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法蓮華經 觀世音菩薩普門品 第二十五(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제25) | |
爾時,無盡意菩薩即從座起, 偏袒右肩,合掌向佛, 而作是言:「世尊!觀世音菩薩, 以何因緣名觀世音?」 |
그 때에 무진의(無盡意)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깃을 내리고 불(佛)을 향해 합장하여 이렇게 말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하나이까?」 |
佛告無盡意菩薩:「善男子! 若有無量百千萬億眾生受諸苦惱, 聞是觀世音菩薩,一心稱名, 觀世音菩薩即時觀其音聲, 皆得解脫。 若有持是觀世音菩薩名者, 設入大火,火不能燒, 由是菩薩威神力故。 若為大水所漂, 稱其名號,即得淺處。 若有百千萬億眾生, 為求金、銀、琉璃、車璩、馬瑙、 珊瑚、虎珀、真珠等寶, 入於大海, 假使黑風吹其船舫, 飄墮羅剎鬼國, 其中若有,乃至一人, 稱觀世音菩薩名者, 是諸人等皆得解脫羅剎之難。 以是因緣,名觀世音。 |
불(佛)이 무진의보살에게 말했다. 「선남자야! 무량 백천만 억 중생이 온갖 고뇌를 받음이 있어서 만일 이 관세음보살을 듣고 일심으로 명호를 부른다면 관세음보살이 즉시 그 음성을 관(觀)하여 모두 벗어나게 되느니라. 누구든지 관세음보살의 명호을 지니면 설사 큰 불 속에 들어가도 불이 태울 수 없을 것이니, 이 보살의 위신력에 연유한 때문이며, 만약 큰 물에 떠내려가게 되었더라도 그 이름을 부르면 곧 얕은 곳에 이르게 되고, 만약 백천만 억 중생이 금, 은, 유리, 차거, 마노와 산호, 호박, 진주 등의 보배를 구하고자 큰 바다에 들어갔다가 가사 검은 폭풍이 그 배를 불어 나찰귀신의 땅으로 떠밀려 가게 되었더라도 그 중에 어느 한 사람만이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른다면 이 모든 사람들이 나찰귀의 재난을 벗어나게 되나니, 이러한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하느니라. |
若復有人臨當被害, 稱觀世音菩薩名者, 彼所執刀杖尋段段壞, 而得解脫。 若三千大千國土,滿中 夜叉、羅剎,欲來惱人, 聞其稱觀世音菩薩名者, 是諸惡鬼, 尚不能以惡眼視之, 況復加害。 設復有人,若有罪、若無罪, 杻械、枷鎖檢繫其身, 稱觀世音菩薩名者, 皆悉斷壞,即得解脫。 |
또 어떤 사람이 해침을 당하게 되었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그들이 지닌 칼과 몽둥이가 조각조각 부서져서 벗어나게 될 것이며,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야차와 나찰들이 와서 괴롭히려 하다가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그 모든 악귀들이 흉악한 눈으로 쳐다보지도 못하려니와 하물며 더구나 가해(加害)함이겠느냐? 설사 또 어떤 사람이 죄가 있거나 없거나 간에 수갑이나 족쇄, 칼, 쇠사슬에 몸이 묶이더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모두 부서지고 끊어져서 벗어나게 되느니라. |
若三千大千國土,滿中怨賊, 有一商主,將諸商人, 齎持重寶、經過嶮路, 其中一人作是唱言: 『諸善男子!勿得恐怖, 汝等應當一心稱觀世音菩薩名號。 是菩薩能以無畏施於眾生, 汝等若稱名者, 於此怨賊當得解脫。』 眾商人聞,俱發聲言: 『南無觀世音菩薩。』 稱其名故,即得解脫。 |
만약 삼천대천세계에 도적이 가득한데 한 상단(商團)의 주인이 상인들을 이끌어 귀중한 보물을 가지고 험한 길을 지나갈 때 그 중 한 사람이 말하기를, 『선남자들아! 두려워 말라. 그대들이 응당 일심으로 관세음보살 명호를 부르면 그 보살이 중생들에게 무외(無畏)를 베풀어주시리니, 그대들이 그 명호를 부른다면 도적들로부터 벗어날 것이다』고 하거든, 여러 상인들이 듣고 다같이 소리 내서 『나무 관세음보살』 하면 그 이름을 부른 연고로 곧 벗어나게 되느니라. |
「無盡意!觀世音菩薩摩訶薩, 威神之力巍巍如是。 若有眾生多於婬欲, 常念恭敬觀世音菩薩, 便得離欲。 若多瞋恚, 常念恭敬觀世音菩薩, 便得離瞋。 若多愚癡, 常念恭敬觀世音菩薩, 便得離癡。 「無盡意!觀世音菩薩、 有如是等大威神力, 多所饒益, 是故眾生常應心念。 |
「무진의야! 관세음보살마하살의 위신력은 외외(巍巍)하기가 이와 같으니라. 만약 어떤 중생이 많은 음욕을 지녔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며 공경하면 문득 음욕을 여의게 될 것이며, 만약 성내는 마음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곧 성내는 마음을 여의게 되며, 만약 어리석은 마음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쉽게 어리석음을 여의게 되느니라. 「무진의야! 관세음보살은 이렇듯 큰 위신력이 있어서 두루 이익하는 바가 많기에 그러므로 중생들은 늘 마음에 간직해야 하느니라. |
若有女人,設欲求男, 禮拜供養觀世音菩薩, 便生福德智慧之男, 設欲求女,便生端正有相之女, 宿殖德本,眾人愛敬。 「無盡意!觀世音菩薩有如是力, 若有眾生,恭敬禮拜觀世音菩薩, 福不唐捐, 是故眾生皆應受持觀世音菩薩名號。 |
만약 어떤 여인이 아들을 낳고자 하여 관세음보살에게 예배하고 공양하면 문득 복덕과 지혜로운 아들을 낳을 것이요, 딸을 낳으려면 곧 단정하고 예쁜 딸을 낳아 숙세에 심은 덕본으로 사람들이 애경(愛敬)하려니와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와 같은 힘이 있어서 어느 중생이 관세음보살을 공경하고 예배한다면 그 복이 헛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중생은 모두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受持)해야 하느니라. |
「無盡意!若有人 受持六十二億恒河沙菩薩名字, 復盡形供養飲食、衣服、臥具、醫藥。 於汝意云何? 是善男子、善女人,功德多不?」 |
「무진의여, 만약 어떤 사람이 62억 항하사와 같은 보살의 이름을 수지하고, 또 몸이 다하도록 음식, 의복, 침구, 의약으로 공양한다면 네 뜻에 어떠한가? 이 선남자, 선여인의 공덕이 많지 않겠는가?」 |
無盡意言:「甚多,世尊!」 |
무진의보살이 말했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
佛言: 「若復有人受持觀世音菩薩名號, 乃至一時禮拜、供養, 是二人福,正等無異, 於百千萬億劫不可窮盡。 無盡意!受持觀世音菩薩名號, 得如是無量無邊福德之利。」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또 어떤 사람이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고 한 때만이라도 예배 공양한다면, 이 두 사람의 복이 똑 같고 다름이 없어서 백천만억 겁 동안에도 다하지 않나니.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면 이렇듯 무량무변한 복덕의 이익을 얻느니라.」 |
無盡意菩薩白佛言: 「世尊!觀世音菩薩, 云何遊此娑婆世界? 云何而為眾生說法? 方便之力,其事云何?」 |
무진의보살이 부처님께 말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어떻게 이 사바세계를 다니고 중생들을 위해 어떻게 법을 설하며, 방편의 힘은 그 사실이 어떠합니까?」 |
佛告無盡意菩薩: 「善男子!若有國土眾生, 應以佛身得度者, 觀世音菩薩即現佛身而為說法; 應以辟支佛身得度者, 即現辟支佛身而為說法; 應以聲聞身得度者, 即現聲聞身而為說法; 應以梵王身得度者, 即現梵王身而為說法; 應以帝釋身得度者, 即現帝釋身而為說法; 應以自在天身得度者, 即現自在天身而為說法; 應以大自在天身得度者, 即現大自在天身而為說法; 應以天大將軍身得度者, 即現天大將軍身而為說法; |
부처님이 무진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만약 어느 국토의 중생이 부처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관세음보살은 곧 부처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벽지불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곧 벽지불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성문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성문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범왕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범왕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제석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제석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자재천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자재천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대자재천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대자재천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천대장군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천대장군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
應以毘沙門身得度者, 即現毘沙門身而為說法; 應以小王身得度者, 即現小王身而為說法; 應以長者身得度者, 即現長者身而為說法; 應以居士身得度者, 即現居士身而為說法; 應以宰官身得度者, 即現宰官身而為說法; 應以婆羅門身得度者, 即現婆羅門身而為說法; 應以比丘、比丘尼、優婆塞、 優婆夷身得度者, 即現比丘、比丘尼、優婆塞、 優婆夷身而為說法; |
비사문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비사문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소왕(小王)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소왕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장자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장자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거사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거사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재상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재상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바라문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바라문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
應以長者、居士、宰官、 婆羅門婦女身得度者, 即現婦女身而為說法; 應以童男、童女身得度者, 即現童男、童女身而為說法; 應以天、龍、夜叉、乾闥婆、 阿修羅、迦樓羅、緊那羅、摩睺羅伽、 人非人等身得度者, 即皆現之而為說法; 以執金剛身得度者, 即現執金剛身而為說法。 |
장자, 거사, 재관( 宰官 ), 바라문 여인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여인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동남, 동녀의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동남, 동녀의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고, 천신,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인간, 비인간 몸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곧 모두 그 몸을 나타내 법을 설하며, 집금강신으로 응해 제도해야겠다면 집금강신을 나타내 법을 설하나니, |
「無盡意! 是觀世音菩薩成就如是功德, 以種種形,遊諸國土,度脫眾生。 是故汝等,應當一心供養觀世音菩薩。 是觀世音菩薩摩訶薩, 於怖畏急難之中能施無畏, 是故此娑婆世界, 皆號之為施無畏者。」 |
「무진의여! 이 관세음보살은 이러한 공덕을 성취하고 온갖 형상으로 불국토를 다니며 중생을 제도하나니 그러므로 그대들은 응당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에게 공양해야 하느니라. 이 관세음보살마하살이 무섭고 두렵고 위급한 환난 속에서 능히 두려움이 없게 하기 때문에 그러므로 이 사바세계에서 모두가 그를 '무외를 베풀어 주시는 분 [施無畏者]'이라 하느니라.」 |
無盡意菩薩白佛言:「世尊! 我今當供養觀世音菩薩。」 即解頸眾寶珠、瓔珞,價直百千兩金, 而以與之,作是言: 「仁者!受此法施珍寶瓔珞。」 時觀世音菩薩不肯受之。 無盡意復白觀世音菩薩言: 「仁者!愍我等故,受此瓔珞。」 |
무진의보살이 부처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관세음보살께 공양하겠나이다.」 하고 곧 목에서 백천 량 금 가치의 보주와 영락들을 풀어 드리면서 이렇게 말했다. 「인자여! 이 법시인 진귀한 보배와 영락을 받으소서.」 이 때에 관세음보살이 받지 않으려 하자 무진의가 다시 관세음보살에게 말했다. 「인자여! 저희를 어여삐 여기시어 이 영락을 받으소서.」 |
爾時佛告觀世音菩薩: 「當愍此無盡意菩薩及四眾, 天、龍、夜叉、乾闥婆、阿修羅、 迦樓羅、緊那羅、摩睺羅伽、 人非人等故,受是瓔珞。」 即時觀世音菩薩愍諸四眾, 及於天、龍、人非人等, 受其瓔珞,分作二分, 一分奉釋迦牟尼佛, 一分奉多寶佛塔。 「無盡意,觀世音菩薩 有如是自在神力, 遊於娑婆世界。」 |
이때 부처님께서 관세음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이 무진의보살과 사부대중, 천신,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와 인간, 비인간을 어여삐 여기리니 이 영락을 받으라.」 즉시 관세음보살이 사부대중과 천신, 용, 인간, 비인간 등을 어여삐 여겨 그 영락을 받아 두 몫으로 나누어 한 몫은 석가모니 부처님께 바치고 또 한 몫은 다보불탑에 올렸다.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렇듯 자유자재한 신통력을 지니고 사바세계를 다니느니라.」 |
爾時無盡意菩薩以偈問曰: | 이때 무진의보살이 게송으로 여쭈었다. |
「世尊妙相具, 我今重問彼, 佛子何因緣, 名為觀世音? |
「세존께서는 묘상(妙相; 32相)이 구족하시니, 제가 이제 그 일을 다시 여쭙나이다. 저 불자는 어떤 인연으로 관세음보살이라 하나이까? |
具足妙相尊, 偈答無盡意: 『汝聽觀音行, 善應諸方所, 弘誓深如海, 歷劫不思議, 侍多千億佛, 發大清淨願。 |
묘상을 구족하신 세존께서 게송으로 무진의에게 답하시되 『너는 관세음의 행을 들어라. 어디에든 적절히 응하고 크나 큰 서원은 바다처럼 깊으며 불가사의한 많은 겁 동안 천억의 부처님 모시며 크고 청정한 서원을 세웠다네. |
我為汝略說, 聞名及見身, 心念不空過, 能滅諸有苦。 |
내 너에게 간략히 말하거니와, 그의 명호를 듣거나 몸을 보고 마음에 간직하여 소홀하지 않으면 모든 괴로움을 멸할 수 있느니라. |
假使興害意, 推落大火坑, 念彼觀音力, 火坑變成池。 |
가사 해치려는 뜻을 품고 큰 불구덩이에 떨어뜨려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불구덩이를 연못으로 바꿀 것이요 |
或漂流巨海, 龍魚諸鬼難, 念彼觀音力, 波浪不能沒。 |
혹 큰 바다에 떠내려가 용, 물고기나 귀신의 재난을 만나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파도풍랑도 빠뜨리지 못하며, |
或在須彌峰, 為人所推墮, 念彼觀音力, 如日虛空住。 |
혹 수미산 봉우리에서 누가 밀어서 떨어뜨려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해처럼 허공에 머물게 할 것이니라. |
或被惡人逐, 墮落金剛山, 念彼觀音力, 不能損一毛。 |
혹 흉악한 사람에게 쫓겨 금강산에서 떨어져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털끝 하나도 상하지 않게 하며, |
或值怨賊繞, 各執刀加害, 念彼觀音力, 咸即起慈心。 |
혹 원수도적에게 둘러싸여 저마다 칼로 해치려 해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모두 곧 자비심을 내게 하고, |
或遭王難苦, 臨刑欲壽終, 念彼觀音力, 刀尋段段壞。 |
혹 어쩌다가 국법의 고난을 당해 형을 받아 죽게 되어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칼날이 조각조각 부서지게 하며, |
或囚禁枷鎖, 手足被杻械, 念彼觀音力, 釋然得解脫。 |
혹 옥중에 갇혀 큰 칼을 쓰고 손발에 쇠고랑이 채워져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석연(釋然;개운하다)히 벗어나게 하고, |
咒詛諸毒藥, 所欲害身者, 念彼觀音力, 還著於本人。 |
혹 저주와 온갖 독약으로 몸을 해치려 하는 자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도리어 본인에게 되돌려버리느니라. |
或遇惡羅剎、 毒龍諸鬼等, 念彼觀音力, 時悉不敢害。 |
혹 흉악한 나찰이나 독한 용이나 귀신들을 만나더라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그 때마다 감히 해치지 못하게 하고 |
若惡獸圍遶, 利牙爪可怖, 念彼觀音力, 疾走無邊方。 |
만약 나쁜 짐승들에 둘러싸여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이 두려워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멀리 달아나게 할 것이며, |
蚖蛇及蝮蠍, 氣毒煙火燃, 念彼觀音力, 尋聲自迴去。 |
살모사, 독사, 전갈들이 독기를 불꽃처럼 내뿜더라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소리만 들어도 스스로 되돌아 가게 하고, |
雲雷鼓掣電, 降雹澍大雨, 念彼觀音力, 應時得消散。 |
혹 먹구름과 천둥번개가 치면서 우박과 소나기가 퍼붓더라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잠깐 사이에 흩어져서 걷히게 하며, |
眾生被困厄, 無量苦逼身, 觀音妙智力, 能救世間苦。 |
중생들이 곤액(困厄;困窮)을 당해 한량없는 고통에 시달리더라도 저 관세음보살을 념(念)하는 힘은 능히 세간의 고통에서 구원하느니라. |
具足神通力, 廣修智方便, 十方諸國土, 無剎不現身。 |
신통력을 구족하고 지혜의 방편을 널리 닦아서 시방의 모든 국토에 몸을 나투지 않는 곳이 없고 |
種種諸惡趣, 地獄鬼畜生, 生老病死苦, 以漸悉令滅。 |
여러 가지 나쁜 갈래와 지옥, 아귀, 축생에 생노병사의 고통을 차츰 다 사라지게 하며, |
真觀清淨觀, 廣大智慧觀, 悲觀及慈觀, 常願常瞻仰。 |
참되게 보고[觀], 청정히 보고, 광대한 지혜로 보며, 가엾게 보고, 자애롭게 보면서 늘 발원하고 항상 우러르거니와, |
無垢清淨光, 慧日破諸闇, 能伏災風火, 普明照世間。 |
때 없이 청정히 빛나는 지혜의 태양이 어둠을 깨뜨리고 재앙의 풍화(風火)를 능히 굴복시켜 널리 세간을 밝게 비추리라. |
悲體戒雷震, 慈意妙大雲, 澍甘露法雨, 滅除煩惱焰。 |
비(悲)의 몸체는 계율의 우뢰 삼고 자(慈)의 뜻은 오묘한 큰 구름 삼아 감로의 법비를 내려 번뇌의 뜨거운 불꽃을 소멸시키며 |
諍訟經官處, 怖畏軍陣中, 念彼觀音力, 眾怨悉退散。 |
송사로 다투는 관청에서나 무섭고 두려운 전쟁터에서도 관세음보살을 념하는 힘은 원수들을 물리쳐 흩어버리리라. |
妙音觀世音, 梵音海潮音, 勝彼世間音, 是故須常念, 念念勿生疑。 |
오묘한 음성 관세음보살의 범음(梵音)과 해조음(海潮音)은 세간의 음성과는 견줄 수 없나니 그러므로 항상 마음에 새겨 한 순간도 의심하지 말며 |
觀世音淨聖, 於苦惱死厄, 能為作依怙, 具一切功德, 慈眼視眾生, 福聚海無量, 是故應頂禮。』」 |
관세음보살 청정한 성인은 고뇌와 죽음의 액난에서 능히 믿고 의지할 데가 되고 일체의 공덕을 다 갖추어 자비의 눈으로 중생을 보살피며 복덕이 바다처럼 한량없으니 마땅히 머리 숙여 예배할지니라.。』」 |
爾時持地菩薩即從座起, 前白佛言:「世尊! 若有眾生, 聞是觀世音菩薩品自在之業, 普門示現神通力者, 當知是人功德不少。」 佛說是普門品時, 眾中八萬四千眾生, 皆發無等等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
그때 지지(持地)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서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중생이 이 관세음보살품의 자재한 업적과 널리 나타내 보이는 신통력을 들었다면 이 사람의 공덕이 적지 않음을 마땅히 알겠나이다.」 부처님께서 이 보문품을 설하실 때에 무리 속 팔만사천의 중생들이 모두 견줄 수 없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었다. |
*三十三應身; 1)佛身 2)辟支佛身 3)聲聞身 4)梵王身 5)帝釋身 6)自在天身 7)大自在天身
8) 天大將軍身 9)毘沙門身 10)小王身 11)長者身 12)居士身 13)宰官身 14)婆羅門身
15)比丘身 16)比丘尼身 17)優婆塞身 18)優婆夷身 19)長者婦女身 20)居士婦女身
21)宰官婦女身 22)婆羅門婦女身 23)童男身 24)童女身 25)天身 26)龍身 27)夜叉身
28)乾闥婆身 29)阿修羅身 30)迦樓羅身 31)緊那羅身 32)摩睺羅伽身 33)執金剛神身
'妙法蓮華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묘법연화경 방편품(方便品) ② (1) | 2024.02.07 |
---|---|
2.묘법연화경 방편품(方便品) ① (2) | 2024.02.07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제 1권 _ 1. 서품(序品) (0) | 2021.08.03 |
普賢菩薩勸發品 第二十八 (0) | 2014.02.06 |
妙莊嚴王本事品 第二十七 (0) | 201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