 |
| 장욕전시 천군위요 | 천군에 둘러 쌓여 |
| 手執金剛하고 奔趣陣敵하면 | 손에 금강을 잡고 |
| 수집금강 분취진적 | 적진에 달려 나아가면 |
| 諸阿素洛가 驚怖退散인닷하야 | 모든 아수라가 놀라서 |
| 제아수라 경포퇴산 | 물러나 흩어지듯이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一切倒見과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일체도견 | 모든 전도된 견해와 |
| 外道異學과 惡知識等이 | 외도와 악지식 등이 |
| 외도이학 악지식등 | |
| 驚怖退散하나니라 | 놀라서 물러나 흩어지느니라. |
| 경포퇴산 | |
| 善男子야 如如意珠가 置高幢上하야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여의주 치고당상 | 마치 여의주가 높은 장막 위에서 |
| 能雨種種의 上妙珍寶하야 | 온갖 아름답고 진귀한 보배를 뿌려 |
| 능우종종 상묘진보 | |
| 給施一切 貧乏衆生인닷하야 | 모든 궁핍한 중생들에게 |
| 급시일체 빈핍중생 | 나누어 주듯이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處淨戒幢하야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처정계당 | 청정한 계행의 장막에서 |
| 雨大法雨를 給施一切無量衆生하나니라 | 큰 법의 비를 뿌려 |
| 우대법우 급시일체무량중생 |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나누어 주느니라. |
| 善男子야 如闇夜分이 世閒幽冥하면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암야분 세간유명 | 마치 깜깜한 밤이 세간을 어둡게 하면 |
| 都無所見하야 迷失正道라가 | 도무지 보이지 않아 |
| 도무소견 미실정도 | 바른 길을 찾을 수 없다가 |
| 滿月出已에 諸闇皆除하고 | 둥근 달이 떠오르면 |
| 만월출이 제암개제 | 모든 어둠이 사라지고 |
| 諸失道者가 皆見正路인닷하야 | 길 잃은 이들이 |
| 제실도자 개견정로 | 바른 길을 볼 수 있듯이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若諸衆生이 無明昏闇하야 | 십륜을 성취하면 모든 중생들이 |
| 성취십륜 약제중생 무명혼암 | 무명의 어두움 속에서 |
| 由此迷失 八支聖道라가 | 팔정도를 잃어버렸다가 |
| 유차미실 팔지성도 | |
| 菩薩爲其하야 宣說正法하면 | 보살이 그들을 위해 |
| 보살위기 선설정법 | 바른 법을 베풀어 설하면 |
| 除無明闇하고 生法光明하며 | 무명의 어둠이 사라지고 |
| 제무명암 생법광명 | 법의 광명이 솟아나 |
| 開示顯現 八支聖道하야 | 팔정도를 열어 나타내 보여서 |
| 개시현현 팔지성도 | |
| 令斷諸漏하고 盡諸苦際케하나니라 | 모든 번뇌가 끊어지고 |
| 영단제루 진제고제 | 모든 괴로움이 사라지게 하느니라. |
| 善男子야 如大日殿이 出現世間하면 | 선남자여, |
| 선남자 여대일전 출현세간 | 마치 큰 태양이 세간에 떠오르면 |
| 一切苗稼가 悉皆增長하고 | 온갖 묘목이 모두 다 자라고 |
| 일체묘가 실개증장 | |
| 一切花葉이 悉皆敷榮하며 | 온갖 꽃잎이 모두다 피어나며 |
| 일체화엽 실개부영 | |
| 一切臭穢가 悉皆除歇하고 | 온갖 더러운 냄새가 모두 사라지고 |
| 알체취예 실개제헐 | |
| 諸穀果藥이 悉皆成熟하며 | 여러 곡식, 과일, 약초들이 |
| 제곡과약 실개성숙 | 모두 다 무르익으며 |
| 雪山銷流가 諸河充溢하고 | 설산이 녹아내려 |
| 설산소류 제하충일 | 모든 하천을 가득히 하고 |
| 漸次轉注하야 滿於大海인닷하야 | 점차 흘러서 대해를 채우듯이 |
| 점차전주 만어대해 | |
| 菩薩摩訶薩도 亦復如是하야 | 보살마하살도 또한 그와 같아서 |
| 보살마하살 역부여시 | |
| 成就十輪하면 依止增上 布施調伏 | 십륜을 성취하면 |
| 성취십륜 의지증상 보시조복 | 보시, 조복, |
| 寂靜尸羅 安忍正勤 靜慮般若하야 | 적정, 지계, 안인, 정근, 정려, 지혜가 |
| 적정시라 안인정근 정려반야 | 더욱 늘어남에 따라 |
| 方便慈悲 辯才功德이 皆悉熾盛하야 | 방편, 자비, 변재, 공덕이 |
| 방편자비 변재공덕 개실치성 | 모두 다 치성해져서 |
| 爲諸衆生하야 宣說正法하면 | 모든 중생들을 위해 |
| 위제중생 선설정법 | 바른 법을 베풀어 설하면 |
| 由法威光하야 令諸衆生으로 | 법의 위엄있는 광명으로 말미암아 |
| 유법위광 영제중생 | 모든 중생들이 |
| 種種增上 善根苗稼가 悉皆增長하고 | 갖가지 선근의 묘목이 |
| 종종증상 선근묘가 실개증장 | 모두 다 자라나고 |
| 種種增上 妙行花葉이 悉皆敷榮하며 | 갖가지 묘행의 꽃잎이 |
| 종종증상 묘행화엽 실개부영 | 모두 다 피어나서 |
| 種種煩惱 惡業惡行이 | 온갖 번뇌와 악업과 악행이 |
| 종종번뇌 악업악행 | |
| 悉皆除歇하고 善趣涅槃하며 | 모두 다 사라져 없어지고 |
| 실개제헐 선취열반 | 열반에 잘 나아가게 되며, |
| 諸穀果藥이 悉皆成熟하고 | 여러 곡식, 과일, 약초들이 |
| 제곡과약 실개성숙 | 모두 다 무르익고 |
| 邪見慢山이 悉皆銷流하며 | 삿된 견해의 오만한 산이 |
| 사견만산 실개소류 | 모두 다 녹아내리며, |
| 種種正信 戒聞捨慧 及諸定河가 | 갖가지 마른 믿음, 계행, 청문, |
| 종종정신 계문사혜 급제정하 | 버림, 지혜와 여러 선정의 하천이 |
| 無不充溢하고 | 다 충만하게 되고 |
| 무불충일 | |
| 漸次盈滿을 大涅槃海하야 | 점차 큰 열반의 바다를 가득 채워 |
| 점차영만 대열반해 | |
| 令諸有情으로 隨意所樂하야 | 모든 유정들로 하여금 |
| 영제유정 수의소락 | 그 바라는 뜻대로 |
| 趣入無畏 涅槃之城하나니라 | 두려움 없는 열반의 성에 |
| 취입무외 열반지성 | 들어가게 하느니라. |
| 善男子야 云何名菩薩摩訶薩十輪고 | 선남자여, |
| 선남자 운하명보살마하살십륜 | 보살마하살의 십륜이란 어떤 것인가? |
| 善男子야 此十輪者는 非餘法也니 | 선남자여, |
| 선남자 차십륜자 비여법야 | 이 십륜이란 것은 다른 법이 아니니 |
| 當知하라 卽是十善業道니라 | 마땅히 알라. |
| 당지 즉시십선업도 | 그것은 바로 십선업도(十善業道)니라. |
| 成就如是 十種輪故로 | 그 십륜을 성취하였다 하여 |
| 성취여시 십종륜고 | |
| 得名菩薩摩訶薩也니라 | 보살마하살이라 이르는 것이니라. |
| 득명보살마하살야 | |
| 於一切惡에 皆能解脫하고 | 모든 악에서 능히 해탈하고 |
| 어일체악 실능해탈 | |
| 一切善法을 隨意成就하야 | 모든 선법을 뜻대로 성취하여 |
| 일체선법 수의성취 | |
| 速能盈滿을 大涅槃海하며 | 속히 큰 열반의 바다를 가득 채우며 |
| 속능영만 대열반해 | |
| 以大善巧方便智光으로 | 빼어난 방편과 지혜의 광명으로 |
| 이대선교방편지광 | |
| 成熟一切 衆生之類하야 | 모든 중생무리를 성숙시켜서 |
| 성숙일체 중생지류 | |
| 皆令獲得을 利益安樂케하나니라 | 모두가 이익과 안락함을 |
| 개령획득 이익안락 | 얻게 하는 것이니라. |
| 所以者何오 | 어째서인가? |
| 소이자하 | |
| 善男子야 過去一切 諸佛世尊이 | 선남자여, |
| 선남자 과거일체 제불세존 | 과거 모든 부처님 세존께서 |
| 皆悉遠離를 十惡業道하고 | 모두 십악업도를 멀리하시고 |
| 개실원리 십악업도 | |
| 皆悉稱揚讚歎을 如是十善業道하야 | 이 십선업도를 |
| 개실칭양찬탄 여시십선업도 | 드높이 찬탄하시어 |
| 所得果報하시니라 | 과보를 얻으신 것이니라. |
| 소득과보 | |
| 是故로 若能於此 所說十善業道에 | 그러므로 만약 |
| 시고 약능어차 소설십선업도 | 능히 이 십선업도에 |
| 隨守護一하고 乃至命終하야 | 하나를 수호하고 |
| 수수호일 내지명종 | 목숨이 다하도록 |
| 究竟無犯하면 必獲一切 殊勝果報호미 | 끝까지 범하지 않는다면 |
| 구경무범 필획일체 수승과보 | 반드시 수승한 과보를 받게됨은 |
| 如前後說하나니라 | 전후에서 말한 바와 같으니라. |
| 여전후설 | |
| 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선남자여, |
| 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遠離殺生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원리살생 | 살생을 멀리 여읜다면 |
| 卽是施與를 一切衆生 無驚無怖하야 | 그것은 곧 모든 중생들의 |
| 즉시시여 일체중생 무경무포 | 공포를 없애서 |
| 令諸衆生으로 不生憂苦하고 | 근심고통이 생기지 않고 |
| 영제중생 불생우고 | |
| 離毛豎畏케하야 | 털끝이 서는 두려움을 여의게 하여 |
| 이모수외 |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殺生故로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살생을 함으로 인하여 |
| 인살생고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壽命障호되 | 법장, 수명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수명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殺生輪故로 | 이 살생을 여의는 윤 |
| 유차원리살생륜고 | [遠離殺生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壽命長遠하며 將命終時에 | 수명이 길어지게 되며 |
| 수명장원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無病長壽하고 | 나는 곳마다 무병장수하고 |
| 수소생처 무병장수 |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殺生法하야 | 그에 의지하여 |
| 의피수학 이살생법 | 살생을 멀리하는 법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가 離諸兵器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에 |
| 소거불토 이제병기 | 모든 병기가 사라지고 |
| 無有怨害 鬪戰之名하며 | 원한과 침해와 |
| 무유원해 투전지명 | 전쟁이라는 이름이 없어져서 |
| 絕諸怖畏하고 安隱快樂하야 | 모든 공포와 두려움이 사라지고 |
| 절제포외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어 |
| 一切無病長壽有情이 來生其國하며 | 모든 무병장수하는 유정들이 |
| 일체무병장수유정 내생기국 | 그 국토에 태어나고 |
| 如來가 自壽無量無邊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고 |
| 여래 자수무량무변 | 끝이 없는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첫 번째 |
| 第一遠離殺生輪也라하나니라 | 살생을 여의는 륜 |
| 제일원리살생윤야 | [遠離殺生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不與取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불여취 | 주지 않은 것을 취하지 않는다면 |
| 卽是施與를 一切衆生 無驚無怖하야 | 그것은 곧 모든 중생들의 |
| 즉시시여 일체중생 무경무포 | 공포를 없애서 |
| 無有熱惱하고 亦無擾動하며 | 마음에 괴로움이 없고 |
| 무유열뇌 역무요동 | 또한 요란함이 없으며 |
| 於自所得 如法財利에 喜足而住하야 | 스스로 얻은 여법한 재물에 |
| 어자소득 여법재리 희족이주 | 기쁨으로 만족하게 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不與取로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주지 않은 것을 취함으로 인하여 |
| 인불여취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壽命障호되 | 법장, 재보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수명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不與取輪하야 | 이 주지 않은 것을 취하지 않는 륜 |
| 유차원리불여취륜 | [遠離不與取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財寶具足하며 將命終時에 | 재보가 구족하며 |
| 재보구족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具大財寶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구대재보 | 큰 재물과 보배를 갖추고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不與五家하야 共諸財寶하고 | 모든 재물과 보배를 |
| 불여오가 공재재보 | 오취와 더불어 함께하지 않고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不與取하야 | 그에 의지하여 주지 않은 것을 |
| 의피수학 이불여취 | 취하지 않을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를 衆寶莊嚴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를 |
| 소거불토 중보장엄 | 온갖 보배로 장엄하고 |
| 寶樹寶池와 寶臺殿等이 無不充備하니 | 보배나무, 보배연못, 보배전각 등이 |
| 보수보지 보대전등 무불충비 | 다 마련되어 있으니 |
| 離我我所하고 無所攝受하야 | 나와 내 것을 떠나 |
| 이아아소 무소섭수 | 갖으려는 바가 없어서 |
| 一切具足嚴飾有情이 來生其國하며 | 모든 것을 다 갖춘 유정들이 |
| 일체무병장수유정 내생기국 | 그 국토에 태어나고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두 번째 |
| 第二遠離不與取輪也라하나니라 | 주지 않은 것을 취하지 않는 륜 |
| 제이원리불여취륜야 | [遠離不與取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欲邪行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욕사행 | 사행의 애욕을 여읜다면 |
| 卽是施與를 欲流所漂 | 그것은 곧 욕망의 물줄기에 |
| 즉시시여 욕류소표 | 표류하는 |
| 一切衆生 無驚無怖하고 無嫉無害하야 | 모든 중생들의 놀람과 공포와 |
| 일체중생 무경무포 무질무해 | 질투와 침해를 없애서 |
| 無有熱惱하고 亦無擾動하며 | 마음에 괴로움이 없고 |
| 무유열뇌 역무요동 | 또한 요란함이 없게 하며, |
| 於己妻室에 喜足而住하고 | 자기의 아내에 |
| 어기처실 희족이주 | 기쁨으로 만족하고 |
| 終不希求를 非法色欲하야 | 결코 법 아닌 색욕을 |
| 종불희구 비법색욕 | 추구하지 아니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欲邪行하야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사행의 애욕으로 인해 |
| 인욕사행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室家障호되 | 법장, 실가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실가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欲邪行輪하야 | 사행의 애욕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욕사행륜 | [遠離欲邪行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妻室貞良하며 將命終時에 | 아내가 정숙하고 선량하며 |
| 처실정량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具諸眷屬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구제권속 | 모든 권속들을 구족하고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欲邪行하야 | 그에 의지하여 |
| 의피수학 이욕사행 | 사행의 애욕을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에 無諸女人이 離諸婬欲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에 |
| 소거불토 무제여인 이제음욕 | 모든 여인들이 온갖 음욕을 여의고 |
| 具足第一梵行有情이 來生其國하며 | 으뜸가는 법행을 갖춘 유정들이 |
| 구족제일범행유정 내생기국 | 그 국토에 태어나며 |
| 一切有情이 皆受化生하야 | 모든 유정들이 |
| 일체유정 개수화생 | 다 새롭게 변화하여 |
| 不處胞胎를 臭穢不淨하며 | 더럽고 냄새나며 부정한 |
| 불처포태 취예부정 | 임신이 없어지고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세 번째 |
| 第三遠離欲邪行輪也라하나니라 | 사행의 애욕을 여의는 륜 |
| 제삼원리욕사행륜야 | [遠離欲邪行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虛誑語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허광어 | 허망히 속이는 말을 여읜다면 |
| 一切衆生이 常共愛敬하고 | 모든 중생들이 |
| 일체중생 상공애경 | 항상 함께 사랑하며 공경하고 |
| 所出言詞가 皆誠諦量하야 | 하는 말마다 정성으로 |
| 소출언사 개성제량 | 살피고 헤아려서 |
| 聞悉敬奉하고 無所猜疑하야 | 듣는 이가 다 존경하여 받들고 |
| 문실경봉 무소시의 | 미워하거나 의심하지 아니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虛誑語하야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허망히 속이는 말을 함으로 인해 |
| 인허광어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信言障호되 | 법장, 신언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신언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虛誑語輪하야 | 허망히 속이는 말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허광어륜 | [遠離虛誑語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所出言詞에 他皆信奉하며 將命終時에 | 하는 말을 타인들이 믿고 받들며 |
| 소출언사 타개신봉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所言誠諦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소언성체 | 정성으로 살펴 말을 하고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虛誑語하야 | 그에 의지하여 허망히 속이는 말을 |
| 의피수학 이허광어 |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에 一切眞實하야 | 살고 있는 불국토에 |
| 소거불토 일체진실 | 모두가 진실하여 |
| 離諸虛僞하고 妙香潔物之所莊嚴하며 | 온갖 거짓을 여의고 아름답고 |
| 이제허위 묘향결물지소장엄 | 향기롭고 순결한 것들로 장엄되며 |
| 無諂無誑하고 心行正眞하며 | 아첨도 속임도 없고 |
| 무첨무광 심행정진 | 마음과 행동이 바르고 진실하며 |
| 希求純淨善法有情이 來生其國하야 | 순수하고 깨끗한 선법을 희구하는 |
| 희구순정선법유정 내생기국 | 유정들이 그 국토에 태어나 |
| 香潔妙服을 寶飾莊嚴하고 | 향기롭고 정결한 아름다운 옷을 |
| 향결묘복 보식장엄 | 보배로 장식하여 입고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네 번째 |
| 第四遠離虛誑語輪也라하나니라 | 허망히 속이는 말을 여의는 륜 |
| 제사원리허광어륜야 | [遠離虛誑語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離閒語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이간어 | 이간하는 말을 여읜다면 |
| 一切衆生이 常共愛敬하고 | 모든 중생들이 |
| 일체중생 상공애경 | 항상 함께 사랑하며 공경하고 |
| 所發言詞가 皆令和順하야 | 하는 말마다 혼화하고 |
| 소발언사 개령화순 | 유순하여 |
| 聞悉敬奉하고 無所猜疑하야 | 듣는 이가 다 존경하여 받들고 |
| 문실경봉 무소시의 | 미워하거나 의심하지 아니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離間語하야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이간하는 말을 함으로 인해 |
| 인이간어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和敬障호되 | 법장, 화경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화경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離間語輪하야 | 이간하는 말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이간어륜 | [遠離離間語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所發言詞가 皆令和順하며 將命終時에 | 하는 말마다 온화하고 유순하게 하며 |
| 소발언사 개령화순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所言和順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소언화순 | 온화하고 유순하게 말하고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離間語하야 | 그에 의지하여 이간하는 말을 |
| 의피수학 이이간어 |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가 一切堅密하야 | 살고 있는 불국토가 |
| 소거불토 일체견밀 | 모두가 견고히 단합하여 |
| 難可破壞하고 諸美妙物之所莊嚴하며 | 가히 파괴하기 어렵고 |
| 난가파괴 제미묘물지소장엄 | 온갖 아름답고 묘한 것들로 장엄되며 |
| 無違無競하야 善和諍訟하고 | 등지거나 경쟁함이 없어서 |
| 무위무경 선화쟁송 | 소송이 잘 화해되고 |
| 希求淳質善法有情이 來生其國하야 | 순박한 바탕의 선법을 희구하는 |
| 희구순질선법유정 내생기국 | 유정들이 그 국토에 태어나 |
| 常修和敬하며 聽聞正法하고 | 항상 화목하고 공경함을 닦으며 |
| 상수화경 청문정법 | 바른 법을 듣고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
| 第五遠離離間語輪也라하나니라 | 다섯 번째 이간하는 말을 여의는 륜 |
| 제오원리이간어륜야 | [遠離離間語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麤惡語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추악어 | 추악한 말을 여읜다면 |
| 一切衆生이 常共愛敬하고 | 모든 중생들이 |
| 일체중생 상공애경 | 항상 함께 사랑하며 공경하고 |
| 所發語言이 皆令歡悅하야 | 하는 말마다 기쁘게 하여 |
| 소발어언 개령환열 | |
| 聞悉敬奉하고 無所猜疑하야 | 듣는 이가 다 존경하여 받들고 |
| 문실경봉 무소시의 | 미워하거나 의심하지 아니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麤惡語하야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추악한 말을 함으로 인해 |
| 인추악어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調善障호되 | 법장, 조선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조선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麤惡語輪하야 | 추악한 말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추악어륜 | [遠離麤惡語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有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유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所發言詞가 皆令歡悅하며 將命終時에 | 하는 말마다 기쁘게 하며 |
| 소발언사 개령환열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所言柔軟하고 | 나는 곳마다 유연하게 말하고 |
| 수소생처 소언유연 |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麤惡語하야 | 그에 의지하여 추악한 말을 |
| 의피수학 이추악어 |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가 遠離一切不可意聲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가 |
| 소거불토 원리일체불가의성 | 모든 생각할 수 없는 소리를 여의고 |
| 種種上妙가 如意和雅하고 | 갖가지 매우 묘한 것들이 |
| 종종상묘 여의화아 | 뜻대로 맑게 어우러지고 |
| 諸意樂聲이 結集法聲하야 | 모든 의요의 소리가 |
| 제의요성 결집법성 | 모아져서 법의 소리가 되어 |
| 充滿其土하며 具足念慧하고 | 그 국토에 충만하며 |
| 충만기토 구족념혜 | 생각하는 지혜를 구족하고 |
| 梵音淸徹調善有情이 來生其國하야 | 범음을 맑고 투철히 잘 조율하는 |
| 희구순질선법유정 내생기국 | 유정들이 그 국토에 태어나 |
| 常以軟語로 更相勸進하며 | 항상 부드러운 말로 |
| 상이연어 갱상권진 | 서로 정진하기를 권하며,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
| 第六遠離麤惡語輪也라하나니라 | 여섯 번째 추악한 말을 여의는 륜 |
| 제육원리추악어륜야 | [遠離麤惡語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離雜穢語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이잡예어 | 더러운 말[雜穢語]을 여읜다면 |
| 一切衆生이 常共愛敬하고 | 모든 중생들이 |
| 일체중생 상공애경 | 항상 함께 사랑하며 공경하고 |
| 所發言詞가 皆有義利하야 | 하는 말마다 이로움이 있어서 |
| 소발언사 개유의리 | |
| 聞悉敬奉하고 無所猜疑하야 | 듣는 이가 다 존경하여 받들고 |
| 문실경봉 무소시의 | 미워하거나 의심하지 아니하여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雜穢語하야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더러운 말을 함으로 인해 |
| 인잡예어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몸과 말과 뜻으로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義利障호되 | 법장, 의리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의리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雜穢語輪하야 | 더러운 말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잡예어륜 | [遠離雜穢語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所猜慮하고 身心安樂하야 | 미움과 근심이 없이 |
| 무소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여 |
| 所發言詞가 皆成義利하며 將命終時에 | 하는 말마다 의로운 이익이 되며 |
| 소발언사 개성의리 장명종시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言必饒益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언필요익 | 말이 반드시 유익하고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雜穢語하야 | 그에 의지하여 더러운 말을 |
| 의피수학 이잡예어 |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가 遠離一切無義利聲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가 |
| 소거불토 원리일체무의리성 | 모든 이롭지 못한 소리를 여의고 |
| 種種上妙 菩薩藏攝 大法音聲이 | 보살이 간직한 |
| 종종상묘 | 갖가지 극히 아름다운 법음성이 |
| 周遍國土하며 | 온 국토에 두루하며, |
| 주변국토 | |
| 成就無邊 大願妙智하고 | 한량없는 대원과 묘지를 성취하고 |
| 성취무량 대원묘지 | |
| 能善辯說을 種種法義하난 | 능히 갖가지 법의 의미를 |
| 능선변설 종종법의 | 잘 설하는 |
| 如是有情이 來生其國하고 | 이러한 유정들이 |
| 여시유정 내생기국 | 그 국토에 태어나고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
| 第七遠離雜穢語輪也라하나니라 | 일곱 번째 더러운 말을 여의는 륜 |
| 제칠원리잡예어륜야 | [遠離雜穢語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復次善男子야 若菩薩摩訶薩이 | 또 선남자여, |
| 부차선남자 약보살마하살 | 만약 보살마하살이 |
| 能盡形壽하야 遠離貪欲하면 | 능히 육신과 목숨이 다하도록 |
| 능진형수 원리탐욕 | 탐욕(貪欲)을 여읜다면 |
| 一切衆生이 常所愛重하고 | 모든 중생들이 |
| 일체중생 상소애중 | 항상 사랑하며 존중하고 |
| 其心淸淨하야 離諸染濁하며 | 그 마음이 청정하여 |
| 기심청정 이제염탁 | 모두가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며 |
| 由此善根이 速得成熟함이니라 | 그로 말미암아 |
| 유차선근 속득성숙 | 선근이 속히 성숙되게 하는 것이니라. |
| 所有前際에 輪轉五趣하며 | 전생에 오취(五趣)를 윤회하며 |
| 소유전제 윤전오취 | |
| 沒生死河하야 | 생사의 강에 빠져서 |
| 몰생사하 | |
| 因貪欲故로 造身語意 諸惡業障과 | 탐욕으로 인해 몸과 말과 뜻으로 |
| 인탐욕고 조신어의 제악업장 | 모든 악업장과 |
| 諸煩惱障 諸有情障과 | 번뇌장, 중생장, |
| 제번뇌장 제유정장 | |
| 一切法障 諸無貪障호되 | 법장, 무탐장을 짓되 |
| 일체법장 제무탐장 | |
| 自作教他하고 見聞隨喜라가 | 스스로 짓고 또 남에게 짓게 하고 |
| 자작교타 견문수희 | 그것을 기뻐하며 보고 듣고 하다가 |
| 由此遠離貪欲輪하야 | 탐욕을 여의는 륜 |
| 유차원리탐욕륜 | [遠離貪欲輪]으로 말미암아 |
| 皆悉軗壞하고 摧滅無餘하야 | 모두 다 남김없이 |
| 개실수괴 최멸무여 | 짓밟혀 무너지고 꺽어 없어져서 |
| 不受果報하고 | 과보를 받지 않게 되고 |
| 불수과보 | |
| 於現身中에 諸人天等이 皆共親愛하며 | 현신 가운데 모든 천상과 인간들이 |
| 어현신중 제인천등 개공친애 | 다 함께 친애하며 |
| 無所猜慮하고 身心安樂하며 | 미움과 근심이 없고 |
| 무소시려 신심안락 | 심신이 안락하며 |
| 其心淸淨하고 離諸染濁하야 | 그 마음이 청정하고 |
| 기심청정 이제염탁 | 더러움에 물들지 않아서 |
| 將命終時에 | 장차 목숨이 다할 때에도 |
| 장명종시 | |
| 身心이 不爲憂苦逼切하고 | 심신이 근심 고통으로 |
| 신심 불위우고핍절 | 핍박받지 않게 되고 |
| 所愛妻子眷屬이 圍遶하야 | 사랑하는 처자 권속에 둘러 쌓여 |
| 소애처자권속 위요 | |
| 臨命終時에 不見可怖 剡魔王使하고 | 임종할 때에도 |
| 임명종시 불견가포 염마왕사 | 무서운 염라대왕 사신을 보지 않고 |
| 唯見可意 成調善法과 | 오직 뜻에 맞는 |
| 유견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만을 보고 |
| 爲善知識하야 身心歡悅하고 | 선지식을 삼아 심신에 기쁨이 솟고 |
| 위선지식 신심환열 | |
| 深生敬信이라가 | 깊은 존경의 믿음을 내다가 |
| 심생경신 | |
| 旣命終已에 還生人中하야 | 기왕에 목숨이 다하게 되면 |
| 기명종이 환생인중 |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
| 諸根圓滿하고 支體具足하며 | 육근이 원만하고 |
| 제근원만 지체구족 | 지체가 구족하며 |
| 隨所生處하야 其心淸淨하고 | 나는 곳마다 |
| 수소생처 기심청정 | 그 마음이 청정하고 |
| 離諸染濁하며 |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며 |
| 이제염탁 | |
| 端正聰明하고 安隱快樂하며 | 단정하고 총명하며 |
| 단정총명 안은쾌락 | 안은하고 쾌락하게 되며, |
| 復遇可意 成調善法과 | 또 뜻에 맞는 |
| 부우가의 성조선법 | 조화롭게 선법을 이룬 이들과 |
| 具戒富德과 眞實福田하고 | 계행을 갖춘 풍부한 복덕들과 |
| 구계부덕 진실복전 | 진실한 복전들을 만나 |
| 爲善知識하야 | 선지식을 삼고 |
| 위선지식 | |
| 依彼修學을 離貪欲法하야 | 그에 의지하여 탐욕을 |
| 의피수학 이잡예어 | 여의는 것을 수학하여 |
| 能斷一切 惡不善法하고 | 모든 악법을 끊고 |
| 능단일체 악불선법 | |
| 能成一切 殊勝善法하며 | 모든 수승한 선법을 성취하며 |
| 능성일체 수승선법 | |
| 能求一切 大乘法義하고 | 모든 대승법의 의미를 구하고 |
| 능구일체 대승법의 | |
| 能修一切 菩薩願行하며 | 모든 보살의 행원을 닦아서 |
| 능수일체 보살원행 | |
| 漸次趣入을 深廣智海하야 | 점차 깊고 넓은 |
| 점차취입 심광지해 | 지혜의 바다에 들어가고 |
| 乃至證得을 無上菩提하며 | 나아가 위없는 보리를 |
| 내지증득 무상보리 | 증득하게 되며, |
| 所居佛土가 地平如掌하고 | 살고 있는 불국토가 |
| 소거불토 지평여장 | 손바닥처럼 평탄하고 |
| 衆寶充滿하며 種種寶樹가 行列莊嚴하고 | 여러 보배로 가득하며 |
| 중보충만 종종보수 행렬장엄 | 갖가지 보배나무가 줄지어 서고 |
| 種種寶衣와 寶莊嚴具와 | 온갖 보배 옷과 |
| 종종보의 보장엄구 | 보배 장신구와 |
| 寶幢幡蓋와 金銀眞珠羅網等樹가 | 보배 장막, 일산과 |
| 보당번개 금은진주라망등수 | 금, 은, 진주, 라망 등의 나무가 |
| 處處皆有하야 甚可愛樂하며 | 곳곳에 다 있어서 |
| 처처개유 심가애락 | 심히 사랑스럽고 즐거우며, |
| 遠離憍慢하고 顏貌端嚴하며 | 교만한 마음이 없고 |
| 원리교만 안모단엄 | 용모가 단정하며 |
| 諸根無缺하고 其心平等한 | 육근에 결함이 없고 |
| 제근무결 기심평등 | 그 마음이 평등한 |
| 如是有情이 來生其國하고 | 이러한 유정들이 |
| 여시유정 내생기국 | 그 국토에 태어나 |
| 無貪功德으로 圓滿莊嚴하니 | 탐욕이 없는 공덕을 |
| 무탐공덕 원만장엄 | 원만히 장엄하니, |
| 如來自身이 壽命無量하사 | 여래께서는 스스로 한량없는 |
| 여래자신 수명무량 | 수명을 누리시면서 |
| 爲諸有情하야 如應說法하시고 | 모든 유정을 위해 |
| 위제유정 여응설법 | 마땅한 대로 법을 설하시고 |
| 般涅槃後에 正法久住하야 | 열반에 드신 후에도 |
| 반열반후 정법구주 | 정법이 오래토록 머물러 |
| 利益安樂을 無量有情하나니 | 한량없는 중생들이 |
| 이익안락 무량유정 | 이익과 안락함을 누리게 되나니, |
| 善男子야 是名菩薩摩訶薩의 | 선남자여, 이것을 일러 |
| 선남자 시명보살마하살 | 보살마하살의 |
| 第八遠離貪欲輪也라하나니라 | 여덟 번째 탐욕을 여의는 륜 |
| 제팔원리탐욕륜야 | [遠離貪欲輪]이라 하느니라. |
| 菩薩摩訶薩이 成就此輪故로 | 보살마하살이 |
| 보살마하살 성취차륜고 | 이 륜을 성취한 까닭에 |
| 於聲聞乘에 得無誤失하고 | 성문승과 |
| 어성문승 득무오실 | |
| 於聲聞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성문승 보특가라에게 |
| 어성문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於獨覺乘에 得無誤失하고 | 독각승과 |
| 어독각승 득무오실 | |
| 於獨覺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독각승 보특가라에게 |
| 어독각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於其大乘에 得無誤失하고 | 대승과 |
| 어기대승 득무오실 | |
| 於其大乘 補特伽羅에 得無誤失하며 | 대승 보특가라에게 |
| 어기대승 보특가라 득무오실 | 잘못하게 되지 않고 |
| 常能熾然을 三寶種姓하고 | 항상 삼보의 종성을 |
| 상능치연 삼보종성 | 치성하게 할 수 있으며 |
| 於諸如來의 出家弟子에 | 부처님 출가제자에 |
| 어제여래 출가제자 | |
| 若是法器나 若非法器나 | 법그릇이거나 법그릇이 아니거나 |
| 약시법기 약비법기 | |
| 下至一切의 被片袈裟 剃鬚髮者에 | 모든 가사입고 |
| 하지일체 피편가사 제수발자 | 삭발한 이에 이르기까지 |
| 得無誤失하며 | 잘못하게 되지 않으며, |
| 득무오실 | |
| 於大乘法에 常得昇進하야 | 대승법에 항상 정진하여 |
| 어대승법 상득승진 | |
| 無有退轉하고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무유퇴전 | |
| 利慧勝福을 常得增長하며 | 유익한 지혜와 수승한 복을 |
| 이혜승복 상득증장 | 항상 늘려갈 수 있으며, |
| 於一切定과 諸陁羅尼와 諸忍諸地에 | 모든 선정과 다라니와 |
| 어일체정 제다라니 제인제지 | 모든 인(忍)의 지위에 |
| 速得自在하야 無有退轉하고 | 속히 자재함을 얻어 |
| 속득자재 무유퇴전 | 퇴전함이 없게 할 수 있고, |
| 常得値遇를 諸善知識하야 | 항상 선지식을 만나 |
| 상득치우 제선지식 | |
| 隨順而行하며 | 수순하여 행할 수 있으며, |
| 수순이행 | |
| 常得不離하야 見一切佛及諸菩薩과 | 항상 떠나지 않고 |
| 상득불리 견일체불급제보살 |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
| 聲聞弟子하고 不離聞法하며 | 성문제자를 뵙고 법을 들으면서 |
| 성문제자 불리문법 | |
| 不離親近供養을 衆僧하고 | 또 여러 스님들을 |
| 불리친근공양 승중 | 친근하여 공양할 수 있고, |
| 於諸善根에 常精進求하야 | 모든 선근을 |
| 어제선근 상정진구 | 항상 정진하여 구하기를 |
| 心無厭足하며 | 즐겨할 수 있으며, |
| 심무염족 | |
| 常於菩提에 種種行願하야 | 항상 보리를 구함에 |
| 상어보리 종종행원 | 갖가지로 발원하기를 |
| 心無厭足하고 | 즐겨할 수 있고 |
| 심무염족 | |
| 所得果報가 廣說如前하나니라 | 앞서 말한 바와 같은 |
| 소득과보 광설여전 | 과보를 받는 것이니라." |
| 大乘大集地藏十輪經卷第八 | |
| 己亥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 |
'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제10권 (0) | 2013.06.05 |
|---|---|
|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제9권 (0) | 2013.06.05 |
|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제7권 (0) | 2013.06.05 |
|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제6권 (0) | 2013.06.05 |
|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 제5권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