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6 장 청정혜(淸淨慧)보살 | |
| 於是淸淨慧菩薩이 在大衆中이라가 | 이때에 청정혜보살이 |
| 어시청정혜보살 재대중중 | 대중 속에 있다가 |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 자리에서 일어나 |
| 즉종좌기 정례불족 | 부처님 발에 정례하고 |
| 右遶三帀하며 長跪叉手하야 | 우로 세 번 돈 다음 |
| 우요삼잡 장궤차수 | 두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
| 而白佛言호대 大悲世尊하 | 부처님께 아뢰었다. |
| 이백불언 대비세존 |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
| 爲我等輩하사 廣說如是不思議事하시니 | 저희들을 위해 이와 같이 불가사의한 |
| 위아등배 광설여시부사의사 | 일들을 자세히 말씀해 주시니 |
| 本所不見이요 本所不聞이로소이다 | 본래 보지 못하고 |
| 본소불견 본소불문 | 본래 듣지도 못한 바이옵니다. |
| 我等이 今者에 蒙佛善誘하와 | 저희가 이제 부처님의 |
| 아등 금자 몽불선유 | 좋은 가르침을 받아서 |
| 身心泰然하니 得大饒益하나이다 | 몸과 마음이 태연하니 |
| 신심태연 득대요익 | 큰 이익을 얻었나이다. |
| 願爲一切諸來法衆하사 | 원하오니 법회에 온 모든 중생을 위해 |
| 원위일체제래법중 | |
| 重宣法王圓滿覺性하소서 | 법왕의 원만한 각성에 대해 |
| 중선법왕원만각성 | 거듭 말씀해 주옵소서. |
| 一切衆生及諸菩薩과 如來世尊의 | 일체중생과 모든 보살들과 |
| 일체중생급제보살 여래세존 | 여래 세존의 |
| 所證所得이 云何差別이닛가 | 증득하는 바와 얻는 바가 |
| 소증소득 운하차별 | 어떻게 차별하나이까? |
| 令末世衆生으로 聞此聖教하고 | 말세의 중생으로 하여금 |
| 영말세중생 문차성교 | 이 거룩한 가르침을 듣고 |
| 隨順開悟하야 漸次能入케하소서 | 수순하여 깨우쳐서 |
| 수순개오 점차능입 | 점차 들어갈 수 있게 하소서." |
| 作是語已에 五體投地하야 | 이렇게 아뢰고서 |
| 작시어이 오체투지 | 오체투지하여 |
| 如是三請을 終而復始러라 | 똑 같이 세 번을 거듭하여 청했다. |
| 여시삼청 종이부시 | |
| 爾時世尊이 告淸淨慧菩薩言하사대 | 그러자 세존께서 |
| 이시세존 고청정혜보살언 | 청정혜보살에게 말씀하셨다. |
| 善哉 善哉라 善男子야 | "참으로 장하도다. 선남자여, |
| 선재 선재 선남자 | |
| 汝等이 乃能爲諸菩薩及末世衆生하야 | 그대가 보살들과 |
| 여등 내능위제보살급말세중생 | 말세의 중생들을 위해 |
| 請問如來 漸次差別이로다 | 여래에게 점차의 차별함을 묻다니. |
| 청문여래 점차차별 | |
| 汝今諦聽하라 當爲汝說하리라 | 그대는 잘 들으라. |
| 여금제청 당위여설 | 마땅히 그대를 위해 설하리라." |
| 時에 淸淨慧菩薩이 奉教歡喜하고 | 때에 청정혜보살이 가르침을 |
| 시 청정혜보살 봉교환희 | 받게 되어 크게 기뻐하며 |
| 及諸大衆하야 默然而聽이러라 | 대중들과 함께하여 조용히 들었다. |
| 급제대중 묵연이청 | |
| 善男子야 圓覺自性은 非性性有라 | 선남자여, 원각의 자성은 |
| 선남자 원각자성 비성성유 | 무자성(無自性)의 성품이라 |
| 循諸性起호대 無取無證하야 | 모든 성품을 좇아 수행을 일으키되, |
| 순제성기 무취무증 | 취함도 증득함도 없어서 |
| 於實相中에 實無菩薩及諸衆生이니 | 실상 가운데는 |
| 어실상중 실무보살급제중생 | 실로 보살도 중생도 없나니, |
| 何以故오 菩薩衆生이 皆是幻化요 | 무엇 때문인가? |
| 하이고 보살중생 개시환화 | 보살과 중생은 모두 환화이며, |
| 幻化滅故로 無取證者니라 | 환화가 멸한 까닭에 |
| 환화멸고 무취증자 | 취하고 증득할 것이 없는 것이다. |
| 譬如眼根이 不自見眼인달하야 | 비유컨대 마치 안근이 |
| 비여안근 부자견안 | 자기 눈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
| 性自平等하야 無平等者니라 | 원각의 자성은 스스로 평등하여 |
| 성자평등 무평등자 | 평등이라는 것이 없느니라. |
| 衆生迷倒하야 未能除滅一切幻化하니 | 중생은 미혹으로 전도되어 |
| 중생미도 미능제멸일체환화 | 일체의 환화를 제멸할 수 없으니 |
| 於滅未滅 妄功用中에 | 멸해야 할 것을 멸하지 못한 |
| 어멸미멸 망공용중 | 허망한 수행공부 가운데에 |
| 便顯差別하거니와 | 문득 차별이 드러나거니와 |
| 변현차별 | |
| 若得如來寂滅隨順이면 | 만약 여래의 적멸에 수순하여 얻는다면 |
| 약득여래적멸수순 | |
| 實無寂滅及寂滅者니라 | 실로 적멸도 적멸한 자도 없느니라. |
| 실무적멸급적멸자 | |
| 善男子야 一切衆生은 從無始來로 | 선남자여, |
| 선남자 일체중생 종무시래 | 일체중생은 무시이래로부터 |
| 由妄想我 及愛我者하야 | '나'라는 망령된 생각으로 말미암아 |
| 유망상아 급애아자 | '나'라는 것을 사랑하여 |
| 曾不自知 念念生滅일새 | 일찍이 순간순간의 생멸을 |
| 증부자지 념념생멸 | 스스로 알지 못하니 |
| 故起憎愛하고 耽著五欲하나니라 | 그래서 애증을 일으키며 |
| 고기증애 탐착오욕 | 오욕을 탐닉하고 집착하는 것이니라. |
| 若遇善友하야 教令開悟淨圓覺性하고 | 만약 선지식을 만나 |
| 약우선우 교령개오정원각성 | 가르침으로 청정원만한 각성을 깨닫고 |
| 發明起滅하면 | 염두(念頭)의 끊임없는 기멸(起滅)을 |
| 발명기멸 | 발견하여 이해하면 |
| 卽知此生이 性自勞慮하리라 | 곧 이 일생이 본디 스스로 애써 |
| 즉지차생 성자노려 | 번뇌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느니라. |
| 若復有人이 勞慮永斷하야 | 만약 또 어떤 사람이 |
| 약부유인 노려영단 | 수고로운 번뇌를 영원히 끊고 |
| 得法界淨하면 卽彼淨解가 爲自障㝵하야 | 법계의 청정함을 얻으면, |
| 득법계정 즉피정해 위자장애 | 그 청정한 견해가 스스로 장애가 되어 |
| 故於圓覺에 而不自在하니 | 그 때문에 원각이 자재하지 못하니 |
| 고어원각 이부자재 | |
| 此名凡夫隨順覺性하나니라 | 이것을 '범부가 각성에 수순함'이라 하느니라. |
| 차명범부수순각성 | |
| 善男子야 一切菩薩은 見解爲㝵하야 | 선남자여, |
| 선남자 일체보살 견해위애 | 일체의 보살은 견해가 장애가 되어 |
| 雖斷解㝵나 猶住見覺하야 | 비록 견해의 장애를 끊었더라도 |
| 수단해애 유주견각 | 오히려 깨달았다는 상에 머물러 |
| 覺㝵爲礙하고 而不自在하니 | 깨달았다는 장애가 걸림이 되어 |
| 각애위애 이부자재 | 자재하지 못하니, |
| 此名菩薩未入地者隨順覺性하나니라 | 이것을 '초지(初地)에 못들어간 보살이 |
| 차명보살미입지자수순각성 | 각성에 수순함'이라 하느니라. |
| 善男子야 有照有覺을 俱名障㝵일새 | 선남자여, 조(照)가 있고 각(覺)이 있는 것을 |
| 선남자 유조유각 구명장애 | 모두 장애라 한다. |
| 是故菩薩은 常覺不住하니 | 그래서 보살은 깨어있으면서 |
| 시고보살 상각부주 | 어떤 경계에도 머물지 않으니 |
| 照與照者가 同時寂滅이니라 | 비춰지는 것과 비추는 것이 |
| 조여조자 동시적멸 | 동시에 적멸하느니라. |
| 譬如有人이 自斷其首하면 | 비유컨대 어떤 사람이 |
| 비여유인 자단기수 | 스스로 제 머리를 자르면 |
| 首已斷故로 無能斷者인달하야 | 머리가 이미 잘라졌기 때문에 |
| 수이단고 무능단자 | 자르는 자도 없듯이, |
| 則以㝵心으로 自滅諸㝵하면 | 장애있는 마음이 |
| 즉이애심 자멸제애 | 모든 장애를 스스로 없애면 |
| 㝵已斷滅이니 無滅㝵者니라 | 장애가 이미 단멸했기 때문에 |
| 애이단멸 무멸애자 | 장애를 없애는 자도 없느니라. |
| 修多羅教는 如摽月指하야 | 수다라의 가르침은 |
| 수다라교 여표월지 |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아서 |
| 若復見月하면 了知所摽가 畢竟非月하니 | 만약 달을 보면 가리키는 손가락이 |
| 약부견월 요지소표 필경비월 | 필경에 달이 아님을 분명히 아는데 |
| 一切如來가 種種言說로 | 일체 여래가 갖가지 언설로 |
| 일체여래 종종언설 | |
| 開示菩薩도 亦復如是하나니 | 보살을 깨우치시는 것도 |
| 개시보살 역부여시 | 역시 그와 같나니 |
| 此名菩薩已入地者 隨順覺性하나니라 | 이것을 '초지에 이미 들어간 보살이 |
| 차명보살이입지자 수순각성 | 각성에 수순함'이라 하느니라. |
| 善男子야 一切障㝵가 卽究竟覺이니 | 선남자여, |
| 선남자 일체장애 즉구경각 | 일체의 장애가 곧 구경각(究竟覺)이니 |
| 得念失念이 無非解脫이며 | 일념을 얻고 일념을 잃고가 |
| 득념실념 무비해탈 | 해탈 아님이 없으며, |
| 成法破法이 皆名涅槃이며 | 성취법과 파괴법을 |
| 성법파법 개명열반 | 다 열반이라 하고, |
| 智慧愚癡가 通爲般若며 | 지혜와 어리석음이 다같이 반야이며, |
| 지혜우치 통위반야 | |
| 菩薩外道 所成就法이 同是菩提며 | 보살과 외도가 성취한 법이 |
| 보살외도 소성취법 동시보리 | 똑같이 보리이며, |
| 無明眞如가 無異境界며 | 무명과 진여가 다른 경계가 없으며, |
| 무명진여 무이경계 | |
| 諸戒定慧 及婬怒癡가 俱是梵行이며 | 계정혜(戒定慧)와 음노치(婬怒癡)가 |
| 제계정혜 급음노치 구시범행 | 다같이 범행이며, |
| 衆生國土가 同一法性이며 | 유정중생과 무정국토가 |
| 중생국토 동일법성 | 동일한 법성이며, |
| 地獄天宮이 皆爲淨土며 | 지옥과 천궁이 다 정토이며, |
| 지옥천궁 개위정토 | |
| 有性無性이 齊成佛道며 | 영성(靈性)이 있거나 없거나 |
| 유성무성 제성불도 | 모두 불도를 이루며, |
| 一切煩惱가 畢竟解脫이라 | 일체의 번뇌가 필경에 해탈이라 |
| 일체번뇌 필경해탈 | 법계 바다의 지혜로 |
| 法界海慧가 照了諸相호미 猶如虛空하니 | 모든 상을 비추어 아는 것이 |
| 법계해혜 조료제상 유여허공 | 마치 허공과 같으니 |
| 此名如來隨順覺性하나니라 | 이것을 '여래의 각성에 수순함'이라 하느니라. |
| 차명여래수순각성 | |
| 善男子야 但諸菩薩及末世衆生은 | 선남자여, |
| 선남자 단제보살급말세중생 | 다만 모든 보살과 말세의 중생들은 |
| 居一切時에 不起妄念하고 | 어느 때나 망념을 일으키지 말고, |
| 거일체시 불기망념 | |
| 於諸妄心에 亦不息滅하며 | 모든 망심을 쉬어 없애려 하지도 말며, |
| 어제망심 역불식멸 | |
| 住妄想境이어든 不加了知니 | 망상의 경계에 머물렀거든 |
| 주망상경 불가료지 | 더 분명히 알려 하지 말지니 |
| 於無了知에 不辨眞實이니라 | 분명히 알려함이 없는 데에서는 |
| 어무료지 불변진실 | 진실을 가리지도 말지니라. |
| 彼諸衆生이 聞是法門하고 | 저 중생들이 이 법문을 듣고 |
| 피제중생 문시법문 | |
| 信解受持하야 不生驚畏하면 | 믿고 이해하고 받아 지녀 |
| 신해수지 불생경외 |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않으면 |
| 是則名爲隨順覺性하나니라 | 이것을 '각성에 수순한다.' 하느니라. |
| 시즉명위수순각성 | |
| 善男子야 汝等當知니 如是衆生은 | 선남자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
| 선남자 여등당지 여시중생 | 이와 같은 중생은 |
| 已曾供養百千萬億恒河沙諸佛及大菩薩하야 | 이미 백천만억 항하사의 |
| 이증공양백천만억항하사제불급대보살 | 부처님들과 대보살들을 공양하여 |
| 植衆德本이니 | 온갖 공덕의 근본을 심었으니 |
| 식중덕본 | |
| 佛說是人名爲成就一切種智하시니라 | 부처님께서는 이 사람을 |
| 불설시인명위성취일체종지 | '일체종지를 성취하게 된다.'고 하시니라. |
| 爾時世尊이 欲重宣此義하사 | 이때 세존께서 |
| 이시세존 욕중선차의 | 이러한 뜻을 거듭 밝히시고자 |
| 而說偈言하사대 |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
| 이설게언 | |
| 淸淨慧當知 圓滿菩提性 | 청정혜여, 마땅히 알라. |
| 청정혜당지 원만보리성 | 원만한 보리의 각성은 |
| 無取亦無證 無菩薩衆生 | 취함도 없고 증득함도 없으며 |
| 무취역무증 무보살중생 | 보살도 중생도 없으되 |
| 覺與未覺時 漸次有差別 | 깨닫고 깨닫지 못했을 때 |
| 각여미각시 점차유차별 | 점차에 차별이 있느니라. |
| 衆生爲解㝵 菩薩未離覺 | 중생은 견해가 장애되고 |
| 중생위해애 보살미리각 | 보살은 깨달음의 경계를 여의지 못하며 |
| 入地永寂滅 不住一切相 | 지위에 들어가면 영원히 적멸하여 |
| 입지영적멸 부주일체상 | 일체의 상에 머물지 않으며 |
| 大覺悉圓滿 名爲遍隨順 | 대각은 다 원만하니 |
| 대각실원만 명위변수순 | 두루 수순한다 하느니라. |
| 末世諸衆生 心不生虛妄 | 말세의 모든 중생들이 |
| 말세제중생 심불생허망 | 마음에 허망함을 내지 않으면 |
| 佛說如是人 現世卽菩薩 | 부처님께서 이런 사람을 |
| 불설여시인 현세즉보살 | 현세의 보살이라 하시고 |
| 供養恒沙佛 功德已圓滿 | 항하사의 부처님을 공양하여 |
| 공양항사불 공덕이원만 | 공덕이 이미 원만하다 하시니라. |
| 雖有多方便 皆名隨順智 | 비록 많은 방편이 있으나 |
| 수유다방편 개명수순지 | 모두가 수순하는 지혜라 하느니라. |
'원각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원각경_제 8장 변음(辯音)보살 편 (0) | 2015.06.05 |
|---|---|
| 원각경_제 7장 위덕자재(威德自在)보살 편 (0) | 2015.06.04 |
| 원각경_제 5장 미륵보살 편 (0) | 2015.06.03 |
| 원각경_제 4장 금강장(金剛藏)보살 편 (0) | 2015.06.03 |
| 원각경_제 3장 보안보살 편 (0) | 201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