雲門屎橛 | 제21칙 운문시궐(雲門屎橛)_운문의 마른 똥 막대기 |
雲門因僧問。 如何是佛。 門云乾屎橛。 |
운문(雲門)에게 어떤 중이 "무엇이 부처입니까?" 하고 물었는데, 운문은 "마른 똥 막대기[乾屎橛]니라." 하였다. |
無門曰。 雲門可謂。家貧難辨素食。 事忙不及草書。 動便將屎橛來。 撑門拄戶。 佛法興衰可見。 |
무문(無門)이 이르되, 운문(雲門)은 집안이 가난해 나물밥 마련하기도 어렵고, 일이 바빠서 흘려 쓸 겨를도 없었다 하겠다. 걸핏하면 시궐(屎橛)을 가져다 문호(門戶*)를 지탱하려 하니, 불법(佛法)의 흥망성쇠가 보인다. |
*素食; 素는 潔白의 뜻이니, 고기가 섞이지 않은 음식을 말한다.
*草書; 「草體」, 「草字」. 漢代부터 빨리 쓰기 위해 생겨난 흘려쓰는 書體.
*門戶; 두 짝 문은 門, 한 짝문은 戶. 家門.
頌曰。 | 게송으로, |
閃電光 擊石火 眨得眼 已蹉過 |
전광(電光) 번쩍이고 석화(石火) 튀기듯 눈 깜빡하는 순간 이미 지나갔다. |
운문은 「부처」 하면 떠올리는 「淸淨」 이미지[相]를 「乾屎橛」이라는 더러운 것을 들어 打破했고,
무문은 그에 따라 興盛했던 운문의 家門이 「乾屎橛」로 지탱되었음을 역으로 빗대어 논평했다.
'禪宗無門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칙] 선악(善惡)을 생각하지 말라. (0) | 2021.09.15 |
---|---|
[제22칙] 가섭의 찰간(迦葉剎竿) (0) | 2021.09.14 |
무문관 제20칙 대력량인(大力量人) (0) | 2021.08.13 |
무문관 제19칙 평상시도(平常是道) (0) | 2021.08.12 |
무문관 제18칙 동산삼근(洞山三斤)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