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般涅槃經卷第二十四 北涼天竺三藏曇無讖譯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24권 북량(北涼)국 천축삼장 담무참(曇無讖) 역(譯) |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第十之四 | 10.4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
「復次善男子!云何菩薩摩訶薩修大涅槃, 成就具足第二功德? 善男子!菩薩摩訶薩修大涅槃, 昔所不得而今得之, 昔所不見而今見之, 昔所不聞而今聞之, 昔所不到而今得到, 昔所不知而今知之。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2의 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는가?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서 예전에 얻지 못한 것을 지금에 얻고, 예전에 보지 못한 것을 지금에 보며,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지금에 듣고, 예전에 이르지 못한 것에 지금에 이르며, 예전에 알지 못한 것을 지금에 아나니, |
열반경을 수행하는 자의 十事功德 중 第2功德의 5事 ~ 得, 見, 聞, 到, 知.
云何名為昔所不得而今得之? 所謂神通,昔所不得而今乃得。 通有二種: 一者內,二者外。 所言外者與外道共。 內復有二: 一者二乘,二者菩薩。 菩薩修行大涅槃經所得神通, 不與聲聞辟支佛共。 云何名為不與聲聞辟支佛共? 二乘所作神通變化, 一心作一,不得眾多。 菩薩不爾,於一心中, 則能具足現五趣身。所以者何? 以得如是大涅槃經之勢力故, 是則名為昔所不得而今得之。 又復云何昔所不得而今得之? 所謂身得自在、心得自在。 何以故?一切凡夫所有身心不得自在, 或心隨身,或身隨心。 |
어떤 것을 예전에 얻지 못한 것을 지금에 얻는다고 하는가? 소위 신통을 예전에 얻지 못했다가 지금에야 얻느니라. 신통에 두 가지가 있어서 첫째는 안[內]이요, 둘째는 밖[外]이거니와, 밖이라 하는 것은 외도(外道)와 더불어 함께하는 것이니라. 안[內]에 또 두 가지가 있어서 첫째는 2승(乘)이요, 둘째는 보살이거니와, 보살이 《대열반경》을 수행하여 얻는 신통은 성문이나 벽지불과 더불어 함께하지 않나니, 어떤 것을 성문 벽지불과 함께하지 않는다고 하는가? 2승이 짓는 신통변화는 한 마음으로 하나만 짓고 여러 가지를 얻지 못하지만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한 마음에서 다섯 갈래의 몸을 구족히 나툴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대열반경》의 세력을 얻기 때문이니, 이를 곧 예전에 얻지 못한 것을 지금에 얻는다고 하느니라. 또 무엇을 예전에 얻지 못한 것을 지금에 얻는다고 하는가? 소위 몸이 자재를 얻고 마음도 자재를 얻는 것이니, 왜냐하면 모든 범부의 몸과 마음은 자재하지 못하여 마음이 몸을 따르거나 혹은 몸이 마음을 따르기 때문이니라. |
「云何名為心隨於身? 譬如醉人,酒在身中, 爾時身動,心亦隨動, 亦如身懶,心亦隨懶, 是則名為心隨於身。 又如嬰兒,其身稚小,心亦隨小, 大人身大,心亦隨大。 又如有人,身體麁澁, 心常思念,欲得膏油潤漬令軟, 是則名為心隨於身。 |
「어떤 것을 마음이 몸을 따른다고 하는가? 마치 취한 사람이 술이 몸 안에 있는 이 때는 몸이 동하면 마음도 따라 동하고, 몸이 나른하면 마음도 따라 나른하거니와, 이것을 곧 마음이 몸을 따른다고 하느니라. 또 어린아이는 몸이 작으니 마음도 따라 작고, 어른은 몸이 크니 마음도 따라 크며, 또 어떤 사람이 몸이 거칠면 마음으로 항상 기름을 얻어 부드럽게 적시려 하는 이것을 곧 마음이 몸을 따른다고 하느니라. |
「云何名為身隨於心? 所謂去、來、坐臥、修行、 施、戒、忍辱、精進, 愁惱之人身則羸悴, 歡喜之人身則肥鮮, 恐怖之人身體戰動, 專心聽法身則怡悅, 悲泣之人涕淚橫流, 是則名為身隨於心。 菩薩不爾,於身心中俱得自在, 是則名為昔所不得而今得之。 |
「어떤 것을 몸이 마음을 따른다고 하는가? 소위 거(去), 래(來), 좌와(坐臥), 수행(修行), 보시[施], 지계[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근심으로 괴로워하는 사람은 몸이 여위고, 기뻐하는 사람은 몸이 살찌고 싱싱하며, 두려워하는 사람은 몸이 떨리고, 오롯한 마음으로 법을 들으면 몸이 즐겁고 기쁘며, 슬퍼하는 사람은 눈물이 흘러 나오니, 이것을 곧 몸이 마음을 따른다고 하거니와,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몸과 마음에 다 자재를 얻나니, 이를 곧 예전에 얻지 못한 것을 지금에 얻었다고 하느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所現身相, 猶如微塵,以此微身, 悉能遍至無量無邊恒河沙等諸佛世界, 無所障礙, 而心常定,初不移動, 是則名為心不隨身。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나타내는 몸은 마치 티끌 같거니와, 이 티끌 같은 몸으로 무량무변한 항하사와 같은 제불세계를 두루 다니는 데에 어떠한 장애되는 바가 없고, 마음이 항상 일정하여 처음에서 이동하지 않나니, 이것을 곧 마음이 몸을 따르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
「是亦名為昔所不到而今能到。 何以復名昔所不到而今能到? 一切聲聞辟支佛等所不能到, 菩薩能到, 是故名為昔所不到而今能到。 一切聲聞辟支佛等, 雖以神通不能變身如細微塵, 遍至無量恒河沙等諸佛世界, 聲聞緣覺身若動時心亦隨動。 菩薩不爾,心雖不動, 身無不至, 是名菩薩心不隨身。 |
「이를 또 예전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금에 이른다고 하는데, 어째서 예전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금에 이른다고 하는가? 일체 성문 벽지불 등은 이를 수 없는 바를 보살은 능히 이르니, 그래서 예전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금에 이른다고 하느니라. 일체 성문 벽지불 등은 비록 신통을 써도 티끌처럼 작게 변신하여 무량 항하사 같은 제불세계에 두루 다닐 수 없거니와, 성문 연각은 몸이 동할 때면 마음도 따라 동하지만,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마음이 동하지 않더라도 몸이 이르지 못함이 없으니, 이것을 보살은 마음이 몸을 따르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
復次善男子!菩薩化身 猶如三千大千世界, 以此大身入一塵身, 其心爾時亦不隨小。 聲聞緣覺雖能化身 令如三千大千世界, 而不能以如此大身入微塵身, 於此事中尚自不能, 況能令心而不隨動? 是名菩薩心不隨身。 |
또 선남자야! 보살은 몸을 마치 삼천대천세계와 같이 변화시켜서 이 거대한 몸으로 극히 작은[一塵] 몸에 들어가되, 그 마음이 이때 따라서 작아지지 않지만, 성문 연각은 비록 몸을 변화시켜 삼천대천세계와 같게 한다 하더라도 그 큰 몸으로 티끌 몸에 들어가지는 못하니, 이런 일에도 오히려 자재할 수 없거늘 하물며 마음으로 하여금 따라서 동하지 않게 함이겠는가? 이것을 보살은 마음이 몸을 따르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以一音聲, 能令三千大千世界眾生悉聞, 心終不念令是音聲遍諸世界, 使諸眾生昔所不聞而今得聞。 而是菩薩亦初不言,我令眾生 昔所不聞而今得聞。 菩薩若言,因我說法令諸眾生 不聞聞者, 當知是人 終不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何以故?眾生不聞,我為說者, 如此之心是生死心, 一切菩薩是心已盡,以是義故, 菩薩摩訶薩所有身心不相隨逐。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하나의 음성으로 삼천대천세계의 중생들로 하여금 다 듣게 하되, 마음으로는 결코 ‘이 음성을 모든 세계에 두루하게 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지금에 듣게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고, 이 보살은 또 애초부터 ‘내가 중생으로 하여금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듣게 하겠다’는 말도 하지 않거니와, 보살이 만약 '나의 설법이 중생들로 하여금 듣지 못했던 것을 듣게 하였다'고 말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끝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하리라. 어째서인가? '중생이 듣지 못한 것을 내가 말한 것이다'는 이러한 마음은 생사심(生死心)이기 때문이니라. 일체의 보살은 이 마음이 이왕 다했으니,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의 몸과 마음은 서로 쫓아 따르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
善男子!一切凡夫身心相隨, 菩薩不爾,為化眾生故, 雖現身小,心亦不小。 何以故?諸菩薩等所有心性常廣大故, 雖現大身,心亦不大。 云何大身? 身如三千大千世界。 云何小心, 行嬰兒行。 以是義故,心不隨身。 菩薩摩訶薩已於無量阿僧祇劫, 遠酒不飲而心亦動, 心無悲苦身亦流淚, 實無恐怖身亦戰慄, 以是義故,當知菩薩身心自在, 不相隨逐。 菩薩摩訶薩唯現一身, 而諸眾生各各見異。 |
선남자야! 일체 범부는 몸과 마음이 서로 따르지만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비록 몸을 작게 나타내되 마음도 작아지는 것이 아니니, 왜냐하면 보살들의 심성(心性)은 늘 광대하기 때문에 비록 몸을 크게 나투되 마음도 커지는 것이 아니니라. 어떤 것을 큰 몸이라 하는가? 몸이 삼천대천세계와 같은 것이요, 어떤 것을 작은 마음이라 하는가? 어린아이의 행을 행하는 것이니, 이런 뜻에서 마음이 몸을 따르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은 이미 무량 아승지 겁 동안 술을 멀리하여 마시지 않되 마음은 동하기도 하고, 마음에 슬픔의 고통이 없으되 몸은 눈물을 흘리기도 하며, 실로 공포가 없으되 전율하기도 하나니, 이런 뜻에서 보살은 몸과 마음이 자재하여 서로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하거니와, 보살마하살은 오로지 한 몸만을 나타내건만 중생들은 저마다 달리 보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云何菩薩摩訶薩修大涅槃, 昔所不聞而今得聞? 菩薩摩訶薩先取聲相, 所謂象聲馬聲、車聲人聲、 貝聲鼓聲、簫笛等聲、 歌聲哭聲而修習之, 以修習故, 能聞無量三千大千世界所有地獄音聲。 復轉修習得異耳根, 異於聲聞緣覺天耳。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지금에 듣는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먼저 소리의 모양, 소위 코끼리 소리, 말 소리, 수레 소리, 사람의 소리, 소라소리, 북소리, 피리 퉁소 같은 소리, 노랫소리, 우는 소리 등을 취해 수습(修習)하거니와, 닦아 익힘으로써 능히 무량 삼천대천세계 지옥의 음성을 듣고, 다시 수습을 거듭하여 또 다른 이근(耳根)을 얻기에 성문 연각의 천이(天耳*)와는 다른 것이니라. |
何以故?二乘所得清淨耳通, 若依初禪淨妙四大, 唯聞初禪不聞二禪, 乃至四禪亦復如是, 雖可一時得聞三千大千世界所有音聲, 而不能聞無量無邊恒河沙等世界音聲。 以是義故,菩薩所得 異於聲聞緣覺耳根, 以是異故,昔所不聞而今得聞。 雖聞音聲, 而心初無聞聲之相, 不作有相、常相、樂相、我相、淨相、 主相依相、作相因相、定相果相, 以是義故,諸菩薩等 昔所不聞而今得聞。」 |
어째서인가? 2승(二乘)이 얻는 청정한 이통(耳通)은 초선(初禪)에 의해 정묘(淨妙)해진 사대(四大)의 것이라면 오로지 초선(初禪)까지만 듣고 2선(二禪)은 듣지 못하며, 나아가 4선(四禪)까지도 그와 같아서 비록 삼천대천세계 음성을 일시에 들을 수 있더라도 무량무변한 항하사 같은 세계 음성은 듣지 못하나니, 이런 뜻에서 보살이 얻는 바는 성문 연각의 이근(耳根)과 다른 것이요, 다르기 때문에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듣는다는 것이며, 비록 음성을 듣더라도 마음은 애초에 음성을 들을 상(相)이 없거니와, 유상(有相), 상상(常相), 낙상(樂相), 아상(我相), 정상(淨相), 주상(主相), 의상(依相), 작상(作相), 인상(因相), 정상(定相), 과상(果相)을 짓지 않나니, 이런 의미에서 보살들은 예전에 듣지 못함을 지금에 듣는다는 것이니라.」 |
*天耳; 天耳通. 天耳智證通의 略。四根本靜慮(四禪定)에 의지하여 耳根이 청정해진 것을 天耳라 하고,
이 天耳로 자신이 처한 지위까지의 天聲, 人聲, 非人聲 등 모든 音聲을 듣는 것을 天耳通이라 한다。
爾時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摩訶薩言: 「若佛所說,不作定相、 不作果相, 是義不然。 何以故?如來先說, 若人聞是大涅槃經一句一字, 必定得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如來於今, 云何復言無定、無果? 若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即是定相,即是果相; 云何而言無定、無果? 聞惡聲故則生惡心, 生惡心故則至三塗, 若至三塗則是定果; 云何而言無定、無果?」 |
그때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마하살이 말했다. 「만약 부처님께서 정상(定相)도 짓지 않고, 과상(果相)도 짓지 않는다고 말씀하신다면 이치가 그렇지 않겠나이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전에 말씀하시기를, 누구나 이 《대열반경》의 한 구 한 자를 듣는다면 필경 정(定)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룬다 하시더니, 여래께서는 지금에 어찌하여 다시 정(定)함도 과(果)도 없다고 하시나이까?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면 곧 이것이 정상(定相)이요, 곧 과상(果相)일 터인온데, 어찌하여 정(定)함도 과(果)도 없다고 하시나이까? 나쁜 소리를 들은 즉 나쁜 마음이 생기고, 나쁜 마음을 낸 즉 삼악도[三塗]에 이르며, 만일 삼악도에 이른 즉 이것이 정해진 과보[定果]이온데, 어찌하여 정(定)함도 과(果)도 없다고 하시나이까? 」 |
爾時如來讚言: 「善哉,善哉!善男子!能作是問。 若使諸佛說諸音聲有定果相者, 則非諸佛世尊之相, 是魔王相、生死之相、 遠涅槃相。何以故? 一切諸佛凡所演說無定果相。 善男子!譬如刀中見人面像, 竪則見長,橫則見闊, 若有定相, 云何而得竪則見長、 橫則見闊?以是義故, 諸佛世尊凡所演說無定果相。 |
그러자 여래께서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참으로 장하구나! 선남자야! 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니. 가사 제불이 음성에 정과(定果)의 상(相)이 있다고 말하면 곧 제불세존의 상(相)이 아니라 바로 마왕의 상이요, 생사(生死)의 상이며, 열반과는 먼 상인 것이니, 어째서이겠느냐? 무릇 일체제불이 연설하시는 바는 정(定)과 과(果)의 상이 없기 때문이니라. 선남자야! 비유컨대 칼에 사람의 얼굴을 보이거든 세운 즉 길게 보이고, 눕힌 즉 넓게 보이거니와, 만일 일정한 상[定相]이 있다면 어째서 세운 즉 길게 보일 것이며, 눕힌 즉 넓게 보이겠느냐? 이런 뜻에서 제불세존이 무릇 연설하시는 바는 정과(定果)의 상이 없다는 것이니라. |
善男子!夫涅槃者實非聲果, 若使涅槃是聲果者, 當知涅槃非是常法。 善男子!譬如世間從因生法, 有因則有果, 無因則無果。 因無常故,果亦無常。 所以者何?因亦作果, 果亦作因, 以是義故,一切諸法無有定相。 若使涅槃從因生者, 因無常故,果亦無常; 而是涅槃不從因生, 體非是果,是故為常。 善男子!以是義故, 涅槃之體無定無果。 |
선남자야! 열반이란 실로 소리의 과[聲果]가 아니건만 가사 열반이 성과(聲果)다 한다면 열반은 그런 항상한 법[常法]이 아님을 알아야 하느니라. 선남자야! 비유컨대 세간은 인(因)에서 법이 생기기에 인(因)이 있는 즉 과(果)가 있고, 인이 없는 즉 과도 없거니와, 인(因)이 무상(無常)하므로 과(果) 또한 무상하나니, 어째서인가? 인(因)도 과(果)를 짓고, 과(果)도 인(因)을 짓기 때문이니, 이런 뜻에서 일체제법은 일정한 상이 없다는 것이니라. 가사 열반이 인(因)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인(因)이 무상하므로 과(果)도 무상할 것이로되, 이 열반은 인(因)에서 생기는 것이 아닌지라 체성(體性)이 과(果)가 아니므로 항상한 것이니, 선남자야! 이런 의미에서 열반의 실체에는 정(定)함도 없고 과(果)도 없는 것이니라. |
「善男子!夫涅槃者, 亦可言定,亦可言果。 云何為定? 一切諸佛所有涅槃常樂我淨, 是故為定, 無生老壞是故為定, 一闡提等、犯四重禁、 誹謗方等、作五逆罪, 捨除本心, 必定得故,是故為定。 |
「선남자야! 대저 열반이란 정(定)이라 할 수도 있고, 과(果)라 할 수도 있나니, 어떤 것을 정(定)이라 하는가? 일체제불의 열반은 상락아정(常樂我淨)인지라 그래서 정(定)이 되고, 나고 늙어 죽는 일이 없으니 그래서 정(定)이 되거니와, 일천제 따위가 사중금(四重禁)을 범하거나, 방등경(方等經)을 비방하고, 오역죄(五逆罪)를 지어서 본래의 마음[本心]을 잃어도 필경 얻을 것이 정(定)해지기에 그래서 정(定)이 되느니라. |
「善男子!如汝所言, 若人聞我說大涅槃一字一句,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汝於是義,猶未了了。 汝當諦聽, 吾當為汝更分別之。 |
「선남자야! 네가 말한 바 ‘누구나 내가 설한 대열반의 한 자 한 구만 들어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를 너는 그 뜻을 분명히 알지 못하였나니, 너는 마땅히 자세히 듣거라. 내 마땅히 너에게 다시 분별해 주리라. |
善男子!若有善男子、善女人, 聞大涅槃一字一句, 不作字相、不作句相、 不作聞相、不作佛相、不作說相, 如是義者名無相相, 以無相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
선남자야! 만일 어느 선남자 선여인이 《대열반》의 한 자 한 구를 듣고서도 자상(字相)도 짓지 않고, 구상(句相)도 짓지 않고, 문상(聞相)도 불상(佛相)도 설상(說相)도 짓지 않는다면, 이러한 것을 '상 없는 모습[無相相]'이라 하려니와, 이 무상상(無相相)으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니라. |
善男子!如汝所言, 聞惡聲故到三塗者, 是義不然。何以故? 非以惡聲而至三塗, 當知是果乃是惡心。 所以者何?有善男子、善女人等, 雖聞惡聲心不生惡, 是故當知, 非因惡聲生三塗中。 而諸眾生因煩惱結, 惡心滋多,生三惡趣, 非因惡聲。 若聲有定相, 諸有聞者一切悉應生於惡心。 或有生者,有不生者, 是故當知聲無定相。 以無定故,雖復因之, 不生惡心。」 |
선남자야! 네가 말한 바 '사악한 소리를 들음으로써 삼악도에 떨어진다'는 것은 그 이치가 그렇지 않나니, 왜냐하면 악한 소리 때문에 삼악도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 과(果)는 바로 악한 마음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니라. 어째서인가? 선남자 선여인들이 비록 악한 소리를 들어도 마음은 악을 내지 않나니, 그러므로 마땅히 알라. 악한 소리로 인해 삼악도에 이르는 것이 아니니라. 그러나 중생들은 번뇌의 결사(結使)로 인해 나쁜 마음이 많아져서 3악도에 나거니와, 나쁜 소리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니라. 만일 소리에 정한 상이 있다면 듣는 모든 이가 다 나쁜 마음을 내야 하련만 혹 내는 이도 있고 내지 않는 이도 있으니, 그래서 소리에는 정한 상이 없음을 알아야 하거니와, 정한 상이 없기 때문에 비록 (소리를) 인(因)하더라도 악심(惡心)을 내지 않는 것이니라.」 |
「世尊!聲若無定, 云何菩薩昔所不聞而今得聞?」 |
「세존이시여! 소리에 만약 일정함이 없다면 보살이 어떻게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지금에 듣겠나이까?」 |
「善男子!聲無定相, 昔所不聞, 令諸菩薩而今得聞, 以是義故,我作是說, 昔所不聞而今得聞。 |
「선남자야! 소리는 일정한 상이 없으나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보살들로 하여금 지금에 듣게 하나니, 이런 뜻에서 내가 말하기를 예전에 듣지 못한 것을 지금에 듣는다고 하는 것이니라. |
「善男子!云何昔所不見而今得見? 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先取明相,所謂日月星宿、 ?燎燈燭、珠火之明、 藥草等光, 以修習故得異眼根, 異於聲聞緣覺所得。 |
「선남자야! 어떻게 예전에 보지 못한 것을 지금에 보는가?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되, 먼저 밝은 상(相), 소위 일월성숙(日月星宿)과 횃불이나 등불, 구슬 빛의 밝음, 약초(藥草) 따위의 빛을 취해서 닦아 익힘으로써 또다른 안근(眼根)을 얻기에 성문 연각이 얻은 바와는 다르느니라. |
云何為異? 二乘所得清淨天眼, 若依欲界四大眼根,不見初禪, 若依初禪不見上地, 乃至自眼猶不能見, 若欲多見,極至三千大千世界。 菩薩摩訶薩不修天眼, 見妙色身悉是骨相, 雖見他方恒河沙等世界色相, 不作色相、不作常相、有相、 物相、名字等相, 作因緣相,不作見相。 不言是眼微妙淨相, 唯見因緣、非因緣相。 |
무엇이 다른가? 2승(二乘)이 얻는 청정 천안[清淨天眼]은 욕계 4대의 안근에 의해서는 초선(初禪)을 보지 못하고, 초선의 안근으로는 더 높은 지위의 것을 보지 못하고, 나아가 자기의 눈까지도 보지 못하며, 많이 보려 해도 끝이 삼천대천세계까지이지만 보살마하살은 천안을 닦지도 않고 묘색신(妙色身)을 다 뼈 모양[骨相]으로 보거니와, 타방으로 항하사 같은 세계의 색상(色相)을 보더라도 색상(色相)을 짓지 않고, 상상(常相), 유상(有相), 물상(物相), 명자(名字) 등의 상도 짓지 아니하여, 인연의 상(因緣相)을 짓고, 견의 상(見相)을 짓지 않기에 이 눈의 미묘히 청정한 모습은 다만 인연과 비인연의 상(相)만 본다고 말할 수 없느니라. |
云何因緣?色是眼緣, 若使是色非因緣者, 一切凡夫不應生於見色之相。 以是義故,色名因緣。 非因緣者,菩薩摩訶薩雖復見之, 不生色相,是故非緣。 以是義故,菩薩所得清淨天眼, 異於聲聞緣覺所得。 以是異故, 一時遍見十方世界現在諸佛, 是名菩薩昔所不見而今得見。 以是異故, 能見微塵,聲聞緣覺所不能見。 以是異故,雖見自眼, 初無見相,見無常相。 |
어떤 것이 인연인가? 색(色)은 눈의 인연이거니와, 가사 이 색이 인연이 아니라면 일체범부는 견(見)에 색(色)의 모양을 내지 못하리니, 이런 이치에서 색이 인연인 것이니라. 비인연이란 보살마하살은 비록 보더라도 색의 모양을 내지 않기에 그래서 인연이 아니니, 이런 뜻에서 보살이 얻는 청정 천안은 성문 연각이 얻는 것과 다르다는 것이요, 다르기 때문에 일시에 시방세계에 현재하시는 제불을 두루 보나니, 이것을 보살이 예전에 보지 못함을 지금 본다 하며, 다르기 때문에 성문 연각이 볼 수 없는 미진(微塵)을 보는 것이며, 다르기 때문에 제 눈으로 보지만 애초에 본다는 모양이 없이 무상한 모양으로 보느니라. |
見凡夫身三十六物不淨充滿, 如於掌中觀阿摩勒果, 以是義故,昔所不見而今得見。 若見眾生所有色相, 則知其人大小乘根, 一觸衣故, 亦知是人善惡諸根差別之相, 以是義故,昔所不知而今得知。 以一見故,昔所不知而今得知, 以此知故,昔所不見而今得見。 |
범부의 몸이 36물(物*)의 부정함으로 가득한 것 보기를 마치 손 안의 아마륵(阿摩勒) 열매 보듯이 하나니, 이런 뜻에서 예전에 못보던 것을 지금에 본다는 것이니라. 어떤 중생의 색상(色相)을 보면 곧 그 사람이 소승근기인지 대승근기인지 알고, 옷깃만 스쳐도 그 사람의 좋고 나쁜 제근의 차별상을 아는지라, 이런 뜻에서 예전에 몰랐던 것 지금에 안다는 것이요, 한 번 봄으로써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아는지라, 이런 앎 때문에 예전에 못보던 것 지금에 본다는 것이니라. |
*三十六物; 《增壹阿含經》卷第二 廣演品第三에
「所謂念身者,髮, 毛, 爪, 齒, 皮, 肉, 筋, 骨, 髓, 膽, 肝, 肺, 心, 脾, 腎, 大腸, 小腸, 白[月*直],
膀胱, 屎, 尿, 百葉, 倉, 腸, 胃, 脬, 溺, 淚, 唾, 涕, 膿, 血, 肪脂, [水*羨], 髑髏, 腦。」
「復次善男子!云何菩薩 昔所不知而今得知? 菩薩摩訶薩雖知凡夫貪恚癡心, 初不作心及心數相, 不作眾生及以物相, 修第一義畢竟空相。 何以故?一切菩薩 常善修習空性相故。 以修空故,昔所不知而今得知。 云何為知? 知無有我、無有我所, 知諸眾生皆有佛性, 以佛性故,一闡提等捨離本心, 悉當得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如此皆是聲聞緣覺所不能知, 菩薩能知,以是義故, 昔所不知而今得知。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이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이 비록 범부의 탐에치(貪恚癡)의 마음을 알되, 애초에 심(心)과 심수(心數)의 상(相)을 짓지 않고, 중생과 물건의 상도 짓지 않아서 제일의(第一義)인 필경에 공(空)한 상을 닦나니, 왜냐하면, 모든 보살은 공한 성품의 상을 늘 닦아 익히기 때문이니라. 공을 닦음으로써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아나니, 어떤 것을 아는가? 아(我)도 없고 아소(我所)도 없음을 알며, 모든 중생에게 다 불성(佛性)이 있음을 알거니와, 이 불성 때문에 본심(本心)을 버린 일천제 따위도 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 이루느니라. 이러한 것들이 다 성문 연각은 알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보살은 능히 알기에 이런 뜻에서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 云何昔所不知而今得知? 菩薩摩訶薩修大涅槃微妙經典, 念過去世一切眾生所生種姓、 父母兄弟、妻子眷屬、知識怨憎, 於一念中得殊異智, 異於聲聞緣覺智慧。 云何為異?聲聞緣覺所有智慧, 念過去世所有眾生種姓、 父母乃至怨憎, 而作種姓至怨憎相。 菩薩不爾,雖念過去種姓、 父母乃至怨憎, 終不生於種姓父母怨憎等相, 常作法相、空寂之相, 是名菩薩昔所不知而今得知。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일체중생의 과거세에 받았던 종성(種姓)이나 부모 형제와 처자 권속과 친구 원수를 기억하되, 한 순간에 전혀 다른 지혜[殊異智]를 얻는지라 성문 연각의 지혜와는 다르느니라. 어떤 것이 다른가? 성문 연각의 지혜는 과거세에 지녔던 중생의 종성이나 부모에서 원수에 이르기까지를 기억하여 그 종성에서 원수에 이르는 상(相)을 짓지만,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비록 과거세의 종성과 부모에서 원수까지를 기억하더라도 결코 종성과 부모, 원수 따위의 상을 내지 않고, 늘 법이라는 상[法相]과 공적하다는 상[空寂相]을 짓나니, 이를 보살이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고 하느니라. |
復次善男子! 云何昔所不知而今得知? 菩薩摩訶薩修大涅槃微妙經典, 得他心智, 異於聲聞緣覺所得。 云何為異? 聲聞緣覺以一念智,知人心時, 則不能知地獄、畜生、餓鬼、天心。 菩薩不爾, 於一念中遍知六趣眾生之心, 是名菩薩昔所不知而今得知。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타심지(他心智*)를 얻는다는 것이 성문 연각이 얻는 바와 다르거니와, 무엇이 다른가? 성문 연각은 일념지(一念智)로 사람의 마음은 알되, 지옥, 축생, 아귀, 천신의 마음은 알지 못하지만 보살은 그렇지 않아서 일념(一念)에 육취(六趣) 중생의 마음을 두루 아나니, 이것을 보살이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 하느니라. |
復次善男子!復有異知, 菩薩摩訶薩於一心中,知須陀洹初心, 次第至十六心, 以是義故,昔所不知而今得知。 是為菩薩修大涅槃 具足成就第二功德。 |
또 선남자야! 달리 아는 것이 또 있어 보살마하살은 한 순간에 수다원의 초심(初心)부터 차례대로 열여섯 번째 마음까지를 아는지라 이런 의미에서 예전에 몰랐던 것을 지금에 안다는 것이요, 이것이 보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2의 공덕을 구족히 성취하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云何菩薩摩訶薩 修大涅槃成就具足第三功德? 善男子!菩薩摩訶薩修大涅槃, 捨慈得慈, 得慈之時,不從因緣。 云何名為捨慈得慈? 善男子!慈名世諦。 菩薩摩訶薩捨世諦慈, 得第一義慈, 第一義慈不從緣得。 復次云何捨慈得慈? 慈若可捨,名凡夫慈; 慈若可得,即名菩薩無緣之慈。 捨一闡提慈、犯四重禁慈、 謗方等慈、作五逆慈, 得憐愍慈、得如來慈、 世尊之慈、無因緣慈。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3의 공덕을 성취 구족한다고 하는가?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자(慈)를 버리기도 하고, 자(慈)를 얻기도 하거니와, 자(慈)를 얻을 때는 인연을 쫓지 않느니라. 어떤 것을 '버리는 자[捨慈]와 얻는 자[得慈]'라 하는가? 선남자야! 자(慈)가 세제(世諦)이거든 보살마하살은 세제(世諦)의 자(慈)를 버리고 제일의자(第一義慈)를 얻거니와, 제일의의 자는 인연을 좇아 얻어지는 것이 아니니라. 또 어떤 것이 자(慈)를 버리고 자(慈)를 얻는다는 것인가? 자(慈)가 버려야 할 것이라면 범부의 자(慈)인 것이요, 자가 얻어야 할 것인 즉 보살 무연(無緣)의 자(慈)이리니, 일천제의 자(慈)나 사중금을 범한자의 자(慈), 방등경 비방한 자의 자, 오역죄 지은 자의 자는 버리고, 연민(憐愍)의 자(慈)를 얻고, 여래의 자와 세존의 자, 무인연(無因緣)의 자를 얻어야 할 것이니라. |
云何復名捨慈得慈? 捨黃門慈、 無根、二根、女人之慈, 屠、膾、獵師、 畜養鷄猪如是等慈, 亦捨聲聞緣覺之慈, 得諸菩薩無緣之慈。 不見自慈,不見他慈, 不見持戒,不見破戒。 雖自見悲,不見眾生。 雖有苦受,不見受者。 何以故?以修第一真實義故。 是名菩薩修大涅槃 成就具足第三功德。 |
어떤 것을 또 사자득자(捨慈得慈)라 하는가? 황문(黃門;내시)의 자(慈)나 무근(無根), 이근(二根), 여인의 자(慈), 백정, 생선 회치는 자, 사냥꾼, 닭 돼지 기르는 자 등의 자(慈)를 버리고, 또한 성문 연각의 자(慈)도 버려서 보살들의 인연없는 자(慈)를 얻되, 자기의 자(慈)도 보지 않고 남의 자도 보지 아니하며, 지계(持戒)도 보지 않고 파계(破戒)도 보지 아니하며, 자신의 슬픔을 보되 중생으로 여기지 않고, 비록 고통을 받더라도 받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 것이니, 왜냐하면, 제일의 진실의(真實義)를 닦기 때문인지라 이를 일러 보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3의 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는 것이니라. |
十事功德 중 제3의 공덕; 得第一義慈, 得憐愍慈, 得佛菩薩의 無因緣慈。
「復次善男子!云何菩薩摩訶薩 修大涅槃成就具足第四功德? 善男子!菩薩摩訶薩修大涅槃 成就具足第四功德,有十事。 何等為十? 一者根深難可傾拔, 二者自身生決定想, 三者不觀福田及非福田, 四者修淨佛土, 五者滅除有餘, 六者斷除業緣, 七者修清淨身, 八者了知諸緣, 九者離諸怨敵, 十者斷除二邊。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4의 공덕을 성취 구족한다고 하는가?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4의 공덕을 성취 구족하는 데는 열 가지 일이 있나니, 어떤 것들이 그 열인가? [第四功德의 十事] 첫째는 뿌리를 깊이 내려 뽑히지 않게 함이요, 둘째는 자기의 몸에 결정한 마음을 갖는 일이며, 셋째는 복전(福田)과 비복전을 가리지 않는 일, 넷째는 청정불토를 닦는 일, 다섯째는 나머지를 멸제(滅除)하는 일, 여섯째는 업연(業緣)을 단제(斷除)하는 일, 일곱째는 청정한 몸을 닦는 일, 여덟째는 모든 연[諸緣]을 요지(了知)하는 일, 아홉째는 모든 원적(怨敵)을 여의는 일, 열째는 두 변[二邊;兩邊]을 단제(斷除)하는 일이니라. |
十事功德 중 第四功德의 十事.
云何根深難可傾拔? 所言根者,名不放逸。 不放逸者為是何根? 所謂阿耨多羅三藐三菩提根。 善男子!一切諸佛諸善根本, 皆不放逸,不放逸故, 諸餘善根轉轉增長, 以能增長諸善根故, 於諸善中最為殊勝。 善男子!如諸跡中象跡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 於諸善法最為殊勝。 |
어떤 것이 뿌리를 깊이 내려 뽑을 수 없게 함인가? 뿌리라 하는 것은 방일(放逸)하지 않는 것이거니와, 방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어떤 뿌리이겠는가? 소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니라. 선남자야! 일체제불의 모든 선근은 본래 다 방일치 않거니와, 방일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선근들을 점점 증장시키고, 다른 선근들을 증장시키기 때문에 모든 선근 중에 가장 수승한 것이니, 선남자야! 마치 모든 발자국 중 코끼리 것이 가장 크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기에 모든 선법(善法) 중에 가장 수승한 것이니라. |
善男子!如諸明中,日光為最; 不放逸法亦復如是, 於諸善法最為殊勝。 善男子!如諸王中轉輪聖王為最第一;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第一。 善男子!如諸流中四河為最;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上為最。 善男子!如諸山中,須彌山王為最第一;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第一。 善男子!如水生花中,青蓮花為最;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善男子!如陸生花中, 婆利師花為最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善男子!如諸獸中,師子為最;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善男子!如飛鳥中,金翅鳥王為最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
선남자야! 마치 모든 밝음 중에 햇빛이 가장 밝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아서 모든 선법(善法) 중에 가장 수승하고, 선남자야! 왕들 중에는 전륜성왕이 가장 제일가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선법 중에 가장 제일가며, 선남자야! 모든 강 중에 사하(四河)가 가장 크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모든 선법 중에 가장 높고, 선남자야! 모든 산들 중에 수미산왕이 가장 제일가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선법 중에 가장 으뜸가며, 선남자야! 물에서 나는 꽃 중에 청련화가 제일 높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모든 선법 중에 가장 높고, 선남자야! 땅에서 나는 꽃 중에는 바리사(婆利師)꽃이 최상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선법들 중에 가장 높으며, 선남자야! 짐승들 중에 사자가 최고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선법들 중에 가장 높고, 선남자야! 나는 새들 중에 금시조왕이 최상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이 선법 중에 가장 높으니라. |
「善男子!如大身中, 羅睺阿修羅王為最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善男子!如一切眾生,若二足、四足、 多足、無足中,如來為最; 不放逸法亦復如是,於善法中為最為上。 善男子!如諸眾中,佛、僧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於善法中為最為上。 善男子!如佛法中,大涅槃法為最為上; 不放逸法亦復如是,於諸善法為最為上。 善男子!以是義故, 不放逸根,深固難拔。 |
「선남자야! 큰 몸 중에 라후아수라(羅睺阿修羅*)왕이 최상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아서 선법 중에 최상이요, 선남자야! 일체중생이 두 발이나 네 발이거나 다족(多足)이나 발이 없거나 간에 여래가 최상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아서 선법 중에 최상이며, 선남자야! 대중들 가운데 불(佛)과 승(僧)이 높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아서 선법 중에 최상이고, 선남자야! 불법(佛法) 중에 대열반법이 최상이듯이, 방일하지 않는 법도 그와 같아서 선법 중에 최상이니, 선남자야! 이런 의미에서 방일치 않은 뿌리는 깊고 견고하여 뽑기 어려우니라. |
*羅睺阿修羅(Rāhuasura); 羅睺羅阿修羅의 略稱. 羅睺羅는 「障月(달을 가린다)」의 뜻으로
아수라왕과 제석이 싸울 때 이 라후아수라가 일월을 손으로 잡아 그 빛을 가려버린다고 한다.
云何不放逸故而得增長? 所謂信根、戒根、施根、慧根、 忍根、聞根、進根、念根、定根、 善知識根,如是諸根, 不放逸故而得增長, 以增長故深固難拔。以是義故, 名為菩薩摩訶薩修大涅槃根深難拔。 |
어떤 것들이 방일치 않음으로써 증장되는가? 소위 신근(信根), 계근(戒根), 시근(施根), 혜근(慧根), 인근(忍根), 문근(聞根), 진근(進根), 념근(念根), 정근(定根), 선지식근(善知識根)이니, 이와 같은 뿌리[根]들이 불방일(不放逸)함으로써 증장되거니와, 증장되기에 견고하여 뽑기 어려운 것이라, 이런 이치로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뿌리가 깊기에 뽑기 어렵다 하는 것이니라. |
「云何於身作決定想? 於自身所生決定心: 『我今此身於未來世, 定當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器。 心亦如是,不作狹小,不作變易, 不作聲聞、辟支佛心, 不作魔心及自樂心、 樂生死心, 常為眾生求慈悲心。』 是名菩薩於自身中生決定心, 我於來世當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器, 以是義故,菩薩摩訶薩修大涅槃, 於自身中生決定想。 |
「어떤 것을 자기의 몸에 결정한 마음을 갖는다고 하는가? 제 몸에 대해 결정한 마음 내기를, 『나는 이제 이 몸이 미래세에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그릇이 되고, 마음도 그렇게 하여 좁게 하지 않고, 변하게 하지도 않고, 성문이나 벽지불의 마음도 갖지 않고, 마귀의 마음도 제 몸을 좋아하는 마음도 생사를 좋아하는 마음도 짓지 않아서 늘 중생을 위해 자비심을 구하리라.』 하나니, 이것을 '보살이 제 몸에 대한 결정한 마음을 내서 내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그릇이 된다'고 하거니와,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 몸에 대해 결정한 마음을 내는 것이니라. |
「云何菩薩不觀福田及非福田? 云何福田? 外道、持戒, 上至諸佛,是名福田。 若有念言:『如是等輩是真福田。』 當知是心則為狹劣。 菩薩摩訶薩悉觀 一切無量眾生無非福田。 何以故?以善修習異念處故。 有異念處,善修習者, 觀諸眾生無有持戒及以毀戒。 常觀諸佛世尊所說, 施雖四種, 俱得清淨報。 何等為四? 一者施主清淨、受者不淨, 二者施主不淨、受者清淨, 三者施、受俱淨。 四者施、受二俱不淨。 |
「어떤 것을 보살이 복전, 비복전을 가리지 않는다고 하며, 복전(福田)이란 무엇인가? 외도(外道)나 지계(持戒)하는 자에서 위로는 제불까지가 다 복전이건만 만일 누가 『이런 무리가 참된 복전이다』고 말한다면 이런 마음인 즉 좁고 용렬한 것임을 알아야 하거니와, 보살마하살은 무량한 일체중생이 다 복전 아닌 사람이 없다고 보나니, 어째서인가? 이념처(異念處*)를 잘 수습하기 때문이니라. 이념처를 잘 수습(修習)한다는 것은 모든 중생이 지계(持戒)도 훼계(毀戒)도 없다고 보고, 제불세존께서 말씀하신 대로 보시가 비록 네 가지이지만 다 청정 과보를 받는다고 보는 것이어니와,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하면[四種布施*], 첫째는 시주(施主)는 청정하되 받는 자가 부정한 것이요, 둘째는 시주는 부정하되 받는 자는 청정한 것이며, 셋째는 시주와 받는 자가 다 청정한 것이고, 넷째는 시주나 받는 자 모두가 부정한 것이니라. |
*異念處; 念處(Smṛtyupasthāna)의 '지혜로 관찰하는 경계', 즉 '念頭를 둔 곳'이니,
'(보통의 관념과는) 다른 념처'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四種布施; 施主清淨受者不淨, 施主不淨受者清淨, 施受俱淨, 施受俱不淨.
《菩薩善戒經》에서는 보시물에 따라 筆施, 墨施, 經施, 說法施의 넷을 四施라 하였다.
「云何施淨、受者不淨? 施主具有戒、聞、智慧, 知有慧施及以果報, 受者破戒、專著邪見、 無施果報, 是名施淨受者不淨。 |
「어떤 것이 시주는 깨끗하고 받는 자는 부정한 것인가? 시주는 계(戒)와 들음[聞]과 지혜를 갖춰서 혜시(慧施)와 그에 따른 과보를 알고 있으나, 받는 자는 파계하고, 사견(邪見)에 빠져서 혜시도 과보도 없다고 한다면 이를 '보시는 깨끗하되 받는 자는 부정하다'고 하느니라. |
「云何名為受者清淨、施主不淨? 施主破戒、專著邪見, 言無慧施及以果報, 受者持戒,多聞智慧, 知有惠施及施果報, 是名施主不淨、受者清淨。 |
「어떤 것이 받는 자는 깨끗하고 시주는 부정한 것인가? 시주는 파계하고, 사견(邪見)에 빠져서 혜시도 그에 따른 과보도 없다고 말하고, 받는 자는 지계(持戒)와 다문(多聞)과 지혜를 갖춰서 혜시(慧施)와 보시의 과보를 알고 있다면, 이를 '시주는 부정하고 받는 자는 깨끗하다'고 하느니라. |
「云何名為施、受俱淨? 施者受者,俱有持戒、多聞、智慧, 知有惠施及施果報, 是名施受二俱清淨。 |
「어떤 것이 시주와 받는 자가 모두 깨끗한 것인가? 시주와 받는 자 모두가 지계와 다문, 지혜가 있어서 혜시와 보시의 과보를 알고 있다면 이를 '시주와 받는 자 둘이 다 깨끗하다'고 하느니라. |
「云何名為二俱不淨? 施者受者破戒、邪見, 言無有施及施果報。 若如是者, 云何復言得淨果報? 以無施無報故名為淨。 善男子!若有不見施及施報, 當知是人不名破戒、 專著邪見。 若依聲聞,言不見施及施果報, 是則名為破戒邪見。 若依如是大涅槃經, 不見惠施及施果報, 是則名為持戒正見。 菩薩摩訶薩有異念處,以修習故, 不見眾生持戒、破戒、施者、受者 及施果報, 是故得名持戒正見。 以是義故,菩薩摩訶薩 不觀福田及非福田。 |
「어떤 것이 시주와 받는 자 둘이 다 부정한 것인가? 시주와 받는 자가 파계하고 사견에 빠져 혜시도 보시의 과보도 없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만일 이와 같다면 어째서 또 청정 과보를 얻는다고 말하는가? 혜시도 없고 과보도 없기 때문에 깨끗하다고 하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누가 혜시와 보시의 과보를 보지 않는다면 이 사람은 파계하거나 사견에 빠졌다고 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하거니와, 성문에 의해 혜시와 그 과보를 보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이것이 곧 파계하고 사견에 빠진 것이요, 이와 같은 《대열반경》에 의지하여 혜시와 그 과보를 보지 않는 이것이 곧 지계(持戒)요, 정견(正見)이 되는 것이니라. 보살마하살은 이념처가 있어서 그것을 수습하기에 중생의 지계나 파계, 시주와 받는 자나 보시의 과보를 보지 아니하니, 그 때문에 계를 지키고 견해가 바르다고 하는 것이며,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은 복전인지 비복전인지를 보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니라. |
「云何名為淨佛國土? 菩薩摩訶薩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離殺害心,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眾生得壽命長,有大勢力, 獲大神通。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國土所有一切眾生,得壽命長, 有大勢力,獲大神通。 |
「어떤 것이 불국토를 청정히 하는 것인가?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의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살생하는 마음을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또 중생들이 긴 수명을 얻고 큰 세력을 지녀서 큰 신통 얻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그 국토에 있는 일체중생이 긴 수명을 얻고 큰 세력을 지녀 큰 신통을 얻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離偷盜心,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國土地所有純是七寶, 眾生富足, 所欲自恣。 以此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所得國土純是七寶, 眾生富足,所欲自恣。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도둑질하는 마음을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국토 땅에 있는 것이 순전히 칠보(七寶)여서 중생의 부(富)가 만족하고, 바라는 바를 마음대로 이루기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얻는 국토가 순전히 칠보여서 중생 부(富)가 만족하고, 바라는 바를 마음대로 이루느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離婬欲心,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所有眾生, 無有貪欲瞋恚癡心, 亦無飢渴苦惱之者。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國土眾生遠離貪婬、瞋恚、癡心, 一切無有飢渴苦惱。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음욕(婬欲)의 마음을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국토에 있는 중생들이 탐욕과 진에와 어리석은 마음도 없고, 기갈(飢渴)에 시달리는 자도 없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국토의 중생들이 탐음(貪婬), 진에, 치심(癡心)을 여의고, 어디에도 기갈에 시달리는 일이 없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離妄語心,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常有花樹、果樹、香樹, 所有眾生得妙音聲。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所有國土常有花樹、果樹、香樹, 其中眾生悉得清淨上妙音聲。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망어(妄語)의 마음을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국토에 늘 꽃나무 과일나무 향나무가 있고, 그 곳의 중생들이 묘음성(妙音聲)을 얻기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있는 바 국토에 늘 꽃나무, 과일나무, 향나무가 있고, 그 안의 중생이 다 청정하고 상묘한 음성을 얻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遠離惡口,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地平如掌, 無有沙礫瓦石之屬、荊蕀惡刺, 所有眾生其心平等。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所有國土,地平如掌, 無有沙礫、荊蕀,惡刺, 所有眾生其心平等。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악구(惡口)를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국토 땅이 손바닥처럼 평탄하고, 모래, 기왓조각, 돌 따위나 가시풀과 독충도 없어서 그 곳 중생들의 마음이 평등하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있는 바 국토의 땅이 손바닥처럼 평탄하고, 모래나 기왓조각, 가시풀과 독충도 없어서 그 곳 중생들의 마음이 평등한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離無義語,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所有眾生,無有苦惱。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國土所有一切眾生,無有苦惱。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무의어(無義語)를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토의 중생에게 고뇌가 없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국토의 일체중생에게 고뇌가 없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遠離貪嫉,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一切眾生 無有貪嫉、惱害、邪見。 以此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國土所有一切眾生 悉無貪嫉、惱害、邪見。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간탐과 질투[貪嫉]를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토의 중생에게 탐질(貪嫉)과 뇌해(惱害), 사견(邪見)이 없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국토의 일체중생이 다 탐질과 뇌해, 사견이 없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遠離惱害,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所有眾生, 悉共修習大慈大悲, 得一子地。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世界所有一切眾生, 悉共修習大慈、大悲, 得一子地。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뇌해(惱害;괴롭히고 해침)를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토의 중생들이 다 함께 대자대비를 수습하여 외아들의 지위를 얻기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세계의 일체중생이 다 함께 대자와 대비를 수습하여 외아들의 지위를 얻는 것이니라. |
「復次善男子!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為阿耨多羅三藐三菩提、度眾生故, 遠離邪見,以此善根, 願與一切眾生共之, 願諸佛土所有眾生, 悉得摩訶般若波羅蜜。 以是誓願因緣力故, 於未來世成佛之時, 世界眾生悉得受持摩訶般若波羅蜜, 是名菩薩修淨佛土。 |
「또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중생 제도를 위하기에 사견(邪見)을 여의어서 이 선근으로 일체중생과 더불어 함께하기를 원하고, 모든 불토의 중생들이 다 마하반야바라밀 얻기를 원하거니와, 이 서원의 인연력으로 미래세에 부처를 이루었을 때 세계 중생이 다 마하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하게 되나니, 이를 일러 보살이 불토를 청정히 닦는다고 하느니라. |
「云何菩薩摩訶薩滅除有餘? 有餘有三:一者煩惱餘報, 二者餘業,三者餘有。 善男子!云何名為煩惱餘報? 若有眾生習近貪欲, 是報熟故,墮於地獄。 從地獄出,受畜生身,所謂鴿雀、 鴛鴦鸚鵡、耆婆耆婆舍利伽鳥、 青雀魚鼈、獼猴麞鹿, 若得人身,受黃門形、女人、 二根、無根、婬女, 若得出家犯初重戒, 是名餘報。 |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나머지를 멸제한다고 하는가? 나머지에는 세 가지가 있나니, 첫째는 번뇌의 여보(餘報), 둘째는 여업(餘業), 셋째는 여유(餘有;餘果)이니라. 선남자야! 어떤 것을 번뇌의 여보(餘報)라 하는가? 만약 어느 중생이 탐욕을 가까이하여 익숙해지면 그 과보도 무르익어 지옥에 떨어지려니와, 지옥에서 나와도 축생의 몸, 소위 비둘기나 원앙새, 앵무새, 시바시바(耆婆耆婆*), 사리가(舍利伽*)새, 고지새, 물고기와 자라, 원숭이, 노루, 사슴의 몸을 받고, 사람의 몸을 받더라도 내시의 형상이나 여인, 이근(二根), 무근(無根), 음녀로 태어나며, 출가하더라도 초중계(初重戒*)를 범하리니, 이것을 여보(餘報)라 하느니라. |
*耆婆耆婆(Jivajivaka); 時婆時婆迦, 耆婆耆婆迦. 譯하여 命命鳥(법화경), 共命鳥.
《佛本行集經》에 아주 먼 옛날 雪山에 살았던 '머리 둘 달린 새[一身二頭之禽鳥]'라 하였다.
*舍利伽(śārikā); 百舌鳥, 구욕조(鴝鵒鳥). 암컷은 sārīkā(舍利伽)라 하고, 숫컷은 sāra(舍羅)라 한다.
*初重戒; 貪,瞋,癡,慢의 四毒 중 첫째인 不貪戒.
「復次善男子!若有眾生 以殷重心習近瞋恚, 是報熟故,墮於地獄。 從地獄出,受畜生身, 所謂毒蛇——具四種毒,見毒、觸毒、 齧毒、歔毒—— 師子虎狼、熊羆猫狸、鷹鷂之屬, 若得人身,具足十六諸惡律儀, 若得出家犯第二重戒, 是名餘報。 |
「또 선남자야! 만일 어느 중생이 은중심(殷重心)으로 진에(瞋恚)를 가까이 익히면 그 응보도 무르익어 지옥에 떨어지려니와, 지옥에서 나오더라도 축생의 몸, 소위 4종독(四種毒)인 견독(見毒), 촉독(觸毒), 설독(齧毒), 허독(歔毒;氣毒)을 갖춘 독사(毒蛇)나 사자, 범, 이리, 곰, 고양이, 삵, 매 따위의 몸을 받고, 사람 몸을 받아도 16가지 나쁜 율의(惡律儀*)를 다 갖추며, 출가를 해도 제2중계(第二重戒*)를 범하리니, 이것을 일러 여보(餘報)라 하느니라. |
*十六惡律儀; 《大般涅槃經》卷第二十九에
「一者為利,餧養羔羊,肥已轉賣。二者為利,買已屠殺。三者為利,餧養猪豚,肥已轉賣。
四者為利,買已屠殺。五者為利,餧養牛犢,肥已轉賣。六者為利,買已屠殺。
七者為利,養鷄令肥,肥已轉賣。八者為利,買已屠殺。九者釣魚。十者獵師。
十一者劫奪。十二者魁膾。十三者網捕飛鳥。十四者兩舌。十五者獄卒。十六者呪龍。」라 하였다.
*第二重戒; 不瞋戒.
「復次善男子!若有修習愚癡之人, 是報熟時,墮於地獄。 從地獄出,受畜生身, 所謂象猪、牛羊水牛、 蚤虱蚊虻、蟻子等形, 若得人身,聾、盲、瘖啞、癃殘背瘻, 諸根不具,不能受法, 若得出家諸根闇鈍, 憙犯重戒乃至五錢, 是名餘報。 |
「또 선남자야! 만일 누가 우치(愚癡)를 수습한다면 그 응보가 무르익거든 지옥에 떨어지려니와, 지옥에서 나오더라도 축생의 몸, 소위 코끼리, 돼지, 소, 양, 물소, 벼룩, 이, 모기, 등에, 개미 따위의 형상을 받고, 사람 몸을 얻어도 귀머거리, 맹인, 벙어리, 곱추나 제근(諸根)을 갖추지 못해 법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출가하더라도 제근(諸根)이 암둔(闇鈍)하여 중계(重戒*)에서 오전(五錢*)까지도 기꺼이 범하리니, 이것을 여보(餘報)라 하느니라. |
*第三重戒; 不癡戒.
*五錢; 사형에 처해질 죄. 錢은 王舍國에서 사용한 큰 돈[大錢]으로 1대전은 16소전(小錢)이니
5대전은 80소전인데, 이 80소전 이상을 훔치면 '5전(五錢)'이라 하여 국법으로 사형에 처했다 한다.
「復次善男子!若有修習憍慢之人, 是報熟時,墮於地獄。 從地獄出、受畜生身, 所謂糞虫、駝驢犬馬, 若生人中,受奴婢身、貧窮乞匃, 或得出家,常為眾生之所輕賤, 破第四戒,是名餘報。 如是等名煩惱餘報。 如是餘報,菩薩摩訶薩 以能修習大涅槃故,悉得除滅。 |
「또 선남자야! 만일 교만을 수습한 사람이라면 그 응보가 무르익거든 지옥에 떨어지려니와, 지옥에서 나오더라도 축생, 소위 똥벌레, 낙타, 나귀, 개, 말의 몸을 받고, 사람으로 태어나도 노비나 가난한 거지의 몸을 받으며, 혹 출가하더라도 늘 중생들의 멸시를 받으면서 제4의 중계를 파하리니, 이를 여보(餘報)라 하거니와, 이러한 것들을 번뇌여보(煩惱餘報)라 하며, 이러한 여보(餘報)는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수습함으로써 다 제멸(除滅)되는 것이니라. |
*第四重戒; 不慢戒.
「云何餘業? 謂一切凡夫業,一切聲聞業。 須陀洹人受七有業, 斯陀含人受二有業, 阿那含人受色有業, 是名餘業。 如是餘業,菩薩摩訶薩 以能修習大涅槃故,悉得斷除。 |
「어떤 것을 여업(餘業)이라 하는가? 일체범부의 업과 일체성문의 업을 말하니, 수다원(須陀洹)이 받는 7유(七有*)의 업과, 사다함(斯陀含)이 받는 2유(二有)의 업, 아나함(阿那含)이 받는 색유(色有*)의 업, 이런 것들을 여업(餘業)이라 하거니와, 이러한 여업은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수습함으로써 다 단제(斷除)되는 것이니라. |
*七有; 과보의 실재(實在)를 유(有)라 한다.
「須陀洹」은 身見과 戒取, 疑가 끊긴 聖人으로 人界와 天界를 일곱번 왕복, 즉 14생을 하면
필경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하게 된다고 한다.
또 地獄有, 傍生有, 鬼界有, 天有, 人有, 業有, 中有를 칠유라 하기도 한다[阿毘達磨大毘婆沙論 60卷].
*色有; 三有의 하나. 三有는 欲有, 色有, 無色有로 欲, 色, 無色의 三界와 같은 뜻이다.
色界四禪天의 果報로 마침내 實有하는 것이기에 色有라 한다.
「云何餘有? 阿羅漢得阿羅漢果, 辟支佛得辟支佛果, 無業無結而轉二果, 是名餘有。 如是三種有餘之法, 菩薩摩訶薩修習大乘大涅槃經, 故得滅除, 是名菩薩摩訶薩滅除有餘。 |
「어떤 것을 여유(餘有;餘果)라 하는가? 아라한이 아라한과를 얻고 벽지불이 벽지불과를 얻어서 업도 없고 결사(結使)도 없으나 두 과(果)를 굴리는 이것을 여유(餘有)라 하거니와, 이러한 세 가지 남아있는 법을 보살마하살은 대승의 대열반을 수습함으로써 멸제하게 되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이 남은 것을 멸제한다고 하느니라. |
「云何菩薩修清淨身? 菩薩摩訶薩修不殺戒,有五種心, 謂下、中、上、上中、上上, 乃至正見亦復如是。 是五十心,名初發心; 具足決定成五十心,是名滿足。 如是百心,名百福德。 具足百福成於一相。 如是展轉具足成就三十二相, 名清淨身。 |
「어떤 것을 보살이 청정신(清淨身)을 닦는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불살계(不殺戒)에 다섯 가지 마음, 즉 하(下), 중(中), 상(上), 상중(上中), 상상(上上)을 닦고, 정견(正見)에 이르기까지도 그와 같이 하니, 이 50가지 마음[五十心*]을 초발심(初發心)이라 하거니와, 이 오십심을 구족하게 결정히 이루면 만족(滿足)이라 한다. 이와 같은 백 가지 마음[百心*]이 백복덕(百福德)인 것이요, 이 백복(百福)을 구족하면 일상(一相)을 이루거니와, 이렇게 전전(展轉)하여 32상(相)을 구족히 성취하면 청정신(清淨身)이라 하느니라. |
*五十心; 십선(十善), 즉 不殺生, 不偷盜, 不邪婬, 不妄語, 不兩舌, 不惡口, 不綺語, 不貪欲, 不瞋恚,
不邪見(正見)의 각각에 대한 하, 중, 상, 상중, 상상의 다섯 가지씩 총 50가지의 마음을 말하니,
십선을 향한 下에서 上上까지의 50종 마음을 초발심(初發心)이라 한다는 말씀이다.
*百心; 修行 50心, 滿足 50心.
所以復修八十種好, 世有眾生事八十神。 何等八十? 十二日、十二大天、五大星、 北斗馬天、行道天、 婆羅墮跋闍天、功德天、二十八宿、 地天、風天、水天、火天、 梵天、樓陀天、因提天、 拘摩羅天、八臂天、 摩醯首羅天、半闍羅天、 鬼子母天、四天王天、造書天、 婆藪天,是名八十。 為此眾生修八十好以自莊嚴, 是名菩薩清淨之身。 何以故?是八十天,一切眾生之所信伏, 是故菩薩修八十好,其身不動, 令彼眾生隨其所信,各各而見, 見已宗敬,各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以是義故,菩薩摩訶薩修於淨身。 |
그래서 다시 80종호(八十種好)를 닦거니와, 세간의 중생들은 80신(神)을 섬기나니, 어떤 것이 그 80신인가? 12일(十二日*), 12대천(十二大天*), 5대성(五大星*), 북두마천(北斗馬天), 행도천(行道天), 바라다바사천(婆羅墮跋闍天*), 공덕천, 28수(二十八宿*), 지천(地天), 풍천(風天), 수천(水天), 화천(火天), 범천(梵天), 루다천(樓陀天*), 인제천(因提天*), 구마라천(拘摩羅天*), 팔비천(八臂天*),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반사라천(半闍羅天*), 귀자모천(鬼子母天*), 사천왕천, 조서천(造書天*), 바수천(婆藪天*), 이것들이 80신이라 이를 위해 중생들이 80종호를 닦아 스스로 장엄하니, 이것을 보살의 청정신이라 하거니와, 왜냐하면 이 80천(天)을 일체중생이 믿기에 그래서 보살이 80종호 닦기를 확고히 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믿음에 따라 각각 보고서 존경하여 저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게 하므로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이 청정신을 닦는 것이니라. |
*十二日身; 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쥐·소의 머리에 사람 몸을 가진 十二支神.
*十二大天; 梵天, 地天, 月天, 日天, 帝釋天, 火天, 焰摩天, 羅剎天, 水天, 風天, 毘沙門天, 大自在天.
*五大星; 歲星(목성), 熒惑星(화성), 鎮星(토성), 太白星(금성), 辰星(수성).
*婆羅墮跋闍天(Bharadvāja); 重語天.
*二十八宿; 고대 천문학의 기본 개념으로 하늘의 적도를 따라 남북의 별들을 28구역으로 나눈 별자리.
*樓陀天; 可畏天. *因提天; 忉利天(釋提恒因). *拘摩羅天(Kumāraka-deva); 童子天.
*八臂天; 那羅延天. *摩醯首羅天; 大自在天, 色界最高處. *半闍羅天; 龍天.
*鬼子母天; 一切鬼의 母로서 인간에게 자식을 준다고 한다.
*造書天; 婆羅賀摩天(Brahman). 淨天. *婆藪天(Vasu-deva); 世天.
「善男子!譬如有人欲請大王, 要當莊嚴所有舍宅,極令清淨, 辦具種種百味餚饍, 然後王當就其所請。 菩薩摩訶薩亦復如是, 欲請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輪王故, 先當修身極令清淨, 無上法王乃當處之。 以是義故,菩薩摩訶薩 要當修於清淨之身。 |
「선남자야! 마치 어떤 사람이 대왕을 청하려거든 집을 극히 청정하게 장엄하고 온갖 좋은 음식을 구비한 연후에야 왕이 그의 소청을 따르게 되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륜왕(法輪王)을 청하려면 먼저 몸을 지극히 깨끗하게 닦아야 위없는 법왕이 마침내 처하게 될 것이라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은 청정신을 닦아야 하는 것이니라. |
善男子!譬如有人欲服甘露, 先當淨身。 菩薩摩訶薩亦復如是, 欲服無上甘露法味般若波羅蜜, 要當先以八十種好清淨其身。 善男子!譬如妙好金銀盂器, 盛之淨水,中表俱淨。 菩薩摩訶薩其身清淨亦復如是, 盛阿耨多羅三藐三菩提水, 中表俱淨。 善男子!如波羅㮈素白之衣, 易受染色。何以故?性白淨故。 菩薩摩訶薩亦復如是, 以身淨故,疾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以是義故,菩薩摩訶薩修於淨身。 |
선남자야! 마치 누가 감로(甘露)를 먹으려거든 먼저 몸을 깨끗이 해야 하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위없는 감로의 법미(法味)인 반야바라밀을 먹으려면 먼저 80종호로 그 몸을 청정히 해야 하며, 선남자야! 마치 좋은 금은 발우에 깨끗한 물을 담으면 속과 겉이 다 깨끗해지듯이, 보살마하살의 몸이 청정한 것도 그와 같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물을 담았기에 속과 겉이 다 깨끗한 것이니라. 선남자야! 마치 바라내(波羅㮈*)의 하얀 옷은 쉽게 염색되는데, 그 이유는 성질이 희고 깨끗해서이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몸이 깨끗함으로써 뻘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에 이런 뜻에서 보살마하살이 청정한 몸을 닦는 것이니라. |
*波羅㮈; 古代印度 6대도시의 하나로 迦尸國의 수도.
「云何菩薩摩訶薩善知諸緣? 菩薩摩訶薩不見色相、不見色緣、 不見色體、不見色生、不見色滅、 不見一相、不見異相、 不見見者、不見相貌、不見受者。 何以故?了因緣故。 如色,一切法亦如是, 是名菩薩了知諸緣。 |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제연(諸緣)을 잘 안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색상(色相)도 색연(色緣)도 보지않고, 색체(色體)도, 색생(色生)과 색멸(色滅)도 보지 않고, 일상(一相)도 이상(異相)도 보지 않고, 견자(見者)도 상모(相貌)도 수자(受者)도 보지 않는데, 어째서인가? 인연(因緣)을 요지(了知)했기 때문이며, 색(色) 뿐만이 아니라 일체법에도 그와 같으니, 이를 보살이 제연을 요지한다고 하는 것이니라. |
「云何菩薩離諸怨敵? 一切煩惱是菩薩怨敵, 菩薩摩訶薩常遠離故, 是名菩薩壞諸怨敵。 五住菩薩視諸煩惱不名為怨。 所以者何?因煩惱故,菩薩有生, 以有生故,故能展轉教化眾生。 以是義故,不名為怨。 何等為怨? 所謂誹謗方等經者。菩薩隨生, 不畏地獄、畜生、餓鬼, 唯畏如是謗方等者。 一切菩薩有八種魔,名為怨家, 遠是八魔,名離怨家, 是名菩薩離諸怨家。 |
「어떤 것을 보살이 모든 원적(怨敵)을 여의었다고 하는가? 일체 번뇌(煩惱)는 보살의 원적(怨敵)인지라 보살마하살은 항상 멀리하기 때문에 이를 일러 보살이 모든 원적을 무찌른다 하거니와, 5주(五住) 보살은 번뇌를 원수로 보지 않나니, 어째서인가? 번뇌로 인해 보살의 출생이 있고, 출생이 있으므로써 중생교화가 전전(展轉)할 수 있기에 이런 의미에서 원수로 여기지 않는 것이니라. 어떤 것들이 원수인가? 소위 방등경을 비방하는 자이니, 보살은 지옥이나 축생, 아귀에 태어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지만 오직 이러한 방등경 비방하는 자만은 두려워하느니라. 일체 보살의 8종마(八種魔*)를 원가(怨家)라 하거니와, 이 8마(八魔)를 멀리하는 것이 원가를 멀리하는 것이니, 이를 일러 보살이 모든 원가(怨家)를 여읜다고 하느니라. |
*八魔; 四魔(煩惱魔,蘊魔,死魔,自在天魔)와 無常, 無樂, 無我, 無淨.
「云何菩薩遠離二邊? 言二邊者,謂二十五有及愛煩惱。 菩薩常離二十五有及愛煩惱, 是名菩薩遠離二邊。 是名菩薩摩訶薩修大涅槃 具足成就第四功德。」 |
「어떤 것을 보살이 두 변[二邊]을 여읜다고 하는가? 두 변이란 25유(有)와 애번뇌(愛煩惱*)를 말하거니와, 보살은 항상 이 25유와 애번뇌를 여의는지라 이를 보살이 두 변을 여읜다고 하며, 이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4의 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느니라. |
*愛煩惱; 貪欲이나 瞋恚 등의 모든 惑을 말하며 一切苦의 근본이 된다.
爾時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摩訶薩言: 「如佛所說,若有菩薩修大涅槃, 悉作如是十事功德。 如來何故唯修九事, 不修淨土?」 |
이때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마하살이 말했다. 「부처님 말씀대로 보살이 대열반을 닦아 이와 같은 십사공덕(十事功德)을 짓는다면 여래께서는 어찌하여 구사(九事)만 닦으시고 정토(淨土)는 닦지 않으시나이까?」 |
佛言:「善男子! 我於往昔亦常具修如是十事。 一切菩薩及諸如來無有不修是十事者, 若使世界不淨充滿, 諸佛世尊於中出者,無有是處。 善男子。汝今莫謂諸佛出於不淨世界, 當知是心不善狹劣。 汝今當知, 我實不出閻浮提界。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나도 옛적에 늘 그 십사(十事)를 갖춰 닦았으니, 모든 보살과 여래들은 이 십사를 닦지 않는 이가 없거니와, 가사 세계가 부정한 것들로 가득한데 제불세존이 그 중에서 나온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느니라. 선남자야, 너는 제불이 부정한 세계에서 나온다 하지 말라. 그런 마음은 좋지 못하고 협렬(狹劣)한 것이거니와, 너는 이제 마땅히 알지니, 나는 실로 염부제 세계에서 나온 것이 아니니라. |
譬如有人說言此界獨有日月, 他方世界無有日月, 如是之言無有義理。 若有菩薩發如是言, 此佛世界穢惡不淨, 他方佛土清淨嚴麗,亦復如是。 |
마치 어떤 사람이 이 세계에만 해와 달이 있고, 타방 세계에는 일월이 없다고 말한다면 이러한 말은 이치에 맞지 않듯이, 만약 어떤 보살이 말하기를, 이 부처님 세계는 더럽워서 깨끗치 못하고, 타방 세계는 청정하여 아름답다고 하는 것도 그와 같으니라. |
善男子!西方去此娑婆世界, 度三十二恒河沙等諸佛國土, 彼有世界名曰無勝。 彼土何故名曰無勝? 其土所有嚴麗之事, 皆悉平等無有差別, 猶如西方安樂世界, 亦如東方滿月世界。 我於彼土出現於世, 為化眾生故, 於此界閻浮提中現轉法輪。 非但我身獨於此中現轉法輪, 一切諸佛亦於此中而轉法輪。 以是義故,諸佛世尊 非不修行如是十事。 善男子!慈氏菩薩以誓願故, 當來之世,令此世界清淨莊嚴。 以是義故, 一切諸佛所有世界無不嚴淨。 |
선남자야! 서쪽으로 이 사바세계를 지나 32 항하사 같은 제불세계를 건너면 거기에 무승(無勝)이라는 세계가 있는데, 그 땅을 왜 무승이라 하는가 하면, 그 땅에 있는 엄려(嚴麗)한 일들이 모두 다 평등하고 차별함이 없어서 마치 서방 안락세계(安樂世界)나 동방의 만월세계(滿月世界)와 같아서이니라. 나는 그 땅에서 세상에 출현하였으나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이 염부제에서 현재 법륜을 굴리고 있거니와, 단지 나만 홀로 여기서 법륜을 굴리는 것이 아니라 일체제불도 여기서 법륜을 굴리고 계시니, 이런 뜻에서 제불세존은 그 십사(十事)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며, 선남자야! 자씨(慈氏)보살이 서원(誓願)함으로써 오는 세상에 이 세계를 청정히 장엄할 것이기에 이런 뜻에서 일체제불의 세계는 엄정(嚴淨)치 않은 곳이 없느니라. |
「復次善男子!云何菩薩摩訶薩 修大涅槃微妙經典, 具足成就第五功德? 善男子!菩薩摩訶薩修大涅槃 具足成就第五功德,有五事。 何等為五? 一者諸根完具, 二者不生邊地, 三者諸天愛念, 四者常為天魔、沙門、剎利、 婆羅門等之所恭敬, 五者得宿命智。 菩薩以是大涅槃經因緣力故, 具足如是五事功德。」 |
「또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제5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는가?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5공덕을 구족히 성취하는 데에는 5사(五事)가 있나니, 무엇이 다섯인가? 첫째는 제근(諸根)을 완전히 구비하는 것이요, 둘째는 변지(邊地*)에 태어나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제천(諸天)의 사랑을 받는 것이요, 넷째는 늘 천마(天魔)나 사문(沙門), 찰리(剎利), 바라문(婆羅門) 등의 공경을 받는 것이며, 다섯째는 숙명을 아는 지혜[宿命智]를 얻는 것이어니와, 보살은 이 대열반의 인연력으로 이러한 5사(五事)의 공덕을 구족하느니라.」 |
-십사공덕 중 제5공덕의 5사
*邊地(mleccha); 佛法을 들을 수 없거나 또는 아미타 정토에서 먼 변두리 땅.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言: 「如佛所說,若有善男子、善女人 修於布施,則得具成五事功德, 今云何言因大涅槃得是五事?」 |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이 여쭈었다. 「부처님께서는 선남자 선여인이 보시를 행한 즉 5사공덕을 갖춰 이룬다고 하시더니, 지금은 어째서 대열반을 인해 5사를 얻는다 하시나이까? 」 |
佛言:「善哉,善哉!善男子! 如是之事其義各異, 今當為汝分別解說。 施得五事,不定、不常、不淨、 不勝、不異、非無漏、 不能利益安樂憐愍一切眾生。 若依如是大涅槃經所得五事, 是定、是常、是淨、是勝、 是異、是無漏, 則能利益安樂憐愍一切眾生。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장하고 장하도다! 선남자야! 이러한 일은 그 뜻이 각각 다르나니, 이제 너에게 분별하여 해설해주리라. 보시로 얻는 5사(五事)는 부정(不定), 불상(不常), 부정(不淨), 불승(不勝), 불이(不異)하고 무루(無漏)가 아니라서 일체중생을 이익(利益), 안락(安樂), 연민(憐愍)할 수 없으나, 이렇듯 《대열반경》에 의지해 얻는 5사(五事)는 정(定)이요, 상(常), 정(淨), 승(勝)이요, 이(異)이며, 바로 무루(無漏)인지라 일체중생을 이익, 안락, 연민할 수 있느니라. |
善男子!夫布施者則離飢渴, 大涅槃經能令眾生 悉得遠離二十五有渴愛之病。 布施因緣令生死相續, 大涅槃經能令生死斷不相續。 因布施故受凡夫法, 因大涅槃得作菩薩。 布施因緣能斷一切貧窮苦惱, 大涅槃經能斷一切貧善法者。 布施因緣有分有果, 因大涅槃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無分無果。 是名菩薩摩訶薩修大涅槃微妙經典, 具足成就第五功德。 |
선남자야! 대체로 보시란 곧 기갈을 여의게 하지만 《대열반경》은 중생으로 하여금 25유의 갈애(渴愛)하는 병을 다 여의게 하고, 보시한 인연은 생사를 계속하게 하지만, 《대열반경》은 생사가 끊겨서 계속되지 않게 하며, 보시를 인해서는 범부의 법을 받고, 《대열반》을 인해서는 보살을 짓게 되며, 보시한 인연으로는 일체의 빈궁과 고뇌를 끊고, 《대열반경》으로는 모든 선법(善法)에 가난한 것을 끊으며, 보시한 인연에는 분수[分]도 있고 결과[果]도 있으나, 《대열반》을 인해 얻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분(分)도 과(果)도 없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이 《대열반》이라는 미묘경전을 닦아 제5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느니라. |
「善男子!云何菩薩 修大涅槃微妙經典, 具足成就第六功德? 菩薩摩訶薩修大涅槃, 得金剛三昧,安住是中, 悉能破散一切諸法。 見一切法皆是無常、皆是動相、 恐怖因緣、病苦劫盜、 念念滅壞、無有真實, 一切皆是魔之境界,無可見相。 菩薩摩訶薩住是三昧, 雖施眾生,乃至不見一眾生。 實為眾生故, 精勤修習尸波羅蜜, 乃至修習般若波羅蜜,亦復如是。 菩薩若見有一眾生, 不能畢竟具足成就檀波羅蜜 乃至具足般若波羅蜜。 |
「선남자야! 어떤 것을 보살이 《대열반》이라는 미묘한 경전을 닦아 제6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대열반》을 닦아 금강(金剛)삼매를 얻고 그 안에 안주(安住)하여 일체제법(一切諸法)을 다 깨뜨려 흩어버려서 일체법이 다 무상(無常)이요 동상(動相)이며, 공포(恐怖)의 인연이요, 병고(病苦)요 겁탈하는 도둑이며, 순간순간 스러져가고 진실함이 없으니, 모두가 다 마(魔)의 경계라 볼 만한 모양이 없다고 보느니라. 보살마하살은 이 삼매에 안주하여 비록 중생에게 보시하되 누구도 중생으로 보지 않지만, 실로 중생을 위하기에 시(尸)바라밀을 정근(精勤)하여 수습(修習)하고, 나아가 반야바라밀까지도 그와 같이 수습하느니라. 보살이 만약 한 중생이라도 본다면, 필경 단(檀)바라밀에서 반야바라밀까지를 구족히 성취할 수 없느니라. |
善男子!譬如金剛, 所擬之處無不碎壞, 而是金剛無有折損。 金剛三昧亦復如是, 所擬之法無不碎壞, 而是三昧無有折損。 善男子!如諸寶中金剛最勝, 菩薩所得金剛三昧亦復如是, 於諸三昧為最第一。 何以故?菩薩摩訶薩修是三昧, 一切三昧悉來歸屬。 善男子!如諸小王 悉來歸屬轉輪聖王, 一切三昧亦復如是, 悉來歸屬金剛三昧。 |
선남자야! 마치 금강(金剛)에 마주친 곳은 부셔지지 않는 것이 없으나, 이 금강은 절손(折損)된 데가 없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마주치는 법마다 부셔지지 않는 것이 없지만 이 삼매는 아무런 절손이 없느니라. 선남자야! 모든 보배 중에 금강이 제일가듯이, 보살이 얻는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모든 삼매들 가운데 가장 제일가나니,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은 이 삼매를 닦거든 모든 삼매가 다 귀속(歸屬)해 오기 때문이거니와, 선남자야! 모든 소왕(小王)이 다 전륜성왕에게 귀속되듯이, 모든 삼매도 그와 같아서 모두 금강삼매로 귀속되느니라. |
善男子!譬如有人為國怨讎, 人所厭患,有人殺之, 一切世人無不稱讚是人功德。 金剛三昧亦復如是, 菩薩修習,能壞一切眾生怨敵, 是故常為一切三昧之所宗敬。 善男子!譬如有人,其力盛壯, 人無當者, 復更有人,力能伏之, 當知是人世所稱美。 金剛三昧亦復如是, 力能摧伏難伏之法, 以是義故,一切三昧悉來歸屬。 善男子!譬如有人在大海浴, 當知是人已用諸河泉池之水。 菩薩摩訶薩亦復如是, 修習如是金剛三昧, 當知已為修習其餘一切三昧。 |
선남자야! 마치 나라에 원수가 되는 사람이 있으면 사람들의 우환이 될 것이라 어떤 사람이 죽이거든 세상 모든 사람이 이 사람의 공덕을 다 칭찬하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보살이 수습하면 일체중생의 원적을 물리칠 것이기에 그래서 항상 모든 삼매의 존경을 받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마치 힘이 장사여서 당할 자가 없는 사람을 또 어떤 사람이 힘으로 굴복시키면 이사람을 세상이 잘한다고 칭찬할 것을 알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굴복시키기 어려운 법을 힘으로 꺾어 굴복시키기에 이런 뜻에서 모든 삼매가 다 귀속해 오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마치 어떤 사람이 바닷물에 목욕을 하면 이 사람이 강이나 샘, 못의 물을 사용한 것임을 알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이러한 금강삼매를 수습하면 나머지 모든 삼매도 이미 수습한 것임을 아느니라. |
善男子!如香山中有一泉水, 名阿那婆踏多, 其泉具足八味之水, 有人飲之無諸病苦。 金剛三昧亦復如是,具八正道, 菩薩修習,斷諸煩惱、瘡疣重病。 善男子!如人供養摩醯首羅, 當知是人已為供養一切諸天。 金剛三昧亦復如是,有人修習, 當知已為修習一切諸餘三昧。 |
선남자야! 향산(香山*)에 한 샘물이 있어 이름을 아나파답다(阿那婆踏多*)라 하는데, 그 샘은 8미(八味*)를 구족한 물인지라 사람이 마시면 모든 병고가 없어지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이 팔정도(八正道)를 갖춘지라 보살이 수습하면 번뇌와 창우(瘡疣)의 중병이 끊어지느니라. 선남자야! 사람이 마혜수라(摩醯首羅)를 공양하면 이사람은 이미 제천(諸天)을 공양한 것이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어떤 사람이 수습하면 나머지 모든 삼매도 이미 수습한 것임을 아느니라. |
*香山(Gandhamādana); 香醉山. 崑崙山. 阿耨達池(無熱池) 북쪽에 있는 산으로 閻浮提 最高의 山.
산의 많은 나무들이 향기를 뿜는다 하여 향산이라 하며, 阿育王 때 賓頭盧 존자를 위시하여
많은 아라한들이 살았다고 한다.
*阿那婆踏多; 阿那婆達多. 阿耨達池. 譯하여 無熱惱池, 無熱池. 閻浮提 4대강의 發源地.
*八味; 통상 甘, 辛, 鹹, 苦, 酸, 淡, 澀, 不了의 여덟 가지이지만
열반경에서의 팔미는 常住, 寂滅, 不老, 不死, 清淨, 虛通, 不動, 快樂을 말한다.
善男子!若有菩薩 安住如是金剛三昧, 見一切法無有障礙, 如於掌中觀阿摩勒果, 菩薩雖復得如是見, 終不作想見一切法。 善男子!譬如有人,坐四衢道頭, 見諸眾生來、去、坐、臥。 金剛三昧亦復如是, 見一切法生滅、出沒。 善男子!譬如高山,有人登之遠望, 諸方皆悉明了。 金剛定山亦復如是, 菩薩登之,遠望諸法無不明了。 善男子!譬如春月,天降甘雨, 其渧微緻間無空處, 明眼之人見之了了。 菩薩亦爾,得金剛定清淨之目, 遠見東方所有世界, 其中或有國土成壞, 一切皆見了了無障, 乃至十方亦復如是。 |
선남자야! 만일 어떤 보살이 이와 같은 금강삼매에 안주(安住)하면 일체법을 봄에 장애 없기가 마치 손바닥의 아마륵과(阿摩勒果) 보듯 하거니와, 보살은 비록 그렇게 보더라도 결코 일체법을 본다는 생각을 하지 않느니라. 선남자야! 마치 사람이 네거리 모퉁이에 앉으면 모든 중생의 오고 가고 앉고 눕는 것이 다 보이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일체법의 생멸(生滅)과 출몰(出沒)을 다 보느니라. 선남자야! 마치 높은 산에 올라가 멀리 보면 모든 방향이 다 환희 보이듯이, 금강삼매라는 산도 그와 같아서 보살이 올라가 제법(諸法)을 멀리 다 환하게 보느니라. 선남자야! 마치 봄날에 하늘에서 단비가 내리거든 그 방울이 가늘고 빽빽하여 빈틈이 없어도 눈 밝은 사람은 견(見)이 뚜렷하듯이, 보살도 그와 같아서 금강삼매의 청정한 눈을 얻으면 멀리 동방에 있는 세계와 혹시 그 중에 있는 국토의 이루고 무너짐[成壞]을 모두 다 장애없이 똑똑히 보고, 나아가 시방세계까지도 그와 같이 하느니라. |
善男子!如由乾陀山七日竝出, 其山所有樹木叢林一切燒盡。 菩薩修習金剛三昧亦復如是, 所有一切煩惱叢林即時消滅。 善男子!譬如金剛 雖能摧破一切有物, 終不生念我能摧破。 金剛三昧亦復如是, 菩薩修已能破煩惱, 終不生念我能壞結。 善男子!譬如大地能持萬物, 終不生念我力能持, 火亦不念我能燒物, 水亦不念我能潤漬, 風亦不念我能動物, 空亦不念我能容受, 涅槃亦復不生念言, 我令眾生而得滅度。 金剛三昧亦復如是, 雖能滅除一切煩惱, 而初無心言我能滅。 |
선남자야! 유건타산(由乾陀山*)에 일곱 해가 함께 뜨면 그 산에 있는 나무 숲이 모두 다 타버리듯이, 보살이 금강삼매를 수습하는 것도 그와 같아서 있는 바 모든 번뇌의 숲이 즉시에 소멸하느니라. 선남자야! 비유컨대 금강은 비록 모든 물건을 깨뜨릴 수 있으되, 결코 '내가 깨뜨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보살이 이왕 삼매를 수습하여 번뇌를 깨뜨릴 수 있더라도 결코 '내가 번뇌를 깨뜨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아니하며, 선남자야! 또 대지가 만물을 능히 지탱하되, 결코 '내가 지탱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불[火]도 '내가 태운다'고 생각하지 않고, 물[水]도 '내가 적신다'고 생각하지 않고, 바람[風]도 '내가 물건을 움직인다' 하지 않고, 허공[空]도 '내가 수용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열반도 '내가 중생을 멸도(滅度)케 한다'고 말하지 않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비록 모든 번뇌를 멸제하더라도 애초에 '내가 멸한다'고 말할 마음이 없느니라. |
*由乾陀山(Yugajdhara); 十山의 하나로, 「지쌍(持雙)」이라 譯한다.
이 산은 순전히 보배로 이루어지고 夜叉王들이 살고 있다 하며,
난승지(難勝地;五地) 보살의 자재한 如意神通에 비유하여 쓰인다.
若有菩薩安住如是金剛三昧, 於一念中變身如佛, 其數無量遍滿十方恒河沙等諸佛世界。 而是菩薩雖作是化, 其心初無憍慢之想。 何以故?菩薩常念: 『誰有是定,能作是化? 唯有菩薩安住如是金剛三昧 乃能作耳。』 |
보살이 만약 이러한 금강삼매에 안주하여 한 순간에 부처님과 같이 변신(變身)하면 그 수가 무량하여 시방 항하사 같은 제불세계를 가득 채우지만 그러나 이 보살은 비록 그런 변화를 짓더라도 그 마음은 애초에 교만한 마음이 없나니, 왜냐하면, 보살은 항상 『누구에게 이 삼매가 있어서 이 변화를 짓겠는가? 오직 보살이 이런 금강삼매에 안주해야 마침내 지을 수 있을 뿐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니라. |
菩薩摩訶薩安住如是金剛三昧, 於一念中遍到十方恒河沙等諸佛世界, 還其本處。 雖有是力, 亦不念言,我能如是。 何以故?以是三昧因緣力故。 菩薩摩訶薩安住如是金剛三昧, 於一念中能斷十方恒河沙等世界 眾生所有煩惱, 而心初無斷諸眾生煩惱之想。 何以故?以是三昧因緣力故。 |
보살마하살은 이런 금강삼매에 안주하여 한 순간에 시방 항하사 같은 제불세계에 두루 갔다가 다시 그 본처(本處)로 돌아오거니와, 비록 이런 힘이 있더라도 '내가 그리 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나니, 어째서인가? 이 삼매의 인연력 때문이며, 보살마하살은 이런 금강삼매에 안주하여 한 순간에 시방 항하사 같은 제불세계의 중생들이 지니고 있는 번뇌를 끊어낼 수 있지만 마음에는 애초에 중생의 번뇌를 끊는다는 생각이 없나니, 어째서인가? 이 삼매의 인연력 때문이니라. |
菩薩住是金剛三昧, 以一音聲有所演說, 一切眾生各隨種類而得解了。 示現一色,一切眾生,各各皆見種種色相。 安住一處,身不移易, 能令眾生隨其方面各各而見。 演說一法,若界、若入, 一切眾生各隨本解而得聞之。 |
보살은 이 금강삼매에 안주하여 하나의 음성으로 연설할지라도 일체중생은 각각의 품류에 따라 알아 듣고, 한 색상을 나타내도 일체중생은 저마다의 색상으로 보며, 한 곳에 안주하여 몸을 이동하지 않고서도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그 방면에 따라 각각 보게 하거니와, 18계(界)거나 12입(入)이거나 하나의 법을 연설해도 일체중생은 제각기 근본 이해를 쫓아 듣게 되느니라. |
「菩薩安住如是三昧, 雖見眾生,而心初無眾生之相, 雖見男女無男女相, 雖見色法無有色相, 乃至見識亦無識相, 雖見晝夜無晝夜相, 雖見一切無一切相, 雖見一切煩惱諸結 亦無一切煩惱之相, 雖見八聖道無聖道相, 雖見菩提無菩提相, 雖見於涅槃無涅槃相。 何以故?善男子! 一切諸法本無相故。 菩薩以是三昧力故, 見一切法如本無相。 |
「보살은 이와 같은 삼매에 안주하여 비록 중생을 보되, 애초부터 마음에 중생이란 상이 없고, 남녀(男女)를 보더라도 남녀의 상이 없으며, 색법(色法)을 보아도 색상(色相)이 없고, 나아가 식(識)까지를 보아도 식상(識相)이 없으며, 주야(晝夜)를 보아도 주야의 상이 없고, 일체(一切)를 보아도 일체라는 상이 없으며, 일체 번뇌의 결사(結使)를 보아도 일체 번뇌의 상이 없고, 팔성도(八聖道)를 보아도 성도(聖道)의 상이 없으며, 보리(菩提)를 보아도 보리의 상이 없고, 열반을 보아도 열반의 상이 없는데, 왜냐하면, 선남자야! 일체제법은 본래 상(相)이 없기 때문이며, 보살은 이 삼매력으로 일체법을 본래 상이 없는 그대로 보느니라. |
何故名為金剛三昧? 善男子!譬如金剛, 若在日中色則不定, 金剛三昧亦復如是, 在於大眾色亦不定, 是故名為金剛三昧。 善男子!譬如金剛, 一切世人不能評價, 金剛三昧亦復如是, 所有功德一切人天不能評量, 是故復名金剛三昧。 善男子!譬如貧人得金剛寶, 則得遠離貧窮困苦、惡鬼邪毒。 菩薩摩訶薩亦復如是,得是三昧, 則能遠離煩惱諸苦、諸魔邪毒, 是故復名金剛三昧。 是名菩薩修大涅槃 具足成就第六功德。 |
어째서 금강삼매라고 하는가? 선남자야! 비유컨대 금강은 햇빛 속에 있으면 색이 일정치 않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대중 속에 있으면 색이 일정치 않기에 그래서 금강삼매라 하는 것이요, 선남자야! 또 금강은 세상 모든 사람이 값을 매길 수 없듯이, 금강삼매도 그와 같아서 지닌 공덕을 모든 인천(人天)들은 양을 헤아릴 수 없기에 그래서 또 금강삼매라 하는 것이며, 선남자야! 또 가난한 사람이 금강보배를 얻으면 곧 빈궁의 곤고(困苦)와 악귀의 사악한 독을 여의듯이,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이 삼매를 얻으면 번뇌의 모든 고통과 마군의 사악한 독을 여읠 것이라 그래서 또 금강삼매라 하거니와, 이것을 보살이 대열반을 닦아 제6공덕을 구족히 성취한다고 하느니라. |
大般涅槃經卷第二十四
'大般涅槃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26권 (0) | 2022.02.23 |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25권 (0) | 2022.01.10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23권 (0) | 2021.09.08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22권 (0) | 2021.07.24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 21권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