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句 | 운문삼구(雲門三句) |
師示眾云。 函蓋乾坤。 目機銖兩。 不涉萬緣。 作麼生承當。 眾無對。自代云。 一鏃破三關。 後來德山圓明密禪師。 遂離其語為三句。 曰函蓋乾坤句。截斷眾流句。 隨波逐浪句 (圓悟曰。本真本空。 一色一味。 非無妙體。不在躊躇。 洞然明白。則函蓋乾坤也。 又云。本非解會。排疊將來。 不消一字。萬機頓息。 則截斷眾流也。 又云。若許他相見。從苗辦地。 因語識人。 即隨波逐浪也)。 |
운문이 시중(示眾)하여 이르되, "상자[函]와 뚜껑[蓋], 하늘[乾]과 땅[坤]이 서로 상응하는 이치를 한 눈에 미세한 곳까지 알아차리되[目機銖兩], (자유자재하여)삼라만상의 간섭을 받지 않으려면[不涉萬緣] 어떻게 올라가지겠느냐?" 하니, 대중들이 아무 대답이 없는지라, 자기가 대신하여 "화살 한 촉으로 세 관문을 깨뜨려라[一鏃破三關]."고 하였는데, 그 뒤 덕산(德山) 원명밀(圓明密)선사에 와서 그 말에서 떨어져 나와 '3구(三句)'가 되었으니, 함개건곤구(函蓋乾坤句), 절단중류구(截斷眾流句), 수파축랑구(隨波逐浪句)라 한다. (원오<圓悟>는 "본진본공<本真本空>이요 일색일미<一色一味>로되, 묘체<妙體>가 없지 않고 모호한 데에 있지도 않아서 통연(洞然)히 명백한 즉 함개건곤(函蓋乾坤)이다" 하였고, 또 "본래 풀어서 알 것이 아니니, 물리치기를 거듭하여 한 글자도 소화시키려 말고, 만 가지 기틀을 몰록 쉬어버리면 곧 '모든 흐름을 끊는 것[截斷眾流]'이다." 하였으며, 또 "마치 그 사람을 만났을 때 묘목을 보면 땅을 알듯이, 말하는 것 보면 사람을 아는 것이 곧 '파도를 따르고 물결을 쫓는 것[隨波逐浪]'이다."라 하였다.) |
〈起信論〉에서는 函蓋乾坤句는 一心門, 截斷眾流句는 真如門, 隨波逐浪句는 生滅門이다 하고 있다.
普安道頌三句 | 보안도(普安道*)가 3구(三句)를 송(頌)함. |
乾坤并萬象。地獄及天堂。 物物皆真現。頭頭總不傷。 |
건곤(乾坤)과 만상(萬象), 지옥과 천당이 하나 하나 다 여실히 드러나되, 아무 것도 다치지 않는다. |
堆山積嶽來。一一盡塵埃。 更擬論玄妙。氷消瓦解摧。 |
산더미[堆山積嶽]가 닥쳐 와도 낱낱은 다 진애(塵埃)일 뿐이라 더 이상 의심하여 논할 현묘(玄妙)가 얼음이 녹듯이 사라진다. |
辨口利詞問。高低總不虧。 還如應病藥。診候在臨時。 |
말 솜씨[口利]와 묻는 품새[詞問], 수준의 높낮이를 분변(分辨)함에 전혀 이지러짐이 없거늘 하물며 병 따라 약을 주고 진찰할 때에 있어서이리오. |
*普安道; 雲門宗僧 鼎州普安道禪師(雲門文偃_德山緣密 法嗣) 青原下八世
翠巖真 | 취암진(翠巖真*) |
函蓋乾坤事皎然。 何須特地起狼烟。 遒人舞鐸東君至。 不令花枝在處妍。 |
함개건곤(函蓋乾坤)의 이치가 명백하거늘 왜 꼭 굳이 낭연(狼烟*)을 일으켜야 하는가? 추인(遒人*)이 무탁(舞鐸*)을 하고, 동군(東君*)이 온들 꽃가지를 곱게 하지 못한다네. |
截斷眾流為更論。 河沙諸佛敢形言。 星移斗轉乾坤黑。 稍有絲毫實不存。 |
절단중류(截斷眾流)를 거듭 논하자면 항하사 제불(諸佛)이나 형언(形言)할 수 있을까 별들이 흐르고 천지가 까매지거든 끝내는 실터럭도 실로 존재하지 않는다네. |
隨波逐浪任高低。 放去收來理事齊。 一等垂慈輕末學。 柰緣潦倒帶塵泥。 |
수파축랑(隨波逐浪)에 고저(高低)를 맡겨 두고 방거수래(放去收來)해야 이사(理事)가 가지런하리니, 일등가는 것이 배움에 소홀함을 측은히 여기는 것이거늘 어찌 요도(潦倒*)를 연(緣)하여 진니(塵泥)를 두르리오. |
*翠巖真; 臨濟宗僧 洪州翠巖可真禪師 南嶽下十一世
(臨濟義玄_興化存獎_南院慧顒_風穴延沼_首山省念_汾陽善昭_石霜楚圓 法嗣)
*皎然; 명백하다. 분명하다. 고결(高潔)하다. 밝다. 환하다.
*狼烟; 봉화(烽火). 전쟁을 알리는 신호.
*遒人; 古代 帝王이 백성의 고충을 해결하도록 보내는 사신.
*舞鐸; 鐸舞. 손에 큰 방울을 들고 춤을 추었다는 고대의 춤. 遒人舞鐸은 기우제.
*東君; 中国 초나라 신화 속의 신. 봄을 관리하는 신. 太陽.
*潦倒; (동) 초라하게 되다. 영락(零落)하다. 가난하게 되다.
(투쟁·생활 등의) 의욕을 잃다. 타락하다. 자포자기하다. (형) 야물지 못하다. 칠칠맞다.
問答 | 3구 문답(問答) |
歸宗通(嗣溈山祐) 三祖會(嗣天衣懷) 雲居慶(嗣雲蓋顒) 首山念(嗣風穴沼) 天柱靜 |
귀종통(歸宗通*) : 위산우(溈山祐)를 승사(承嗣) 삼조회(三祖會*) : 천의회(天衣懷)를 승사 운거경(雲居慶*) : 운개옹(雲蓋顒)을 승사 수산념(首山念*) : 풍혈소(風穴沼)를 승사 천주정(天柱靜*) |
*歸宗通; '嗣溈山祐'라 한 것은 시대적으로 맞지 않는지라 이해가 가지 않는다.
따라서 雲門宗僧 青原下11世 廬山歸宗慧通禪師(大溈懷宥 法嗣)라 여겨지며,
그가 위앙종(溈仰宗)에 몸을 담았거나 '大溈宥'의 오류인 것 같다.
*三祖會; 舒州山谷三祖冲會圓智禪師, 青原下十一世
(雲門文偃_香林澄遠_智門光祚_雪竇重顯_天衣義懷 法嗣)
*雲居慶; 南康軍雲居文慶海印禪師(雲門文偃_雙泉師寬_五祖師戒_雲葢顒 法嗣) 青原下十世
*首山念; 汝州首山省念禪師(臨濟義玄_興化存獎_南院慧顒_風穴延沼 法嗣) 南嶽下八世
*天柱靜; 舒州天柱山和尚(雲門文偃 法嗣) 青原下七世
如何是函蓋乾坤句。 宗云。日出東方夜落西。 祖云。海晏河清。 居云合。 山云。大地黑漫漫。 又云。普天匝地。 又云。海底紅塵起。 柱云。只聞風擊響。知是幾千竿。 |
"어떤 것이 함개건곤구(函蓋乾坤句)인가?" 귀종(歸宗) : "해는 동(東)에서 뜨고 밤이면 서(西)로 진다." 삼조(三祖) : "바다는 고요하고 강물은 맑다(태평세월)." 운거(雲居) : "합(合)" 수산(首山) : "대지(大地)가 온통 까맣다." 또, "천지에 가득하다[普天匝地]." 또 "바다 밑에서 홍진(紅塵)이 인다." 천주(天柱) : "바람소리만 들어도 몇 천의 댓가지인지 안다." |
如何是截斷眾流句。 宗云。銕蛇橫古路。 祖云。水泄不通。 居云窄。 山云。不通凡聖。 又云。洎合放過。 又曰。橫身三界外。 柱云。昨日寒風起。 今朝括地霜。 |
"어떤 것이 절단중류구(截斷眾流句)인가?" 귀종 : "철사(銕蛇*)를 옛 길[古路]에 휘두른다." 삼조 : "물로 씻기가 통하지 않는다(씻을 것이 없다)." 운거 : "착(窄;좁다)" 수산 : "범성(凡聖)으로 통하지 않는다(범성이 없다)." 또, "거의가 손을 놓아버린다." 또, "삼계(三界) 밖으로 몸을 던져 간다." 천주 : "어제 찬바람이 일더니, 오늘 아침에 온 땅이 서리에 덮였다." |
如何是隨波逐浪句。 宗云。船子下楊州。 祖云。波斯吒落水。 居云。濶 山云。要道便道。 又云。有問有答。 又云。此去西天十萬八千。 柱云。春煦陽和花織地。 滿林初囀野鶯聲。 |
"어떤 것이 "수파축랑구(隨波逐浪句)인가?" 귀종 : "배가 양주(楊州)로 내려간다." 삼조 : "파사(波斯*)가 낙수(落水*)를 개탄한다[吒]." 운거 : "활(濶;넓다)" 수산 : "요긴한 길이요, 외길이다." 또, "물음도 있고 답도 있다." 또, "이렇게 가면 서천(西天)이 십만 팔천이다(까마득하다)." 천주 : "봄볕이 따스하면 꽃이 땅을 수놓고, 숲 가득히 꾀꼬리 지저귀는 울음소리가 시작된다." |
*鐵蛇; 鐵鞭(채찍)에의 비유. 銕蛇橫古路는 채찍을 휘둘러 옛 규범을 깨뜨린다.
*洎合; 洎乎. 거의. 대체로. 하마터면.
*橫身; 중간을 쫓아 몸을 끼어 나아가다.
*船子下楊州; 順風加橹棹, 船子下揚州(바람따라 노를 저으면 배가 양주에 이른다).
*波斯; 페르시아인. 남천축 사람, 즉 달마대사.
*落水; 타락(墮落).
'人天眼目'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고(抽顧) (0) | 2022.12.18 |
---|---|
2. 운문종(雲門宗) (0) | 2022.12.14 |
고덕(古德)의 강종송(綱宗頌) (0) | 2022.12.14 |
산당덕순(山堂德淳)의 임제종(臨濟宗) 요결(要訣) (1) | 2022.11.27 |
임제문정(臨濟門庭)_임제문(臨濟門) 의 뜰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