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曲順人情 方登此座 | 인정따라 이 자리에 오르다 |
府主王常侍가 與諸官으로 請師陞座하니 | 하북부주 왕상시가 여러 관원들과 함께 |
부주왕상시 여제관 청사승좌 | 스님께 법좌에 올라 법문해 주시기를 청하니 |
師 上堂云하사대 山僧今日에 事不獲已하야 | 스님께서 상당하시어 말씀하셨다. |
사 상당운 산승금일 사불획이 | "내가 오늘 형편이 부득하여 |
曲順人情하야 方登此座하나 | 인정을 따르다 보니 |
곡순인정 방등차좌 | 바야흐로 이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
若約祖宗門下하야 稱揚大事인댄 | 그러나 조사문중에서 |
약약조종문하 칭양대사 | 일대사를 펴는 일이란 |
直是開口不得이라 無儞措足處니라 | 입만 뻥끗해도 틀리니, |
직시개구부득 무이조족처 | 발 디딜 곳이라고는 아무데도 없다. |
山僧此日에 以常侍堅請이니 那隱綱宗이리오 | 그러나 오늘 왕상시가 간절히 청하니 |
산승차일 이상시견청 나은강종 | 내 어찌 근본 도리를 숨겨두겠는가. |
還有作家戰將하야 直下에 展陣開旗麽아 | 자, 여기에 당장 진을 치고 깃발을 내걸며 |
환유작가전장 직하 전진개기마 | 싸워볼 만한 장수가 있는가? |
對衆證據看하라 | 있다면 대중 앞에 증거를 보여라." |
대중증거간 | |
1-2 佛法大意 | 불법의 대의 |
僧問 如何是佛法大意오 | 한 스님이 물었다. |
승문 여하시불법대의 | "무엇이 불법의 큰 뜻입니까?" |
師便 喝한대 僧 禮拜어늘 | 스님께서 대뜸 할! 하시자 |
사변 할 승 예배 | 그 스님이 절을 하니 |
師云 這箇師僧이 却堪持論이로다 |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
사운 자개사승 각감지론 | "저 스님과는 그래도 법담을 나눌만 하구나." |
1-3 三度發問 三度被打 | 세 번 물었다가 세 번 맞았다 |
問 師唱誰家曲이며 宗風嗣阿誰오 | 한 스님이 물었다. "스님께서는 누구의 노래와 |
문 사창수가곡 종풍사옥수 | 곡조를 부르시며, 어느 종풍을 이어받았습니까?" |
師云 我在黃檗處하야 | "나는 황벽스님 회하에서 |
사운 아재황벽처 | |
三度發問하야 三度被打니라 | 세 번 물었다가 세 번을 얻어 맞았다." |
삼도발문 삼도피타 | |
僧擬議한대 師便 喝하고 隨後打云 | 그 스님이 무어라고 하려는데 |
승의의 사변 할 수후타운 | 스님께서 할! 하고 후려친 후 말씀하셨다. |
不可向虛空裏하야 釘去也니라 | "허공에다 말뚝을 박아서는 안된다." |
불가향허공이 정궐거야 | |
1-4 荒草不曾鋤 | 잡초가 무성하다 |
有座主問 三乘十二分敎가 豈不是明佛性가 | 어떤 강주가 물었다. "삼승십이분교가 |
유좌주문 삼승십이분교 기불시명불성 | 어찌 불성을 밝힌 것이 아니겠습니까?" |
師云 荒草不曾鋤로다 | "우거진 수풀에 호미질한 적이 없다" |
사운 황초부증서 | |
主云 佛豈賺人也리오? | "부처님께서 어찌 사람을 속이셨겠습니까?" |
주운 불기잠인야 | |
師云 佛在什麽處오? | "부처가 어디에 있느냐?" |
사운 불재심마처 | |
主無語어늘 師云 對常侍前하야 | 강주가 말이 없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
주무어 사운 대상시전 | "상시 앞에서 |
擬瞞老僧이로다 | 이 노승을 속이려 하는구나. |
의만노승 | |
速退速退하라 妨他別人請問이니라 | 어서 물러가거라. |
속퇴속퇴 방타별인청문 | 다른 사람 묻는 것까지 방해하겠다." |
1-5 儞纔開口 早勿交涉也 | 입만 뻥끗해도 일대사와는 거리가 멀다 |
復云 此日法筵은 爲一大事故호니 | 다시 말씀하셨다. "오늘 이 법회는 |
부운 차일법연 위일대사고 | 일대사인연을 위한 것이니, |
更有問話者麽아 速致問來하라 | 더 물을 자가 있느냐? |
갱유문화자마 속치문래 | 빨리 나와 묻도록 하라. |
儞纔開口하면 早勿交涉也니라 | 그런데 입만 뻥끗해도 |
이재개구 조물교섭야 | 벌써 어긋나버리는 것이다. |
何以如此오 不見가 釋尊云 | 어째서 그런가? 보지 못하였는가? |
하이여차 불견 석존운 |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
法離文字며 不屬因不在緣故라하니라 | 법은 문자도 여의고, 인에도 속하지 않고 |
법리문자 불속인부재연고 | 인연에도 있지 않다'하시지 않았던가? |
爲儞信不及일새 所以今日葛藤이라 | 그대들은 믿음이 모자라 |
위이신불급 소이금일갈등 | 오늘 이러니저러니 하지만, |
恐滯常侍與諸官員하야 昧他佛性이니 | 상시와 관원들의 불성을 막아서 |
공체상시여제관원 매타불성 | 어둡게 할까 걱정이구나. |
不如且退니라 喝 一喝云 | 그만 물러가는 것이 좋으리라." |
불여차퇴 할 일할운 | 스님께서는 할! 하고 나서 말씀하셨다. |
少信根人은 終無了日이로다 | "믿음의 뿌리가 약한 자는 |
소신근인 종무료일 | 끝내 깨칠 기약이 없다. |
久立珍重하라 | 오래 서 있었으니 편히들 쉬어라." |
구립진중 | |
[ 一大事 因緣 ] = 開ㆍ示ㆍ悟ㆍ入ㆍ佛知見 ~ 부처님이 지혜를 열어주고 보여주고 | |
그것을 깨닫게 해주고 그 속에 들어가게 해주는 그 의무 때문에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셨다. | |
2 正眼 | 2. 바른 눈 |
師 因一日에 到河府한대 | 스님께서 하루는 하북부에 가니 |
사 인일일 도하부 | |
府主王常侍가 請師陞座하니라 | 부주 왕상시가 스님께 |
부주왕상시 청사승좌 | 법좌에 올라 법문해 주시기를 청하였다. |
時麻谷出問 大悲千手眼에 | 그때 마곡스님이 나서서 물었다. |
시마곡출문 대비천수안 | "대비관세음보살의 천수 천안 가운데 |
那箇是正眼고 | 어느 것이 진짜 눈입니까?" |
나개시정안 | |
師云 大悲千手眼에 |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
사운 대비천수안 | "대비관세음보살의 천수 천안 가운데 |
那箇是正眼고 速道速道하라 | 어느 것이 진짜 눈이냐? |
나개시정안 속도속도 | 빨리 말하라 빨리" |
麻谷拽師下座하고 麻谷却坐하니 | 마곡스님이 스님을 법좌에서 끌어내리고 |
마곡예사하좌 마곡각좌 | 자기가 올라가 앉자 |
師近前云 不審이로다 | 스님께서 앞으로 가까이 가서 |
사근전운 불심 | "안녕하셨습니까?" 하셨다. |
麻谷擬議한대 師亦拽麻谷下座하고 師却坐라 | 마곡스님이 머뭇거리자 스님께서 역시 |
마곡의의 사역예마곡하좌 사각좌 | 그를 법좌에서 끌어내리고 다시 앉으셨다. |
麻谷便出去어늘 師便下座하니라 | 마곡스님이 휙 나가버리자 |
마곡변출거 사변하좌 | 스님께서도 법좌에서 내려오셨다. |
3 無位眞人 | 3. 무위진인(無位眞人) |
上堂云 赤肉團上에 有一無位眞人하야 | 상당하시어 말씀하셨다. |
상당운 적육단상 유일무위진인 | "빨간 살덩이 위에 한 무위진인이 있어서 |
常從汝等諸人面門出入하나니 | 항상 그대들 모두의 얼굴로 드나드니 |
상종여등제인면문출입 | |
未證據者는 看看하라 | 아직 확증을 잡지 못한 사람은 살펴보아라." |
미증거자 간간 | |
時有僧出問 如何是無位眞人고 | 그때 한 스님이 나와 물었다. |
시유승출문 여하시무위진인 | "무엇이 무위진인입니까?" |
師下禪牀把住云 道道하라 | 스님께서 선상 아래로 내려와 |
사하선상파주운 도도 | 멱살을 잡고 말씀하셨다. "말해라, 말해!" |
其僧擬議한대 師托開云 | 그 스님이 머뭇거리자 스님은 그를 |
기승의의 사타개운 | 탁 놓아버리면서 말씀하시기를 |
無位眞人이 是什麽乾屎궐고하시고 | "무위진인이라니 |
무위진인 십마간시궐 | 무슨 마른 똥막대기 같은 소리냐?" 하고는 |
便歸方丈하다 | 방장실로 돌아가버리셨다. |
변귀방장 | |
4-1 喝 喝 喝 | 4-1. 할 할 할 |
上堂에 有僧出禮拜어늘 師便喝한대 | 스님께서 상당하시자 한 스님이 나와 절을 하니 |
상당 유승출례배 사변할 | 스님께서 별안간 할! 하셨다. |
僧云 老和尙은 莫探頭好로다 | 그 스님이 "노스님께서는 |
승운 노화상 막탐두호 | 사람을 떠보지 마십시요."하니 |
師云 儞道하라 落在什麽處오 | 스님께서 "네가 말해 보아라. |
사운 이도 낙재삼마처 | 할이 어디에 떨어졌느냐?"하자 |
僧便喝하니라 | 그 스님이 대뜸 할! 하였다. |
승변할 | |
又有僧問 如何是佛法大意오 | 또 한 스님이 물었다. |
우유승문 여하시불법대의 | "무엇이 불법의 큰 뜻입니까?" |
師便喝한대 僧禮拜어늘 | 스님께서 할! 하셨는데 그 스님이 절을하니 |
사변할 승예배 | |
師云 儞道하라 好喝也無아 | 스님께서 "네가 말해 보아라. |
사운 이도 호할야무 | 좋은 할이 아니겠느냐?" |
僧云 草賊大敗로다 師云 過在什麽處오 | "초야의 도적이 크게 패하였습니다." |
승운 초적대패 사운 과재삼마처 | "내 허물이 어디에 있느냐?" |
僧云 再犯不容이로다 師便喝하니라 | "다시 범하시는 것은 용서치 않습니다." |
승운 재범불용 사변할 | 스님께서 할! 하셨다. |
4-2 賓主歷然 | 4-2. 손님과 주인이 분명히 있다. |
是日에 兩堂首座相見하고 同時下喝하니 | 이 날 양쪽 선당의 수좌가 서로 만났는데 |
시일 양당수좌상견 동시하할 | 동시에 할! 하니 |
僧問師호대 還有賓主也無아 | 한 스님이 스님께 묻되 |
승문사 환유빈주야무 | "도리어 손님과 주인이 있지 않습니까?" |
師云 賓主歷然이로다 | "손님과 주인이 분명히 있지." 하시고는 |
사운 빈주역연 | |
師云 大衆아 要會臨濟賓主句인댄 | "대중들이여! |
사운 대중 요회임제빈주구 | 손님과 주인에 관한 나의 법문을 알고자 한다면 |
問取堂中二首座하라하고 便下座하다 | 선당의 두 수좌에게 묻도록 하라." |
문취당중이수좌 변하좌 | 그리고는 법좌에서 내려오셨다. |
5 佛法大意 | 5. 불법의 대의 |
上堂에 僧問 如何是佛法大意오 | 상당하시자 한 스님이 물었다. |
상당 승문 여하시불법대의 | "무엇이 불법의 큰 뜻입니까?" |
師竪起拂子하니라 | 스님께서 불자를 세워들자 |
사수기불자 | |
僧便喝하니 師便打하다 | 그 스님이 별안간 할! 하므로 |
승변할 사변타 | 스님께서 난데없이 후려치셨다. |
又僧問 如何是佛法大意오 | 또 어떤 스님이 물었다. |
우승문 여하시불법대의 | "무엇이 불법의 큰 뜻입니까?" |
師亦竪起拂子한대 僧便喝이어늘 | 스님께서 역시 불자를 세워드셨는데 |
사역수기불자 승변할 | 그 스님이 할! 하였다. |
師亦喝하니 僧擬議어늘 師便打하니라 | 스님께서도 할! 하시니 그 스님이 머뭇거리거늘 |
사역할 승의의 사변타 | 스님께서 그대로 후려치셨다. |
師乃云 大衆아 夫爲法者는 | 그리고는 말씀하셨다. |
사내운 대중 부위법자 | "대중들이여! 무릇 법을 위하는 자는 |
不避喪身失命이니 | 몸과 목숨 잃는 것을 피하지 말아야 한다. |
불피상신실명 | |
我二十年에 在黃檗先師處하야 | 나는 20년 동안 황벽선사 회하에 있으면서 |
아이십년 재황벽선사처 | |
三度問佛法的的大意라가 三度蒙他賜杖하야 | 세 차례 불법의 분명한 뜻을 물었다가 |
삼도문불법적적대의 삼도몽타사장 | 세 차례 다 몽둥이로 얻어 맞았으나, |
如蒿枝拂著相似하니라 | 마치 쑥대로 살짝 스치는 것 같았다. |
여고지불착상사 | |
如今에 更思得一頓棒喫하니 誰人爲我行得고 | 지금 다시 한 차례 얻어 맞으려 하는데 |
여금 갱사득일돈방끽 수인위아행득 | 누가 나를 위해서 때려주겠느냐?" |
時有僧出衆云 某甲行得이니다 | 그 때 한 스님이 대중 가운데서 나와 |
시유승출중운 모갑행득 | "제가 때려드리겠습니다." 하였다. |
師拈棒與他한대 其僧擬接이어늘 | 스님이 몽둥이를 집어 건네주시려는데 |
사염방여타 기승의접 | 그 스님이 받으려 하니 |
師便打하다 | 스님께서 그대로 후려치셨다. |
사변타 | |
6-1 劍刃上事 | 6-1. 칼날 위의 일 |
上堂에 僧問 如何是劍刃上事오 | 상당하시자 한 스님이 물었다. |
상당 승문 여하시검인상사 | "어떤 것이 칼날 위의 일입니까?" |
師云 禍事禍事로다 | "위험하다. 위험해!" |
사운 화사화사 | |
僧擬議한대 師便打하다 | 그 스님이 의아해 하고 있는데 |
승의의 사변타 | 스님께서 그대로 후려치셨다. |
6-2 沒溺深泉 | 6-2. 깊은 샘에 빠져버렸다 |
問 秖如石室行者가 踏碓忘却移脚은 | 한 스님이 물었다. "저 석실행자가 |
문 지여석실행자 답대망각이각 | 방아를 밟다가 발 옮기는 것을 잊었다 하니 |
向什麽處去오 師云 沒溺深泉이니라 | 어디로 간 것입니까?" |
향십마처거 사운 몰익심천 | "깊은 샘 속에 빠져버렸다." |
6-3 都來是錯 | 6-3. 모두가 잘못된 것이다. |
師乃云 但有來者하면 不虧欠伊하야 | 스님이 이내 말씀하셨다. |
사내운 단유래자 불휴흠이 | "다만 오는 사람이 있기만 하면 어김없이 |
總識伊來處로라 | 그 온 곳을 다 알아버린다. |
총식이래처 | |
若與麽來하면 恰似失却이요 | 만약 그렇게 온다면 |
약여마래 흡사실각 | 피할 틈새를 잃은 것과 같고, |
不與麽來하면 無繩自縛이니 | 그렇게 오지 않는다 해도 |
불여마래 무승자박 | 오랏줄 없이 스스로를 묶는 것이니 |
一切時中에 莫亂斟酌하라 | 항상 함부로 짐작하지 말라. |
일체시중 막란짐작 | |
會與不會에 都來是錯이라 | 알거나 모르거나 모두가 그릇된 것이다. |
회여불회 도래시착 | |
分明與麽道하야 一任天下人貶剝하노라 | 그러한 도리를 확실히 밝혀 |
분명여마도 일임천하인폄박 | 천하 사람들의 비판에 맡기겠다. |
久立珍重하라 | 오래 서 있었다. 편히들 쉬어라." |
구립진중 | |
7 進退兩難處 | 7. 진퇴양난처 |
上堂云 一人은 在孤峯頂上하야 | 상당하시어 말씀하셨다. |
상당운 일인 재고봉정상 | "한 사람은 외로운 산 봉우리에서 |
無出身之路요 | 빠져나올 길이 없고, |
무출신지로 | |
一人은 在十字街頭하야 亦無向背니 | 한 사람은 네거리에서 물러날 곳이 없다. |
일인 재십자가두 역무향배 | |
那箇在前이며 那箇在後오 | 누가 앞에 있고, 누가 뒤에 있느냐? |
나개재전 나개재후 | |
不作維摩詰하며 不作傅大士하노니 | 유마거사를 짓지도 말고, |
부작유마힐 부작부대사 | 부대사를 짓지도 말라. |
珍重하라 | 편히들 쉬어라." |
진중 | |
8 人天供養 | 8. 인천의 공양을 받을 자 |
上堂云 有一人은 論劫在途中호대 | 상당하시어 말씀하시기를, |
상당운 유일인 논겁재도중 | "한 사람은 오랜 세월을 길 가는 중이지만 |
不離家舍하고 | 집을 떠나지 않았고, |
불리가사 | |
有一人은 離家舍호대 不在途中하니 | 한 사람은 집을 떠났으나 |
유일인 이가사 부재도중 | 길 가고 있지 않다면 |
那箇合受人天供養고 便下座하다 | 누가 인간과 천상의 공양을 받을 만한가?" |
나개합수인천공양 편하좌 | 하시고는 법좌에서 바로 내려오셨다. |
9-1 三句 | 9. 삼구 삼현 삼요 |
上堂에 僧問 如何是第一句오 | 상당하시자 한 스님이 물었다. |
상당 승문 여하시제일구 | "무엇이 제1구입니까?" |
師云 三要印開朱點窄[側]하고 | "삼요인을 펼치니 붉은 점이 아련하고 |
사운 삼요인개주점착[측] | |
未容擬議主賓分이로다 | 시비를 논하기 전에 주객이 가려졌다." |
미용의의주빈분 | |
問 如何是第二句오 | "무엇이 제2구입니까?" |
문 여하시제이구 | |
師云 妙解豈容無著問이며 | "묘해가 어찌 무착의 물음을 허용할 것이며, |
사운 묘해기용무착문 | |
漚和爭負截流機리오 | 화목과 분쟁에 빠져 |
구화쟁부절유기 | 흐르는 기틀을 끊는 부담을 지겠는가." |
問 如何是第三句오 | "무엇이 제3구입니까?" |
문 여하시제삼구 | |
師云 看取棚頭弄傀儡하라 | "무대 위에서 노는 꼭두각시를 보아라. |
사운 간취붕두농괴뢰 | |
抽牽都來裏有人이로다 | 당겼다 놓았다 하는 것 모두가 |
추견도래이유인 | 안에 있는 사람에게 달려있다." |
一句 = 如人印空 | |
二句 = 如人印水 | |
三句 = 如人印泥 | |
9-2 三玄三要 | |
師又云 一句語에 須具三玄門이요 | 또 말씀하셨다. "한 구의 말에는 모름지기 |
사우운 일구어 수구삼현문 | 3현의 문이 갖추어 있고, |
一玄門에 須具三要니 有權有用이라 | 한 현의 문에는 3요가 갖추어 있어서 |
일현문 수구삼요 유권유용 | 방편도 있고 작용도 있다. |
汝等諸人은 作麽生會오 下座하다 | 그대들은 어떻게 알아 들었느냐?" |
여등제인 자마생회 하좌 | 그리고는 법좌에서 내려오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