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2 장 보현보살 | |
| 於是普賢菩薩이 在大衆中이라가 | 이때에 보현보살이 |
| 어시보현보살 재대중중 | 대중 속에 있다가 |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자리에서 일어나 |
|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
| 右遶三帀하며 長跪叉手하야 | 우로 세 번 돈 다음 |
| 우요삼잡 장궤차수 | 두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
| 而白佛言호대 大悲世尊하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이백불언 대비세존 |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
| 願爲此會諸菩薩衆과 | 원하옵건대 |
| 원위차회제보살중 | 이 법회의 보살대중들과 |
| 及爲末世一切衆生 修大乘者하소서 | 말세에 대승을 닦는 |
| 급위말세일체중생 수대승자 | 일체중생을 위하소서. |
| 聞此圓覺淸淨境界인댄 云何修行하오릿가 | 이 원각의 청정한 경계를 들었다면 |
| 문차원각청정경계 운하수행 | 어떻게 수행해야 하오리까? |
| 世尊하 若彼衆生이 知如幻者인댄 | 세존이시여, 만일 저 중생이 |
| 세존 약피중생 지여환자 | 허깨비 같음을 안다면, |
| 身心亦幻이온데 云何以幻으로 | 몸과 마음도 허깨비인데 |
| 신심역환 운하이환 | 어떻게 허깨비로 |
| 還修於幻이릿가? | 도리어 허깨비를 닦겠나이까? |
| 환수어환 | |
| 若諸幻性이 一切盡滅하면 則無有心이어늘 | 만일 모든 허깨비 성품이 다 소멸하면 |
| 약제환성 일체진멸 즉무유심 | 곧 마음이 없게 되는데 |
| 誰爲修行이며 云何復說修行如幻하시닛고 | 누가 수행하며, 세존께서는 |
| 수위수행 운하부설수행여환 | 왜 수행이 허깨비 같다 하시나이까? |
| 若諸衆生이 本不修行인댄 | 만약 중생들이 |
| 약제중생 본불수행 | 본래 수행하지 않는다면 |
| 於生死中에 常居幻化하고 | 생사 속에서 |
| 어생사중 상거환화 | 항상 환화(幻化)에 머물러 있고 |
| 曾不了知 如幻境界이어늘 | 허깨비 같은 경계를 |
| 증불료지 여환경계 | 알기 조차도 못할 터인데 |
| 令妄想心으로 云何解脫하나잇가 | 망상심으로 하여금 |
| 영망상심 운하해탈 | 어떻게 해탈하게 하겠나이까? |
| 願爲末世一切衆生하소서 | 원하옵건대 |
| 원위말세일체중생 | 말세의 일체중생을 위하소서. |
| 作何方便하고 漸次修習하야 | 어떤 방편을 마련해 |
| 작하방편 점차수습 | 점차 수습하게 하여 |
| 令諸衆生으로 永離諸幻하오릿가 | 중생들로 하여금 모든 허깨비를 |
| 영제중생 영리제환 | 영원히 여의게 하오리까?" |
| 作是語已에 五體投地하야 | 이렇게 아뢰고서 |
| 작시어이 오체투지 | 오체투지하여 |
| 如是三請을 終而復始러라 | 똑 같이 세 번을 거듭하여 청했다. |
| 여시삼청 종이부시 | |
| 爾時世尊이 告普賢菩薩言하사대 | 이때에 세존께서 |
| 이시세존 고보현보살언 | 보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
| 善哉 善哉라 善男子야 | "참으로 장하도다. 선남자여, |
| 선재 선재 선남자 | |
| 汝等이 乃能爲諸菩薩及末世衆生하야 | 그대가 능히 모든 보살들과 |
| 여등 내능위제보살급말세중생 | 말세의 중생들을 위해 |
| 修習菩薩如幻三昧 方便漸次하야 | 보살의 여환삼매를 |
| 수습보살여환삼매 방편점차 | 방편으로 점차 닦아 익히게 하여 |
| 令諸衆生으로 得離諸幻이로다 | 중생들로 하여금 모든 허깨비를 |
| 영제중생 득리제환 | 여의게 하겠다니. |
| 汝今諦聽하라 當爲汝說하리라 | 그대는 잘 들으라. |
| 여금제청 당위여설 | 마땅히 그대를 위해 말하리라." |
| 時에 普賢菩薩이 奉教歡喜하고 | 때에 보현보살은 가르침을 |
| 시 보현보살 봉교환희 | 받게 되어 크게 기뻐하며 |
| 及諸大衆하야 默然而聽이러라 | 대중들과 함께하여 조용히 들었다. |
| 급제대중 묵연이청 | |
| 善男子야 一切衆生의 種種幻化는 | "선남자여, |
| 선남자 일체중생 종종환화 | 일체중생의 갖가지 환화(幻化)는 |
| 皆生如來 圓覺妙心하나니 | 모두 여래의 원각묘심(圓覺妙心)에서 |
| 개생여래 원각묘심 | 생겨나는 것이니, |
| 猶如空花가 從空而有라가 | 마치 허공꽃[空花]이 |
| 유여공화 종공이유 | 허공에서 생겨나 있다가 |
| 幻花雖滅이라도 空性不壞인닷 | 허깨비 꽃은 비록 소멸하더라도 |
| 환화수멸 공성불괴 | 허공성은 무너지지 않듯이 |
| 衆生幻心이 還依幻滅하야 | 중생의 허깨비 마음이 |
| 중생환심 환의환멸 | 도리어 허깨비에 의해 소멸하여 |
| 諸幻盡滅이라도 覺心不動이니라 | 모든 허깨비가 다 소멸해도 |
| 제환진멸 각심부동 | 원각묘심은 움직이지 않느니라. |
| 依幻說覺도 亦名爲幻이요 | 허깨비에 의지해 깨달음을 말하는 것도 |
| 의환설각 역명위환 | 허깨비라 할 것이요 |
| 若說有覺이면 猶未離幻이며 | 만약 깨달음이 있다고 말하면 |
| 약설유각 유미리환 | 오히려 아직 허깨비를 여의지 못한 것이며 |
| 說無覺者도 亦復如是일새 | 깨달음이 없다 말하는 것도 그러하다. |
| 설무각자 역부여시 | |
| 是故로 幻滅을 名爲不動하나니라 | 그러므로 허깨비가 소멸한 것을 |
| 시고 환멸 명위부동 | '부동'이라 하느니라. |
| 善男子야 一切菩薩及末世衆生은 | 선남자여, |
| 선남자 일체보살급말세중생 | 일체의 보살과 말세의 중생은 |
| 應當遠離一切幻化의 虛妄境界하며 | 응당 모든 환화의 |
| 응당원리일체환화 허망경계 | 허망한 경계를 멀리 떠나야 하며, |
| 由堅執持 遠離心故로 | 멀리 떠나려는 마음을 |
| 유견집지 원리심고 | 굳게 집착하여 붙들고 있는 까닭에 |
| 心如幻者면 亦復遠離니라 | 그 마음이 허깨비와 같다면 |
| 심여환자 역부원리 | 그 또한 멀리 떠나야 한다. |
| 遠離爲幻이니 亦復遠離하고 | 멀리 떠난다는 것도 허깨비니 |
| 원리위환 역부원리 | 그 또한 멀리 떠나고, |
| 離遠離幻도 亦復遠離하야 | 멀리 떠난다는 것을 떠나는 것도 허깨비니 |
| 이원리환 역부원리 | 역시 멀리 떠나서 |
| 得無所離라사 卽除諸幻이니 | 떠날 것이 없어져야 |
| 득무소리 즉제제환 | 모든 허깨비가 제거되나니 |
| 譬如鑽火에 兩木相因하야 | 비유컨대 불씨를 얻을 때[鑽火] |
| 비여찬화 양목상인 | 두 나무가 서로 부벼지는 인(因)으로 |
| 火出木盡하고 灰飛煙滅인닷 | 불이 일어나면 나무는 다 타서 |
| 화출목진 회비연멸 | 재로 날라가고 연기로 사라지듯이 |
| 以幻修幻도 亦復如是어니와 | 허깨비로 허깨비를 닦는 것도 |
| 이환수환 역부여시 | 그와 같거니와 |
| 諸幻雖盡이라도 不入斷滅이니라 | 비록 모든 허깨비가 다 소멸하더라도 |
| 제환수진 불입단멸 | 단멸(斷滅)에 들어가지는 않느니라. |
| 善男子야 知幻卽離하고 不作方便이니 | 선남자여, 허깨비인 줄 알았거든 곧 떠나고 |
| 선남자 지환즉리 부작방편 | 달리 방편을 구하지 말지니 |
| 離幻卽覺이요 亦無漸次니라 | 허깨비를 떠나는 것이 곧 깨달음이요 |
| 이환즉각 역무점차 | 또한 점차(漸次)할 것도 없는 것이다. |
| 一切菩薩及末世衆生은 依此修行이니 | 모든 보살들과 말세의 중생들은 |
| 일체보살급말세중생 의차수행 | 이 도리에 의지하여 수행할지니, |
| 如是라사 乃能永離諸幻이니라 | 이와 같아야 마침내 모든 허깨비를 |
| 여시 내능영리제환 | 영원히 떠날 수 있느니라." |
| 爾時世尊이 欲重宣此義하사 | 이때에 세존께서 |
| 이시세존 욕중선차의 | 이러한 뜻을 거듭 밝히시고자 |
| 而說偈言하사대 |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
| 이설게언 | |
| 普賢汝當知 一切諸衆生 | 보현이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
| 보현여당지 일체제중생 | 일체의 모든 중생들의 |
| 無始幻無明 皆從諸如來 | 무시이래의 허깨비 무명은 |
| 무시환무명 개종제여래 | 모두가 모든 여래의 |
| 圓覺心建立 猶如虛空花 | 원각심으로부터 생겨나느니라. |
| 원각심건립 유여허공화 | 마치 허공화가 |
| 依空而有相 空花若復滅 | 허공에 의지하여 그 모습이 있다가 |
| 의공이유상 공화약부멸 | 허공화가 다시 소멸하면 |
| 虛空本不動 幻從諸覺生 | 허공은 본래대로 부동한 것과 같으니라. |
| 허공본부동 환종제각생 | 허깨비는 원각에서 생겨났으니 |
| 幻滅覺圓滿 覺心不動故 | 허깨비가 멸하면 원각이 원만지는 것은 |
| 환멸각원만 각심부동고 | 원각심은 부동하기 때문이니라. |
| 若彼諸菩薩 及末世衆生 | 만약 저 모든 보살과 |
| 약피제보살 급말세중생 | 말세의 중생들이 |
| 常應遠離幻 諸幻悉皆離 | 마땅히 항상 허깨비를 멀리 떠나서 |
| 상응원리환 제환실개리 | 모든 허깨비가 다 떠나면 |
| 如木中生火 木盡火還滅 | 나무에서 불이 생겨나 |
| 여목중생화 목진화환멸 | 나무가 다하면 불도 소멸하듯이 |
| 覺則無漸次 方便亦如是 | 원각에는 점차가 없고 |
| 각즉무점차 방편역여시 | 방편도 역시 그러하니라. |
'원각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원각경_제 6장 청정혜(淸淨慧)보살 편 (0) | 2015.06.04 |
|---|---|
| 원각경_제 5장 미륵보살 편 (0) | 2015.06.03 |
| 원각경_제 4장 금강장(金剛藏)보살 편 (0) | 2015.06.03 |
| 원각경_제 3장 보안보살 편 (0) | 2015.06.03 |
| 원각경(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_ 제 1장 문수보살 편 (0) | 201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