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行錄 |
1. 행록 |
|
|
江西道一禪師 漢州什邡縣人也 |
강서(江西) 도일(道一:709-788)선사는 |
강서도일선사 한주시방현인야 |
한주 시방현 사람으로 |
姓馬氏 本邑羅漢寺出家 |
성은 마(馬)씨이며 그 마을에 있는 |
성마씨 본읍나한사출가 |
나한사(羅漢寺)에 출가하였다. |
容貌奇異 牛行虎視 |
용모가 기이하여 소걸음으로 걸었고 |
용모기이 우행호시 |
호랑이 눈빛을 가졌다. |
引舌過鼻 足下有二輪文 |
혀를 빼물면 코끝을 지났고 |
인설과비 족하유이륜문 |
발바닥에는 법륜 문신 두 개가 있었다. |
幼歲依資州唐和尙落髮 |
어린 나이에 자주(資州) |
유세의자주당화상낙발 |
당화상(唐和尙)에게 머리를 깎았고 |
受具於渝州圓律師 |
투주(渝州) 원률사(圓律師)에게 |
수구어투주원율사 |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
唐開元中 習定於衡嶽傳法院 |
당(唐) 개원(開院:713-742) 연중에 |
당개원중 습정어형옥전법원 |
형옥의 전법원에서 선정을 닦던 중 |
遇讓和尙 知是法器 |
회양(懷讓:677-744)스님을 만났는데, |
우회화상 지시법기 |
회양스님은 스님의 근기를 알아보고는 물으셨다. |
問曰 大德坐禪圖什麽 師曰 圖作佛 |
"스님은 좌선하여 무얼하려오?" |
문왈 대덕좌선도십마 사왈 도작불 |
"부처가 되고자 합니다." |
讓乃取一磚 於彼菴前磨 |
회양스님은 암자 앞에서 |
회내취일전 어피암전마 |
벽돌 하나를 집어다 갈기 시작했다. |
師曰 磨磚作麽 讓曰 磨作鏡 |
"벽돌을 갈아서 무엇을 하시렵니까?" |
사왈 마전작마 회왈 마작경 |
"거울을 만들려 하네." |
師曰 磨磚豈得成鏡 |
"벽돌을 갈아서 어떻게 거울을 만들겠습니까?" |
사왈 마전개득성경 |
|
讓曰 磨磚旣不成鏡 坐禪豈得成佛耶 |
"벽돌을 갈아서 거울을 만들지 못한다면 |
회왈 마전기불성경 좌선개득성불야 |
좌선을 한들 어떻게 부처가 될 수 있겠는가?" |
師曰 如何卽是 |
"그러면 어찌해야 되겠습니까?" |
사왈 여하즉시 |
|
讓曰 如牛駕車 車若不行 打車卽是 打牛卽是 |
"소수레에 멍에를 채워 수레가 가지 않으면 |
회왈 여우가차 차약불행 타차즉시 타우즉시 |
수레를 쳐야 옳겠는가, 소를 때려야 옳겠는가?" |
師無對 讓又曰 |
스님이 대꾸가 없자 회양스님은 다시 말씀하셨다. |
사무대 회우왈 |
|
汝爲學坐禪 爲學坐佛 |
"그대는 앉아서 참선하는 것(坐禪)을 배우느냐, |
여위학좌선 위학좌불 |
앉은 부처를 배우느냐. |
若學坐禪 禪非坐臥 |
좌선을 배운다고 하면 |
약학좌선 선비좌와 |
선(禪)은 앉거나 눕는 데 있는지 않으며, |
若學坐佛 佛非定相 |
앉은 부처(坐佛)를 배운다고 하면 |
약학좌불 불비정상 |
부처님은 어떤 모습도 아니다. |
於無住法 不應取捨 |
머뭄 없는 법에서는 |
어무주법 불응취사 |
응당 취하거나 버리지 않아야만 한다. |
汝若坐佛 卽是殺佛 |
그대가 앉은 부처를 구한다면 |
여약좌불 즉시살불 |
부처를 죽이는 것이며, |
若執坐相 非達其理 |
앉은 모습에 집착한다면 |
약집좌상 비달기리 |
그 이치를 깨닫지 못한 것이다." |
師聞示誨 如飮醍醐 禮拜問曰 |
가르침을 듣자, 스님은 마치 제호를 마신듯하여 |
사문시회 여음제호 예배문왈 |
절하며 물으셨다. |
如何用心 卽合無相三昧 |
"어떻게 마음을 써야만 |
여하용심 즉합무상삼매 |
모습 없는 삼매(無相三昧)에 부합하겠습니까?" |
讓曰 汝學心地法門 如下種子 |
"그대가 심지법문(心地法門)을 배움은 |
회왈 여학심지법문 여하종자 |
씨앗을 뿌리는 것과 같고, |
我說法要 譬彼天澤 |
내가 법요(法要)를 설함은 |
아설법요 비피천택 |
저 하늘이 비를 내려 적셔주는 것과도 같다. |
汝緣合故 當見其道 |
그대의 인연이 맞았기 때문에 |
여연합고 당견기도 |
마침 도를 보게 된 것이다." |
又問曰 道非色相 云何能見 |
다시 물으셨다. "도가 모습(色相)이 아니라면 |
우문왈 도비색상 운하능견 |
어떻게 볼수 있겠습니까?" |
讓曰 心地法眼能見乎道 無相三昧 亦復然矣 |
"심지법안(心地法眼)으로 도를 볼 수 있으니, |
회왈 심지법안능견호도 무상삼매 역부연의 |
모습 없는 삼매도 그러하다." |
師曰 有成壞否 |
"거기에 생성과 파괴가 있습니까?" |
사왈 유성괴부 |
|
讓曰 若以成壞聚散而見道者 非見道也 |
"생성이나 파괴, 모임과 흩어짐으로 |
회왈 약이성괴취산이견도자 비견도야 |
도를 보는 자는 도를 보는 것이 아니다. |
聽吾偈 曰 |
나의 게송을 듣거라." |
청오게 왈 |
|
心地含諸種 遇澤悉皆萌 |
심지(心地)는 모든 종자를 머금어 |
심지함제종 우택실개맹 |
촉촉한 비를 만나면 어김없이 싹튼다 |
三昧華無相 何壞復何成 |
삼매의 꽃은 모습 없는데 |
삼매화무상 하괴부하성 |
무엇이 파괴되고 또 무엇이 이루어지랴 |
|
|
師蒙開悟 心意超然 侍奉十秋 日益玄奧 |
스님이 덕분에 깨우치게 되어 마음이 초연하였으며, |
사몽개오 심의초연 시봉십추 일익현오 |
10년을 시봉하면서 그 경지가 날로 더하였다. |
初六祖 謂讓和尙云 |
이에 앞서 육조(六祖:638-713)스님이 |
초육조 위회화상운 |
회양스님에게 말씀하시기를, |
西天般若多羅讖 汝足下出一馬駒 |
인도 반야다라(般若多羅)가 예언하기를 |
서천반야다라참 여족하출일마구 |
'그대의 발 아래서 망아지 한 마리가 나와 |
蹋殺天下人 蓋謂師也 |
세상사람을 밟아 버리리라' 하셨다 했는데, |
답살천하인 개위사야 |
스님을 두고 한 말씀이었을 것이다. |
讓弟子六人 惟師密受心印 |
회양스님의 제자 여섯 사람중에서 스님만이 |
회제자육인 유사밀수심인 |
심인(心印)을 비밀스러이 전수받았을 뿐이었다. |
|
|
始自建陽佛跡嶺 遷至臨川 |
처음 건양(建陽)의 불적령(佛跡嶺)에서 |
시자건양불적령 천지임천 |
임천(臨川)으로 옮겨갔고, |
次至南康龔公山 大曆中 |
다음으로 남강(南康) 공공산에 이르렀으며, |
차지남강공공산 대력중 |
대력(大曆:766-779) 연중에 |
隷名於鍾陵開元寺 |
종릉(鍾陵:洪州에 있음)이 있는 |
예명어종릉개원사 |
개원사(開元寺)에 이름을 걸어두셨다. |
時 連帥路嗣恭 聆風景慕 |
그때 대장군(連師)노사공(路嗣恭)이 |
시 연수노사공 영풍경모 |
가풍을 듣고 경모하여 |
親受宗旨 由是 四方學者 雲集座下 |
종지(宗旨)를 직접 전수받았고, |
친수종지 유시 사방학자 운집좌하 |
이로부터 사방 납자들이 운집하였다. |
讓和尙聞師闡化江西 問衆曰 |
회양스님은 스님이 강서에서 교화를 널리 편다는 |
양화상문사천화강서 문중왈 |
소문을 듣고 대중에게 물으셨다. |
道一爲衆說法否 衆曰 巳爲衆說法 |
"도일(道一)이 대중을 위해 설법을 하느냐?" |
도일위중설법부 중왈 사위중설법 |
"이미 대중을 위해 설법합니다." |
讓曰 總未見人持箇消息來 |
그러자 회양스님은 말씀하셨다. |
양왈 총미견인지개소식래 |
"도대체 소식을 전해오는 사람이 없구나." |
遂遣一僧往彼 俟伊上堂時 但問作麽生 |
그리고는 스님 하나를 그곳으로 보내며 |
수견일승왕피 사이상당시 단문작마생 |
"그가 상당하였을 때 '어떻습니까?' 하고 묻고 |
待渠有語記取來 僧依敎往問之 師曰 |
무슨 말을 하거든 기억해 오너라"고 하셨다. |
대거유어기취래 승의교왕문지 사왈 |
그 스님이 분부대로 가서 물었더니 스님이 말씀하셨다. |
自從胡亂後三十年 不少鹽醬 |
"난리통 30년에 소금과 장은 줄여 본 적 없다." |
자종호란후삼십년 불소염장 |
|
僧回 擧似讓 讓然之 |
그 스님이 돌아와 회양스님에게 말씀드렸더니 |
승회 거사양 양연지 |
회양스님은 "그렇군"하셨다. |
師入室弟子 一百三十九人 各爲一方宗主 |
스님의 입실제자(入室弟子) 139명은 |
사입실제자 일백삼십구인 각위일방종주 |
각자 한 곳의 선지식이 되어 |
轉化無窮 |
더더욱 끝없는 교화를 폈다. |
전화무궁 |
|
師於貞元四年正月中 登建昌石門山 |
스님께서는 정원(貞元) 4년(788) 정월 중에 |
사어정원사년정월중 등건창석문산 |
건창(建昌) 석문산(石門山)에 올라 |
於林中經行 見洞壑平坦 謂侍者曰 |
숲속을 거닐다가 평탄한 골짜기를 보시고 |
어림중경행 견동학평탄 위시자왈 |
시자에게 말씀하셨다. |
吾之朽質 當於來月歸茲地矣 |
"썩어질 내 몸이 다음달에 이곳으로 돌아오게 되리라." |
오지후질 당어래월귀자지의 |
|
言訖而回 旣而示疾 院主問 |
말씀을 끝내고 돌아오시어 이윽고 병을 보이시므로 |
언흘이회 기이시질 원주문 |
원주(院主)가 문안을 드렸다. |
和尙近日尊候如何 師曰 日面佛月面佛 |
"스님께선 요즈음 건강이 어떠하신지요." |
화상근일존후여하 사왈 일면불월면불 |
"일면불 월면불(日面佛月面佛)이니라." |
二月一日 沐浴 跏趺入滅 |
2월1일, 목욕하고 가부좌한 채 입멸(入滅)하셨다. |
이뤌일일 목욕 가부입멸 |
|
元和中 諡大寂禪師 塔曰大莊嚴 |
원화(元和) 연중에 대적선사(大寂禪師)라 시호하고, |
원화중 시대적선사 탑왈대장엄 |
탑은 대장엄(大藏嚴)이라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