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 序 |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머리말 |
延康殿學士 金紫光祿大夫 眞定府路安撫使 兼 | 연강전학사 금자광록대부 진정부로안무사 겸 |
馬步軍都總管 兼 知成德軍府事 馬防 撰 | 마보군도총관 겸 지성덕군부사 마방 지음 |
黃檗山頭에 曾遭痛棒하고 | 황벽산에서 |
황벽산두 증조통방 | 뼈아픈 몽둥이를 맞고 |
大愚肋下에 方解築拳이로다. | 대우의 갈비뼈 아래에 |
대우늑하 방해축권 | 바야흐로 주먹질할 줄을 알았도다, |
饒舌老婆는 尿牀鬼子라한대 | 말 잘하는 노파(대우스님)는 |
요설노파 요상귀자 | “오줌싸개 어린 놈”이라 하고, |
這風顚漢이 再埒虎鬚로다 | (황벽스님은)“이 미친놈이 |
자풍전한 재날호수 | 또 호랑이 수염을 뽑는구나!”라 하도다. |
巖谷栽松은 後人標榜이요 | 험한 골짜기에 소나무를 심은 것은 |
암곡재송 후인표방 | 후인들에게 본보기 삼으려 함이요, |
钁頭斸地하니 幾被活埋로다 | 또 괭이로 땅을 팠으니 |
곽두촉지 기피활매 | 거의 산 채로 생매장 당할 뻔했도다. |
肯箇後生하야 驀口自摑하고 | 후배를 인가하다가 |
긍개후생 멱구자괵 | 돌연 자기 입을 쥐어박고 |
辭焚机案하야 坐斷舌頭로다 | 하직하며 궤안을 불사르고 |
사분괘안 좌단설두 | 앉은 채 (노화상의 ) 혀끝을 끊도다. |
不是河南이면 便歸河北이로다 | 하남이 아니면 문득 하북으로 |
불시하남 변귀하북 | 돌아간다 하도다. |
院臨古渡에 運濟往來로다 | 임제원 옛 나루터에서 |
원임고도 운제왕래 | 오가는 사람들을 건네 주도다. |
把定要津하니 壁立萬仞이로다 | 요긴한 나루를 차고 앉으니 |
파정요진 벽립만인 | 벼랑은 만 길로 치솟았도다. |
奪人奪境하야 陶鑄仙陀하고 | 사람과 경계를 함께 빼앗아 |
탈인탈경 도주선타 | 선타바[선지식]를 빚어내고 |
三要三玄으로 鈐鎚衲子로다 | 삼현과 삼요로 |
삼요삼현 검추납자 | 납자들을 단련시키도다. |
常在家舍하야 不離途中하니 | 항상 집안에 있으면서 |
상재가사 불리도중 | 길가를 떠나지 않으니 |
無位眞人이여 面門出入이로다 | 무위진인(無位眞人)이여! |
무위진인 면문출입 | 바로 얼굴로 들고 나도다. |
兩堂齊喝 賓主歷然이요 | 양당 수좌가 동시에 ‘할’을 하니 |
양당재할 빈주역연 | 주객이 분명하고 |
照用同時하니 本珷前後요 | 동시에 비추고 작용하니 |
조용동시 본무전후 | 본시 앞뒤가 없도다. |
菱花對像하고 虛谷傳聲이로다 | 거울은 만상을 비추고 |
능화대상 허곡전성 | 빈 골짜기에는 메아리를 전하네. |
妙應珷方하야 不留朕蹟이로다 | 신묘하게 대응하는 솜씨는 종잡을 수가 없어서 |
묘응무방 불유짐적 | 그 자취를 남기지 않도다. |
拂衣南邁하야 戾止大名하니 | 옷깃을 가다듬고 남쪽으로 내려가 |
불의남매 여지대명 | 대명부에 머무르니, |
興化師承이라 東堂迎侍로다 | 흥화스님이 스님의 법을 이어 받은지라 |
흥화사승 동당영시 | 스님을 동당에 모시니라. |
銅甁鐵鉢이요 掩室杜詞하니 | 구리로 된 물병과 쇠로 만든 발우뿐이요. |
동병철발 엄실두사 | 방문을 닫아 걸고 말을 끊으시니 |
松老雲閑하야 曠然自適이로다 | 소나무는 늙고 구름은 한가하여 |
송노운한 광연자적 | 탁 트이듯 유유자적하도다 |
面壁未幾에 密付將終이여 | 면벽하고 앉으신 지 오래지 않아 |
면벽미기 밀부장종 | 은밀히 뒷일을 부촉하심이여! |
正法誰傳고 瞎驢邊滅이로다 | “정법을 누가 전할 것인가. |
정법수전 할려변멸 | 눈 먼 당나귀에게서 없어지리라.” |
圓覺老演이 今爲流通이라 | 원각 종연 노스님이 |
원각노연 금위유통 | 이제 이 임제록을 유통하게 된 터라 |
點檢將來하니 故無差舛이로다 | 가져오게 하여 점검하니 |
점검장래 고무차전 | 어긋나 틀린 곳이 없는 까닭에 |
唯餘一喝하야 常要商量하노라 | 오직 일할(一喝)만은 남겨두고 |
유여일할 상요상양 | 항상 헤아려 보기를 바라노라. |
具眼禪流는 冀無賺擧어다 | 안목있는 선사들은 |
구안선류 기무잠거 | 바라건대 잘못 거량하지 말라. |
宣和庚子中秋日에 謹序하노라 | 선화경자 중추일에 서문을 쓰노라. |
선화경자중추일 근서 | |
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 |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 | |
住三聖嗣法小師慧然集 | 삼성사에 사는 법을 이은 |
주삼성사법소사혜연집 | 소사(小師) 혜연(慧然)이 수집함 |
황벽 스님은 후생(後生) 임제 스님을 인가하다가 갑자기 입을 스스로 쥐어박았다. | |
임제 스님은 황벽스님과 하직하고 떠날 때 법을 전한 것을 증명하는 경상[机案]을 주어도 | |
받지 않고 오히려 불사르라 하였다. | |
그러나 황벽 스님은 가져가서 천하 사람들의 논란을 차단하게 하라고 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