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方廣佛華嚴經 卷第五十三 | 대방광불화엄경 제 53권 |
于闐國三藏實叉難陀奉 制譯 | 우전국 삼장 실차란타 역 |
離世間品 第三十八之一 | 이세간품 제 38-1 |
爾時,世尊 | 그때 세존께서 |
이시 세존 | |
在摩竭提國阿蘭若法菩提場中普光明殿, | 마갈제국(摩竭提國) 아란야법(阿蘭若法) |
재마갈제국아란야법보리장중보광명전 | 보리도량의 보광명전(普光明殿)에서 |
坐蓮華藏師子之座, | 연화장 사자좌에 앉아 계셨는데, |
좌연화장사자지좌 | |
妙悟皆滿,二行永絕, | 미묘한 깨달음을 다 원만히 하시어 |
묘오개만 이행영절 | 두 가지 행을 영원히 끊으시고 |
達無相法; | 모양 없는 법에 통달하시며, |
달무상법 | |
住於佛住,得佛平等, | 부처가 머무는 데 머무시어 |
주어불주 득불평등 | 부처님들과 평등함을 얻으시고 |
到無障處不可轉法; | 법을 굴리지 못하는 장애가 |
도무장처 불가전법 | 없는 곳에 도달하시며, |
所行無礙,立不思議,普見三世; | 행하시는 바에 걸림이 없으시니 |
소행무애 입부사의 보견삼세 | 부사의한 데 서시어 삼세를 두루 보시며, |
身恒充遍一切國土, | 몸은 두루 일체국토에 |
신항충변일체국토 | 항상 가득하시고 |
智恒明達一切諸法; | 지혜는 언제나 일체의 모든 법에 |
지항명달일체제법 | 밝게 통달하시며, |
了一切行,盡一切疑, | 일체의 수행이 마쳐지고 |
요일체행 진일체의 | 일체의 의혹이 다해버린 |
無能測身;一切菩薩等所求智, | 측량할 수 없는 몸과 |
무능측신 일체보살등소구지 | 모든 보살이 구하는 지혜로 |
到佛無二究竟彼岸, | 부처의 둘 없는 |
도불무이구경피안 | 구경의 피안에 이르시며, |
具足如來平等解脫, | 여래의 평등한 해탈을 구비하시고 |
구족여래평등해탈 | |
證無中邊佛平等地, | 중앙도 변두리도 없는 |
증무중변 불평등지 | 부처의 평등한 자리를 증득하시어 |
盡於法界等虛空界。 | 법계를 다해 허공계와 같으셨다. |
진어법계 등허공계 | |
與不可說百千億那由他佛剎微塵數 | 불가설 백천억 나유타 |
여불가설 백천억나유타불찰미진수 | 불찰미진수의 |
菩薩摩訶薩俱, | 보살마하살과 함께 계셨으니 |
보살마하살구 | |
皆一生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
개일생당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 한 생에 얻을 이들이었으며, |
各從他方種種國土而共來集, | 각각 다른 여러 국토에서 |
각종타방 종종국토이공래집 | 다같이 와서 모였는데, |
悉具菩薩方便智慧。 | 모두가 보살의 |
실구보살 방편지혜 | 방편 지혜를 갖추었으니, |
所謂:善能觀察一切眾生, | 소위 일체중생을 잘 관찰하고 |
소위 선능관찰일체중생 | |
以方便力,令其調伏,住菩薩法; | 방편력으로 그를 조복시켜 |
이방편력 영기조복 주보살법 | 보살법에 머물게 하며, |
善能觀察一切世界, | 일체세계를 잘 관찰하고 |
선능관찰일체세계 | |
以方便力,普皆往詣; | 방편력으로 두루 나아가며, |
이방편력 보개왕예 | |
善能觀察涅槃境界, | 열반의 경계를 잘 관찰하여 |
선능관찰열반경계 | |
思惟籌量 永離一切 戲論分別, | 모든 희론의 분별을 영원히 떠날 것을 |
사유주량 영리일체 희론분별 | 사유하고 도모하여 |
而修妙行 無有間斷; | 묘행(妙行)을 끊임없이 닦으며, |
이수묘행 무유간단 | |
善能攝受 一切眾生, | 일체중생을 잘 섭수하는 |
선능섭수일체중생 | |
善入無量 諸方便法, | 한량없는 방편법에 잘 들어가고 |
선입무량 제방편법 | |
知諸眾生 空無所有 而不壞業果; | 중생이 공하여 있지 않음을 알아서 |
지제중생 공무소유 이불괴업과 | 업과(業果)를 무너뜨리지 않으며, |
善知眾生心使、諸根境界方便, | 중생들 마음이 원하는 것이나 |
선지중생심사 제근경계방편 | 여러 근(根)과 경계와 방편이 |
種種差別悉能受持; | 갖가지로 차별함을 잘 알아서 |
종종차별 실능수지 | 능히 다 받아 지니며, |
三世佛法,自得解了,復為他說; | 삼세의 불법을 자신이 분명히 이해하고 |
삼세불법 자득해료 부위타설 | 다시 남을 위해 설명하며, |
於世、出世無量諸法, | 세간과 출세간의 한량없는 법에 |
어세 출세 무량제법 | |
皆善安住,知其真實; | 잘 안주하여 그 진실을 알며, |
개선안주 지기진실 | |
於有為、無為一切諸法, | 유위와 무위의 모든 법을 |
어유위 무위 일체제법 | |
悉善觀察,知無有二; | 잘 관찰하여 둘이 없음을 알며, |
실선관찰 지무유이 | |
於一念中,悉能獲得三世諸佛所有智慧; | 한 순간에 삼세제불의 지혜를 |
어일념중 실능획득삼세제불 소유지혜 | 다 획득할 수 있으며, |
於念念中,悉能示現成等正覺, | 순간순간마다 |
어념념중 실능시현 성등정각 | 등정각을 시현할 수 있어서 |
令一切眾生發心成道; | 일체중생을 |
영일체중생 발심성도 | 발심하여 성도하게 하며, |
於一眾生心之所緣,悉知一切眾生境界; | 한 중생 마음의 소연(所緣)에서 |
어일중생심지소연 실지일체중생경계 | 일체중생의 경계를 다 알며, |
雖入如來 一切智地, | 비록 여래의 |
수입여래 일체지지 | 일체지 자리에 들어갔더라도 |
而不捨菩薩行諸所作業, | 보살행으로 짓는 |
이불사보살행 제소작업 | 모든 업을 버리지 않되 |
智慧方便 而無所作; | 지혜의 방편이니 짓는 바가 없으며, |
지혜방편 이무소작 | |
為一一眾生 住無量劫, | 낱낱의 중생을 위해 |
위일일중생 주무량겁 | 한량없는 겁에 머물건만 |
而於阿僧祇劫難可值遇, | 아승지겁에도 만나기 어려우며, |
이어아승지겁 난가치우 | |
轉正法輪調伏眾生皆不唐捐, | 정법륜을 굴려 중생 조복시키는 일이 |
전정법륜 조복중생 개부당연 | 다 헛되지 않아서 |
三世諸佛清淨行願悉已具足; | 삼세제불의 청정한 행원(行願)을 |
삼세제불 청정행원 실이구족 | 이미 구족하였으며, |
成就如是無量功德, | 성취한 이와 같은 한량없는 공덕은 |
성취여시 무량공덕 | |
一切如來於無邊劫說不可盡。 | 일체여래가 가이없는 겁에도 |
일체여래 어무변겁 설불가진 | 다 설명할 수 없었으니, |
其名曰:普賢菩薩、普眼菩薩、普化菩薩、 | 그들의 이름은 보현(普賢)보살. |
기명왈 보현보살 보안보살 보화보살 | 보안(普眼)보살. 보화(普化)보살. |
普慧菩薩、普見菩薩、普光菩薩、普觀菩薩、 | 보혜(普慧)보살. 보견(普見)보살. |
보혜보살 보견보살 보광보살 보관보살 | 보광(普光)보살. 보관(普觀)보살. |
普照菩薩、普幢菩薩、普覺菩薩……。 | 보조(普照)보살. 보당(普幢)보살. |
보조보살 보당보살 보각보살 | 보각(普覺)보살 등이었다. |
如是等十不可說百千億那由他佛剎微塵數, | 이러한 십 불가설 백천억 나유타 |
여시등십불가설백천억나유타불찰미진수 | 불찰미진수가 |
皆悉成就普賢行願,深心大願皆已圓滿; | 모두 보현의 행원을 성취하고 |
개실성취보현행원 심심대원 개이원만 | 깊은 마음의 대원을 다 원만히 하였으며, |
一切諸佛出興世處,悉能往詣請轉法輪; | 일체제불이 세상에 출현하신 곳에 |
일체제불 출흥세처 실능왕예 청전법륜 | 다 나아가서 법륜 굴리시기를 청하고, |
善能受持諸佛法眼,不斷一切諸佛種性; | 제불의 법안을 능히 잘 수지하여 |
선능수지제불법안 부단일체제불종성 | 일체제불의 종성을 단절시키지 않았으며, |
善知一切諸佛興世 授記次第、名號、國土、 | 일체제불이 세상에 나신 일과 |
선지일체제불흥세 수기차제 명호국토 | 수기하시는 차례, 명호, 국토와 |
成等正覺、轉於法輪; | 등정각을 이루시고 |
성등정각 전어법륜 | 법륜을 굴리시는 일을 잘 알고 있었으며, |
無佛世界現身成佛, | 부처님 없는 세계에 몸을 나투어 |
무불세계 현신성불 | 부처를 이루고 |
能令一切雜染眾生 皆悉清淨; | 모든 여러가지로 물든 중생들을 |
능령일체잡염중생 개실청정 | 다 청정케 하였으며, |
能滅一切菩薩業障,入於無礙清淨法界。 | 능히 모든 보살의 업장을 멸하고 |
능멸일체보살업장 입어무애청정법계 | 걸림없는 청정법계에 들어갔다. |
爾時,普賢菩薩摩訶薩 入廣大三昧, | 그때 보현보살마하살이 |
이시 보현보살마하살 입광대삼매 | 광대한 삼매에 들었는데 |
名:佛華莊嚴;入此三昧時, | 이름이 불화장엄(佛華莊嚴)이요, |
명 불화장엄 입차삼매시 | 이 삼매에 들었을 때 |
十方所有一切世界六種、十八相動, | 시방에 있는 일체세계가 |
시방소유 일체세계 육종 십팔상동 | 여섯 가지와 열 여덟 모양으로 진동하며 |
出大音聲靡不皆聞; | 큰 소리를 내니 |
출대음성 미불개문 | 듣지 못하는 이가 없었으며, |
然後從其三昧而起。 | 그런 뒤에 그 삼매에서 일어났다. |
연후종기삼매이기 | |
爾時,普慧菩薩 知眾已集, | 이때 보혜보살이 |
이시 보혜보살 지중이집 | 대중이 이미 모인 것을 알고 |
問普賢菩薩言:「佛子!願為演說: | 보현보살에게 물었다. |
문보현보살언 불자 원위연설 | "불자여, 바라건대 말씀하소서. |
何等為菩薩摩訶薩依?何等為奇特想? | 무엇이 보살마하살이 의지하는 것이며, |
하등위보살마하살의 하등위기특상 | 무엇이 특이한 생각이며, |
何等為行?何等為善知識? | 무엇이 행이며, |
하등위행 하등위선지식 | 무엇이 선지식이며, |
何等為勤精進?何等為心得安隱? | 무엇이 힘써 정진하는 것이며, |
하등위근정진 하등위심득안은 | 무엇이 안음함을 얻었다는 것이며, |
何等為成就眾生?何等為戒? | 무엇이 중생을 성취시키는 것이며, |
하등위성취중생 하등위계 | 무엇이 계(戒)이며, |
何等為自知受記?何等為入菩薩? | 무엇이 수기받을 줄 자신이 아는 것이며,. |
하등위자지수기 하등위입보살 | 무엇이 보살에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入如來?何等為入眾生心行? | 무엇이 여래에 들어는 것이며, |
하등위입여래 하등위입중생심행 | 무엇이 중생의 심행에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入世界?何等為入劫? | 무엇이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며, |
하등위입세계 하등위입겁 | 무엇이 겁에 들어는 것이며, |
何等為說三世?何等為入三世? | 무엇이 삼세를 설하는 것이며, |
하등위설삼세 하등위입삼세 | 무엇이 삼세에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發無疲厭心?何等為差別智? | 무엇이 싫증없는 마음을 내는 것이며, |
하등위발무피염심 하등위차별지 | 무엇이 차별한 지혜이며, |
何等為陀羅尼?何等為演說佛? | 무엇이 다라니이며, |
하등위다라니 하등위연설불 | 무엇이 부처님을 연설하는 것이며, |
何等為發普賢心?何等為普賢行法? | 무엇이 보현의 마음을 내는 것이며, |
하등위발보현심 하등위보현행법 | 무엇이 보현의 행하는 법이며, |
以何等故而起大悲? | 무엇 때문에 대비를 일으키며, |
이하등고 이기대비 | |
何等為發菩提心因緣? | 무엇이 보리심을 발하는 인연이며, |
하등위발보리심인연 | |
何等為於善知識起尊重心? | 무엇이 선지식에게 |
하등위어 선지식 기 존중심 | 존중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며, |
何等為清淨?何等為諸波羅蜜? | 무엇이 청정함이며, |
하등위청정 하등위제바라밀 | 무엇이 모든 바라밀이며, |
何等為智隨覺?何等為證知? | 무엇이 지혜로 따르는 깨달음이며, |
하등위 지수각 하등위 증지 | 무엇이 증득해 아는 것[證知]이며, |
何等為力?何等為平等? | 무엇이 힘이며, |
하등위 력 하등위 평등 | 무엇이 평등이며, |
何等為佛法實義句?何等為說法? | 무엇이 불법(佛法)의 진실한 뜻이며, |
하등위 불법 실의구 하등위 설법 | 무엇이 설법이며, |
何等為持?何等為辯才? | 무엇이 지니는 것[持]이며, |
하등위 지 하등위 변재 | 무엇이 변재며, |
何等為自在?何等為無著性? | 무엇이 자재함이며, |
하등위 자재 하등위 무착성 | 무엇이 집착없는 성품이며, |
何等為平等心?何等為出生智慧? | 무엇이 평등한 마음이며, |
하등위 평등심 하등위 출생지혜 | 무엇이 지혜를 출생시키는 것이며, |
何等為變化?何等為力持? | 무엇이 변화이며, |
하등위 변화 하등위 력지 | 무엇이 역지(力持)이며, |
何等為得大欣慰?何等為深入佛法? | 무엇이 큰 위안을 얻는 것이며, |
하등위득대흔위 하등위 심입불법 | 무엇이 불법에 깊이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依止?何等為發無畏心? | 무엇이 의지함이며, |
하등위 의지 하등위 발 무외심 | 무엇이 두려움 없는 마음을 내는 것이며, |
何等為發無疑惑心?何等為不思議? | 무엇이 의혹 없는 마음을 내는 것이며, |
하등위 발 무의혹심 하등위 부사의 | 무엇이 부사의며, |
何等為巧密語?何等為巧分別智? | 무엇이 선교하고 은밀한 말이며, |
하등위 교밀어 하등위 교분별지 | 무엇이 선교히 분별하는 지혜이며, |
何等為入三昧?何等為遍入? | 무엇이 삼매에 들어가는 것이며, |
하등위 입삼매 하등위 변입 | 무엇이 두루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解脫門?何等為神通? | 무엇이 해탈문이며, |
하등위 해탈문 하등위 신통 | 무엇이 신통이며, |
何等為明?何等為解脫? | 무엇이 밝음이며, |
하등위 명 하등위 해탈 | 무엇이 해탈이며, |
何等為園林?何等為宮殿? | 무엇이 원림(園林)이며, |
하등위 원림 하등위궁전 | 무엇이 궁전이며, |
何等為所樂?何等為莊嚴? | 무엇이 즐기는 것이며, |
하등위 소락 하등위 장엄 | 무엇이 장엄이며, |
何等為發不動心?何等為不捨深大心? | 무엇이 부동심을 일으키는 것이며, |
하등위 발 부동심 하등위 불사심대심 | 무엇이 깊고 큰 마음을 버리지 않는 것이며, |
何等為觀察?何等為說法? | 무엇이 관찰이며, |
하등위 관찰 하등위 설법 | 무엇이 설법이며, |
何等為清淨?何等為印? | 무엇이 청정이며, |
하등위 청정 하등위 인 | 무엇이 인(印)이며, |
何等為智光照?何等為無等住? | 무엇이 지혜광명을 비추는 것이며, |
하등위 지광조 하등위 무등주 | 무엇이 대등할 이 없이 머무는 것이며, |
何等為無下劣心?何等為如山增上心? | 무엇이 열등함이 없는 마음이며, |
하등위 무하열심 하등위 여산증상심 | 무엇이 산처럼 높아지려는 마음이며, |
何等為入無上菩提如海智? | 무엇이 무상보리에 들어가는 |
하등위 입 무상보리여해지 | 바다 같은 지혜이며, |
何等為如寶住? | 무엇이 보배처럼 머무는 것이며, |
하등위 여보주 | |
何等為發如金剛大乘誓願心? | 무엇이 금강 같은 |
하등위 발여금강 대승서원심 | 대승의 서원심을 일으키는 것이며, |
何等為大發起?何等為究竟大事? | 무엇이 크게 일으키는 것[發起]이며, |
하등위 대발기 하등위 구경대사 | 무엇이 구경의 대사(大事)이며, |
何等為不壞信?何等為授記? | 무엇이 무너지지 않는 믿음이며, |
하등위 불괴신 하등위 수기 | 무엇이 수기이며, |
何等為善根迴向?何等為得智慧? | 무엇이 선근회향이며, |
하등위 선근회향 하등위 득지혜 | 무엇이 지혜를 얻는 것이며, |
何等為發無邊廣大心? | 무엇이 끝없이 광대한 마음을 |
하등위 발 무변광대심 | 일으키는 것이며, |
何等為伏藏?何等為律儀? | 무엇이 감춰진 보고[伏藏]이며, |
하등위 복장 하등위 율의 | 무엇이 율의(威儀)며, |
何等為自在?何等為無礙用? | 무엇이 자재함이며, |
하등위 자재 하등위 무애용 | 무엇이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眾生無礙用?何等為剎無礙用? | 무엇이 중생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하등위 중생무애용 하등위 찰무애용 | 무엇이 세계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法無礙用?何等為身無礙用? | 무엇이 법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하등위 법무애용 하등위 신무애용 | 무엇이 몸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願無礙用?何等為境界無礙用? | 무엇이 원(願)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하등위 원무애용 하등위 경계무애용 | 무엇이 경계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智無礙用?何等為神通無礙用? | 무엇이 지혜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하등위 지무애용 하등위 신통무애용 | 무엇이 신통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神力無礙用?何等為力無礙用? | 무엇이 신통력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하등위 신력무애용 하등위 력무애용 | 무엇이 힘의 걸림없는 작용이며, |
何等為遊戲?何等為境界? | 무엇이 유희이며, 무엇이 경계이며, |
하등위 유희 하등위 경계 | |
何等為力?何等為無畏? | 무엇이 힘[力]이며, |
하등위 력 하등위 무외 | 무엇이 무외(無畏)며, |
何等為不共法? | 무엇이 불공법(不共法)이며, |
하등위 불공법 | |
何等為業?何等為身?何等為身業? | 무엇이 업이며, 무엇이 몸이며, |
하등위 업 하등위 신 하등위 신업 | 무엇이 신업(身業)이며, |
何等為身?何等為語? | 무엇이 몸이며, 무엇이 말이며, |
하등위 신 하등위 어 | |
何等為淨修語業?何等為得守護? | 무엇이 어업(語業)을 청정히 닦는 것이며, |
하등위 정수어업 하등위 득수호 | 무엇이 수호함을 얻는 것이며, |
何等為成辦大事?何等為心? | 무엇이 힘들인 큰 일을 이루는 것이며, |
하등위 성판대사 하등위 심 | 무엇이 마음이며, |
何等為發心?何等為周遍心? | 무엇이 발심이며, |
하등위 발심 하등위 주변심 | 무엇이 두루한 마음이며, |
何等為諸根?何等為深心? | 무엇이 제근(諸根)이며, |
하등위 제근 하등위 심심 | 무엇이 깊은 마음이며, |
何等為增上深心?何等為勤修? | 무엇이 더 높아지려는 깊은 마음이며, |
하등위 증상심심 하등위 근수 | 무엇이 힘써 닦는 것이며, |
何等為決定解? | 무엇이 결정한 이해이며, |
하등위 결정해 | |
何等為決定解入世界? | 무엇이 결정한 이해로 |
하등위 결정해입세계 |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決定解入眾生界? | 무엇이 결정한 지혜로 |
하등위 결정해입중생계 | 중생계에 들어가는 것이며, |
何等為習氣?何等為取?何等為修? | 무엇이 습기(習氣)이며, |
하등위 습기 하등위 취 하등위 수 | 무엇이 취함[取]이며, 무엇이 닦음이며, |
何等為成就佛法?何等為退失佛法道? | 무엇이 불법을 성취함이며, |
하등위 성취불법 하등위 퇴실불법도 | 무엇이 불법의 도에서 후퇴함이며, |
何等為離生道?何等為決定法? | 무엇이 생을 여의는 도이며, |
하등위 리생도 하등위 결정법 | 무엇이 결정한 법이며, |
何等為出生佛法道?何等為大丈夫名號? | 무엇이 불법을 출생시키는 도이며, |
하등위 출생불법도 하등위 대장부명호 | 무엇이 대장부의 이름이며, |
何等為道?何等為無量道? | 무엇이 도(道)이며, |
하등위 도 하등위 무량도 | 무엇이 한량없는 도이며, |
何等為助道?何等為修道? | 무엇이 조도(助道)이며, |
하등위 조도 하등위 수도 | 무엇이 수도(修道)이며, |
何等為莊嚴道? | 무엇이 장엄한 도이며, |
하등위 장엄도 | |
何等為足?何等為手?何等為腹? | 무엇이 발이며, 무엇이 손이며, |
하등위 족 하등위 수 하등위 복 | 무엇이 배이며, |
何等為藏?何等為心? | 무엇이 내장[藏]이며, |
하등위 장 하등위 심 | 무엇이 마음이며, |
何等為被甲?何等為器仗? | 무엇이 갑옷을 입는 것이며, |
하등위 피갑 하등위 기장 | 무엇이 병장기이며, |
何等為首? | 무엇이 머리며, |
하등위 수 | |
何等為眼?何等為耳?何等為鼻? | 무엇이 눈이며, 무엇이 귀며, |
하등위 안 하등위 이 하등위 비 | 무엇이 코며, |
何等為舌?何等為身?何等為意? | 무엇이 혀며, 무엇이 몸이며, |
하등위 설 하등위 신 하등위 의 | 무엇이 뜻이며, |
何等為行?何等為住? | 무엇이 행함[行]이며, |
하등위 행 하등위 주 | 무엇이 머뭄[住]이며, |
何等為坐?何等為臥? | 무엇이 앉음[坐]이며, |
하등위 좌 하등위 와 | 무엇이 누움[臥]이며, |
何等為所住處?何等為所行處? | 무엇이 머물 곳이며, |
하등위 소주처 하등위 소행처 | 무엇이 행할 곳이며, |
何等為觀察?何等為普觀察? | 무엇이 관찰함이며, |
하등위 관찰 하등위 보관찰 | 무엇이 널리 관찰함이며, |
何等為奮迅?何等為師子吼? | 무엇이 분신(奮迅)이며, |
하등위 분신 하등위 사자후 | 무엇이 사자후며, |
何等為清淨施?何等為清淨戒? | 무엇이 청정한 보시이며, |
하등위 청정시 하등위 청정계 | 무엇이 청정한 계율이며, |
何等為清淨忍?何等為清淨精進? | 무엇이 청정한 인욕이며, |
하등위 청정인 하등위 청정정진 | 무엇이 청정한 정진이며, |
何等為清淨定?何等為清淨慧? | 무엇이 청정한 선정이며, |
하등위 청정정 하등위 청정혜 | 무엇이 청정한 지혜이며, |
何等為清淨慈?何等為清淨悲? | 무엇이 청정한 자(慈)이며, |
하등위 청정자 하등위 청정비 | 무엇이 청정한 비(悲)이며, |
何等為清淨喜?何等為清淨捨? | 무엇이 청정한 희(喜)이며, |
하등위 청정희 하등위 청정사 | 무엇이 청정한 사(捨)이며, |
何等為義?何等為法? | 무엇이 이치이며, |
하등위 의 하등위 법 | 무엇이 법이며, |
何等為福德助道具? | 무엇이 복덕의 도를 돕는 도구이며, |
하등위 복덕조도구 | |
何等為智慧助道具? | 무엇이 지혜의 도를 돕는 도구이며, |
하등위 지혜조도구 | |
何等為明足?何等為求法? | 무엇이 명족(明足)이며, |
하등위 명족 하등위 구법 | 무엇이 구법(求法)이며, |
何等為明了法?何等為修行法? | 무엇이 명료한 법(明了法)이며, |
하등위 명료법 하등위 수행법 | 무엇이 수행법이며, |
何等為魔?何等為魔業? | 무엇이 마(魔)이며, |
하등위 마 하등위 마업 | 무엇이 마업(魔業)이며, |
何等為捨離魔業? | 무엇이 마업을 여의는 것이며, |
하등위 사리마업 | |
何等為見佛?何等為佛業? | 무엇이 부처님을 뵙는 것이며, |
하등위 견불 하등위 불업 | 무엇이 부처님의 업이며, |
何等為慢業?何等為智業? | 무엇이 교만함의 업이며, |
하등위 만업 하등위 지업 | 무엇이 지혜의 업이며, |
何等為魔所攝持?何等為佛所攝持? | 무엇이 마에 붙들리는 것이며, |
하등위 마소섭지 하등위 불소섭지 | 무엇이 부처님이 거두시는 것이며, |
何等為法所攝持? | 무엇이 법으로 거두어지는 것이며, |
하등위 법소섭지 | |
何等為住兜率天所作業? | 무엇이 도솔천에 머물러 짓는 업이며, |
하등위 주도솔천소작업 | |
何故於兜率天宮歿? | 왜 도솔천궁을 떠나시어, |
하고어도솔천궁몰 | |
何故現處胎?何等為現微細趣? | 왜 태에 들어 보이시고, |
하고현처태 하등위현미세취 | 왜 미세한 갈래를 나타내신 것이며, |
何故現初生?何故現微笑? | 왜 첫 출생을 보이시고, |
하고현초생 하고현미소 | 왜 미소를 지으셨으며, |
何故示行七步?何故現童子地? | 왜 칠보를 걸어 보이시고, |
하고시행칠보 하고현동자지 | 왜 동자의 신분을 나타내시며, |
何故現處內宮? | 왜 내궁에 계시었는지, |
하고현처내궁 | |
何故現出家?何故示苦行? | 왜 출가해 보이시고, |
하고현출가 하고시고행 | 왜 고행해 보이시며, |
云何往詣道場?云何坐道場? | 어떻게 도량에 나아가시어, |
운하왕예도량 운하좌도량 | 어떻게 도량에 앉으시고, |
何等為坐道場時奇特相? | 무엇이 도량에 앉으셨을 때의 |
하등위 좌도량시기특상 | 특별한 모습이며, |
何故示降魔?何等為成如來力? | 왜 마군을 항복시키시고, |
하고시항마 하등위 성여래력 | 무엇이 여래의 힘을 이루신 것이며, |
云何轉法輪? | 어떻게 법륜을 굴리시고, |
운하전법륜 | |
何故因轉法輪得白淨法? | 왜 법륜 굴리심으로 인해 |
하고인전법륜 득백정법 | 청정하고 선한 법을 얻으신 것이며, |
何故如來、應、正等覺示般涅槃? | 왜 여래 응공 정등각께서는 |
하고여래 응 정등각 시반열반 | 열반에 들어 보이신 것입니까? |
善哉!佛子!如是等法,願為演說!」 | 거룩하신 불자시여, |
선재 불자 여시등법 원위연설 | 이러한 법들을 원컨대 연설하소서." |
爾時,普賢菩薩告普慧等諸菩薩言: | 그때 보현보살이 보혜 등의 |
이시 보현보살 고보혜등 제보살언 | 모든 보살들에게 말했다.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依。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의 | 의지하는 열 가지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以菩提心為依,恒不忘失故; | 소위 보리심으로 의지를 삼나니 |
소위 이보리심위의 항불망실고 | 항상 잃어버리지 않으려는 것이요, |
以善知識為依,和合如一故; | 선지식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선지식위의 화합여일고 | 한 몸처럼 화합하려는 것이며, |
以善根為依,修集增長故; | 선근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선근위의 수집증장고 | 닦아 모으고 키워가려는 것이, |
以波羅蜜為依,具足修行故; | 바라밀로 의지를 삼나니 |
이바라밀위의 구족수행고 | 구족히 수행하려는 것이며, |
以一切法為依,究竟出離故; | 일체법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일체법위의 구경출리고 | 구경에 출리하려는 것이며, |
以大願為依,增長菩提故; | 대원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대원위의 증장보리고 | 보리를 증장케 하려는 것이며, |
以諸行為依,普皆成就故; | 모든 행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제행위의 보개성취고 | 다 성취하려는 것이며, |
以一切菩薩為依,同一智慧故; | 모든 보살로 의지를 삼나니 |
이일체보살위의 동일지혜고 | 지혜를 동일하게 하려는 것이며, |
以供養諸佛為依,信心清淨故; | 부처님께 공양함으로 의지를 삼나니 |
이공양제불위의 신심청정고 | 신심을 청정히 하려는 것이며, |
以一切如來為依,如慈父教誨不斷故。 | 일체 여래로 의지를 삼나니 |
이일체여래위의 여 자부교회부단고 | 어진 아비처럼 부단히 가르치려는 것이니, |
是為十。 | 이것이 그 열이니라. |
시위십 |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為如來 無上大智所依處。 | 곧 여래의 위없는 대지혜가 |
즉득위여래 무상대지소의처 | 의지할 곳을 얻게 되는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奇特想。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기특상 | 열 가지 특이한 생각이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於一切善根 生自善根想; | 소위 일체의 선근을 |
소위 어일체선근 생자선근상 | 자기의 선근이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善根 生菩提種子想; | 일체의 선근을 |
어일체선근 생보리종자상 | 보리의 종자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眾生 生菩提器想; | 일체중생을 |
어일체중생 생보리기상 | 보리의 그릇이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願 生自願想; | 일체의 원을 |
어일체원 생자원상 | 자기의 원이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法 生出離想; | 일체법에서 출리한다는 생각, |
어일체법 생출리상 | |
於一切行 生自行想; | 일체의 행을 |
어일체행 생자행상 | 자기의 행이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法 生佛法想; | 일체법을 불법이라 여기는 생각, |
어일체법 생불법상 | |
於一切語言法 生語言道想; | 일체의 언어법을 |
어일체어언법 생어언도상 | 언어의 길이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佛 生慈父想; | 일체의 부처님을 |
어일체불 생자부상 | 어진 아버지라 여기는 생각, |
於一切如來 生無二想。 | 일체여래에 |
어일체여래 생무이상 | 둘이 없다 여기는 생각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若諸菩薩安住此法,則得無上善巧想。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즉득무상선교상 | 곧 위없이 선교한 생각을 얻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行。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행 | 열 가지 행이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一切眾生行,普令成熟故; | 소위 일체중생의 행이니 |
소위 일체중생행 보령성숙고 | 널리 성숙시키려는 것이며, |
一切求法行,咸悉修學故; | 일체의 법을 구하는 행이니 |
일체구법행 함실수학고 | 모두 닦고 배우려는 것이며, |
一切善根行,悉使增長故; | 모든 선근의 행이니 |
일체선근행 실사증장고 | 다 증장시키려는 것이며, |
一切三昧行,一心不亂故; | 모든 삼매의 행이니 |
일체삼매행 일심불란고 | 한 마음으로 산란하지 않으려는 것이며, |
一切智慧行,無不了知故; | 일체 지혜의 행이니 |
일체지혜행 무불료지고 | 알지 못하는 것이 없게 하려는 것이며, |
一切神通行,變化自在故; | 일체의 신통행이니 |
일체신통행 변화자재고 | 자재히 변화하려는 것이며, |
一切修習行,無不能修故; | 일체의 닦아 익히는 행이니 |
일체수습행 무불능수고 | 닦지 못한 것이 없게 하려는 것이며, |
一切佛剎行,皆悉莊嚴故; | 모든 부처님 세계의 행이니 |
일체불찰행 개실장엄고 | 모두 다 장엄하려는 것이며, |
一切善友行,恭敬供養故; | 모든 선지식의 행이니 |
일체선우행 공경공양고 | 공경하여 공양하려는 것이며, |
一切如來行,尊重承事故。 | 일체 여래의 행이니 |
일체여래행 존중승사고 | 존중하고 받들어 섬기려는 것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如來無上大智慧行。 | 곧 여래의 위없는 |
즉득여래무상대지혜행 | 대지혜의 행을 얻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善知識。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선지식 | 열 가지 선지식이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令住菩提心善知識; | 소위 보리심에 머물게 하는 선지식, |
소위 영주보리심선지식 | |
令生善根善知識; | 선근이 생기게 하는 선지식, |
영생선근선지식 | |
令行諸波羅蜜善知識; | 모든 바라밀을 행하게 하는 선지식, |
영행제바라밀선지식 | |
令解說一切法善知識; | 일체법을 해득하여 |
영해탈일체법선지식 | 설하게 하는 선지식, |
令成熟一切眾生善知識; | 일체중생을 성숙케 하는 선지식, |
영성숙일체중생선지식 | |
令得決定辯才善知識; | 결정한 변재를 얻게 하는 선지식, |
영득결정변재선지식 | |
令不著一切世間善知識; | 일체 세간에 |
영불착일체세간선지식 | 집착하지 않게 하는 선지식, |
令於一切劫修行無厭倦善知識; | 모든 겁 동안 싫증이나 나태함이 없이 |
영어일체겁 수행무염권선지식 | 수행하게 하는 선지식, |
令安住普賢行善知識; | 보현행에 안주하게 하는 선지식, |
영안주보현행선지식 | |
令入一切佛智所入善知識。 | 부처님의 지혜로 들어가는 데에 |
영입일체불지소입선지식 | 들어가게 하는 선지식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勤精進。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근정진 | 열 가지 힘쓰는 정진[勤精進]이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教化一切眾生勤精進; | 소위 일체중생을 |
소위 교화일체중생근정진 | 교화하는 근정진(勤精進), |
深入一切法勤精進; | 일체법에 깊이 들어가는 근정진, |
심입일체법근정진 | |
嚴淨一切世界勤精進; | 일체세계를 엄정히 하는 근정진, |
엄정일체세계근정진 | |
修行一切菩薩所學勤精進; | 모든 보살이 배우는 것을 |
수행일체보살소학근정진 | 수행하는 근정진, |
滅除一切眾生惡勤精進; | 일체중생의 악(惡)을 |
멸제일체중생악근정진 | 멸해 없애는 근정진, |
止息一切三惡道苦勤精進; | 모든 삼악도의 고통을 |
지식일체삼악도고근정진 | 멈추게 하는 근정진, |
摧破一切眾魔勤精進; | 모든 마(魔)의 무리를 |
최파일체중마근정진 | 꺾어 부수는 근정진, |
願為一切眾生作清淨眼勤精進; | 일체중생을 위해 |
원위일체중생 작청정안근정진 | 청정한 눈이 되기 원하는 근정진, |
供養一切諸佛勤精進; | 일체제불을 공양하는 근정진, |
공양일체제불근정진 | |
令一切如來皆悉歡喜勤精進。 | 일체 여래를 기쁘게 하는 근정진이니, |
영일체여래 개실환희근정진 |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具足如來無上精進波羅蜜。 | 곧 여래의 위없는 정진바라밀을 |
즉득구족여래무상정진바라밀 | 구족히 얻게 되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心得安隱。何等為十? | 마음에 안은함을 얻는 열 가지가 있으니, |
유십종심득안은 하등위십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自住菩提心, | 소위 스스로 보리심에 머물고 |
소위 자주보리심 | |
亦當令他住菩提心,心得安隱; | 다른 이도 보리심에 머물게 하여 |
역당령타주보리심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究竟離忿諍, | 스스로 분한과 다툼을 구경히 여의고 |
자구경리분쟁 | |
亦當令他離忿諍,心得安隱; | 다른 이도 분한과 다툼을 여의게 하여 |
역당령타리분쟁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離凡愚法, | 스스로 어리석은 법을 여의고 |
자리범우법 | |
亦令他離凡愚法,心得安隱; | 다른 이도 여의게 하여 |
역령타리범우법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勤修善根, | 스스로 선근을 힘써 닦고 |
자근수선근 | |
亦令他勤修善根,心得安隱; | 다른 이도 힘써 닦게 하여 |
역령타근수선근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住波羅蜜道, | 스스로 바라밀의 도에 머물고 |
자주바라밀도 | |
亦令他住波羅蜜道,心得安隱; | 다른 이도 머물게 하여 |
역령타주바라밀도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生在佛家, | 스스로 부처님의 가문에 태어나고 |
자생재불가 | |
亦當令他生於佛家,心得安隱; | 다른 이도 태어나게 하여 |
역당령타생어불가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深入無自性真實法, | 스스로 자성이 없는 |
자심입무자성진실법 | 진실한 법에 깊이 들어가고 |
亦令他入無自性真實法,心得安隱; | 다른 이도 들어가게 하여 |
역령타입무자성진실법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不誹謗一切佛法, | 스스로 일체의 불법을 비방하지 않고 |
자불비방일체불법 | |
亦令他不誹謗一切佛法,心得安隱; | 다른 이도 비방하지 않게 하여 |
역령타불비방일체불법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滿一切智菩提願, | 스스로 일체지와 보리를 향한 |
자만일체지보리원 | 원을 만족히 하고 |
亦令他滿一切智菩提願,心得安隱; | 다른 이도 그 원을 만족하게 하여 |
역령타만일체지보리원 심득안은 | 마음에 안은함을 얻고, |
自深入一切如來無盡智藏, | 스스로 일체여래의 |
자심입일체여래 무진지장 | 무진한 지혜의 보고에 깊이 들어가고 |
亦令他入一切如來無盡智藏, | 다른 이도 거기에 들어가게 하여 |
역령타입일체여래 무진지장 | |
心得安隱。是為十。 | 마음에 안은함을 얻나니, |
심득안은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如來無上大智安隱。 | 곧 여래의 위없는 대지혜에서 |
즉득여래무상대지안은 | 안은함을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成就眾生。何等為十? | 열 가지로 중생을 성취하나니, |
유십종성취중생 하등위십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以布施成就眾生; | 소위 보시로 중생을 성취하고, |
소위 이보시성취중생 | |
以色身成就眾生;以說法成就眾生; | 색신으로 중생을 성취하고, |
이색신성취중생 이설법성취중생 | 설법으로 중생을 성취하고, |
以同行成就眾生;以無染著成就眾生; | 동행(同行)으로 중생을 성취하고, |
이동행성취중생 이무염착성취중생 | 무염착(無染著)으로 중생을 성취하고, |
以開示菩薩行成就眾生; | 보살행을 열어보임으로써 |
이개시보살행 성취중생 | 중생을 성취하고, |
以熾然示現一切世界成就眾生; | 일체세계를 치연히 보여줌으로써 |
이치연시현일체세계 성취중생 | 중생을 성취하고, |
以示現佛法大威德成就眾生; | 불법의 큰 위덕을 보여줌으로써 |
이시현불법대위덕 성취중생 | 중생을 성취하고, |
以種種神通變現成就眾生; | 갖가지 신통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
이종종신통변현 성취중생 | 중생을 성취하고, |
以種種微密善巧方便成就眾生。 | 갖가지 은밀하고 선교한 방편으로 |
이종종미밀 선교방편 성취중생 | 중생을 성취하니 |
是為十。菩薩以此成就眾生界。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보살이차 성취중생계 | 보살은 이것으로 중생계를 성취하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戒。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계 | 열 가지 계(戒)가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不捨菩提心戒;遠離二乘地戒; | 소위 보리심을 버리지 않는 계, |
소위 불사보리심계 원리이승지계 | 이승(二乘)의 지위를 멀리 여의는 계, |
觀察利益一切眾生戒; | 일체중생을 관찰하여 이익케 하는 계, |
관찰이익일체중생계 | |
令一切眾生住佛法戒; | 일체중생을 불법에 머물게 하는 계, |
영일체중생 주불법계 | |
修一切菩薩所學戒;於一切法無所得戒; | 보살이 배우는 모든 것을 닦는 계, |
수일체보살소학계 어일체법 무소득계 | 일체법에 얻을 것이 없는 계, |
以一切善根迴向菩提戒; | 일체의 선근으로 보리에 회향하는 계, |
이일체선근 회향보리계 | |
不著一切如來身戒; | 일체 여래의 몸에 집착하지 않는 계, |
불착일체여래신계 | |
思惟一切法離取著戒; | 일체법을 사유하여 취착을 여의는 계, |
사유일체법 이취착계 | |
諸根律儀戒。是為十。 | 제근율의(諸根律儀)의 계이니, |
제근율의계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如來無上廣大戒波羅蜜。 | 여래의 위없이 광대한 |
즉득여래무상광대계바라밀 | 지계(持戒)바라밀을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受記法,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수기법 | 열 가지 수기법(受記法)이 있어 |
菩薩以此自知受記。何等為十? | 그로써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아나니, |
보살이차 자지수기 하등위십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以殊勝意發菩提心,自知受記; | 소위 수승한 뜻으로 보리심을 발하여 |
소위 이수승의 발보리심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고, |
永不厭捨諸菩薩行,自知受記; | 모든 보살행을 영원히 버리지 않아서 |
영불염사 제보살행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住一切劫行菩薩行,自知受記; | 머무는 모든 겁 동안 보살행을 행하여 |
주일체겁 행보살행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修一切佛法,自知受記; | 일체의 불법을 닦아 |
수일체불법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於一切佛教一向深信,自知受記; | 모든 부처님 교법을 한결같이 깊이 믿어서 |
어일체불교 일향심신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修一切善根皆令成就,自知受記; | 일체의 선근을 닦아 다 성취케 하여 |
수일체선근 개령성취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置一切眾生於佛菩提,自知受記; | 일체중생을 불보리에 안치하여 |
치일체중생 어불보리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於一切善知識和合無二,自知受記; | 모든 선지식과 둘이 없게 화합하여 |
어일체선지식 화합무이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於一切善知識起如來想,自知受記; | 모든 선지식을 여래라 생각하여 |
어일체선지식 기여래상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알며, |
恒勤守護菩提本願,自知受記。 | 항상 보리의 본원을 힘써 수호하여 |
항근수호보리본원 자지수기 | 자신이 수기 받을 것을 아나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入,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입 | 열 가지의 들어감[入]으로 |
入諸菩薩。何等為十? | 모든 보살에 들어가나니, |
입제보살 하등위십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入本願;入行;入聚; | 소위 본원에 들어가고, |
소위 입본원 입행 입취 | 행에 들어가고, 무리[聚]에 들어가고, |
入諸波羅蜜;入成就; | 모든 바라밀에 들어가고, |
입제바라밀 입성취 | 성취에 들어가고, |
入差別願;入種種解; | 차별한 원에 들어가고, |
입차별원 입종종해 | 갖가지 이해에 들어가고, |
入莊嚴佛土;入神力自在; | 불국토를 장엄하는 데에 들어가고, |
입장엄불토 입신력자재 | 신통력을 자재히 하는데에 들어가고, |
入示現受生。是為十。 | 태어나는 보이는 데에 들어가나니, |
입시현수생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菩薩以此普入三世一切菩薩。 | 보살은 그로써 삼세의 모든 보살에 |
보살이차 보입삼세일체보살 | 두루 들어가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入,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입 | 열 가지의 들어감[入]으로 |
入諸如來。何等為十? | 모든 여래에 들어가나니, |
입제여래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入無邊成正覺; | 소위 끝없이 |
소위 입무변성정각 | 정각을 이루는 데에 들어가고, |
入無邊轉法輪;入無邊方便法; | 끝없이 법륜을 굴리는 데에 들어가고, |
입무변전법륜 입무변방편법 | 끝없이 방편법에 들어가고, |
入無邊差別音聲;入無邊調伏眾生; | 끝없이 차별한 음성에 들어가고, |
입무변차별음성 입무변조복중생 | 끝없이 중생을 조복하는 데에 들어가고, |
入無邊神力自在; | 끝없이 신통력을 |
입무변신력자재 | 자재히 하는 데에 들어가고, |
入無邊種種差別身;入無邊三昧; | 끝없이 갖가지로 차별한 몸에 들어가고, |
입무변종종차별신 입무변삼매 | 끝없이 삼매에 들어가고, |
入無邊力、無所畏; | 끝없이 십력과 무소외에 들어가고, |
입무변 력 무소외 | |
入無邊示現涅槃。是為十。 | 끝없이 열반을 시현하는 데에 들어가나니 |
입무변 시현열반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菩薩以此普入三世一切如來。 | 보살은 그로써 |
보살이차 보입삼세일체여래 | 삼세의 모든 여래에 들어가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入眾生行。何等為十? | 열 가지로 중생의 행에 들어가나니, |
유십종입중생행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入一切眾生過去行; | 소위 일체중생의 과거 행에 들어가고, |
소위 입일체중생과거행 | |
入一切眾生未來行;入一切眾生現在行; | 일체중생의 미래 행에 들어가고, |
입일체중생미래행 입일체중생현재행 | 일체중생의 현재 행에 들어가며, |
入一切眾生善行;入一切眾生不善行; | 일체중생의 선행에 들어가고, |
입일체중생선행 입일체중생불선행 | 일체중생의 불선행에 들어가며, |
入一切眾生心行;入一切眾生根行; | 일체중생의 심행에 들어가고, |
입일체중생심행 입일체중생근행 | 일체중생의 근행(根行)에 들어가고, |
入一切眾生解行; | 일체중생의 해행(解行)에 들어가며, |
입일체중생해행 | |
入一切眾生煩惱習氣行; | 일체중생의 |
입일체중생 번뇌습기행 | 번뇌와 습기의 행에 들어가며, |
入一切眾生教化調伏時、非時行。 | 일체중생의 교화하고 조복시키는 때와 |
입일체중생 교화조복시 비시행 | 때 아닌 행에 들어가나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菩薩以此普入一切諸眾生行。 | 보살은 이것으로 |
보살이차 보입일체제중생행 | 일체중생의 행에 두루 들어가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入世界。何等為十? | 열 가지 들어가는 세계가 있으니, |
유십종입세계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所謂:入染世界;入淨世界; | 소위 물든 세계에 들어가고, |
소위 입염세계 입정세계 | 청정한 세계에 들어가며, |
入小世界;入大世界; | 작은 세계에 들어가고, |
입소세계 입대세계 | 큰 세계에 들어가며, |
入微塵中世界;入微細世界; | 티끌 속의 세계에 들어가고, |
입미진중세계 입미세세계 | 미세한 세계에 들어가며, |
入覆世界;入仰世界; | 엎어진 세계에 들어가고, |
입부세계 입앙세계 | 위로 보는 세계에 들어가며, |
入有佛世界;入無佛世界。 | 부처님 계시는 세계에 들어가고, |
입유불세계 입무불세계 | 부처님 안 계시는 세계에 들어가나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菩薩以此普入十方一切世界。 | 보살은 이것으로써 |
보살이차 보입시방일체세계 | 시방의 일체세계에 두루 들어가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入劫。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입겁 | 열 가지 들어가는 겁(劫)이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入過去劫;入未來劫; | 소위 과거 겁에 들어가고, |
소위 입과거겁 입미래겁 | 미래 겁에 들어가고, |
入現在劫; | 현재 겁에 들어가며, |
입현재겁 | |
入可數劫;入不可數劫; | 셀 수 있는 겁에 들어가고, |
입가수겁 입불가수겁 | 셀 수 없는 겁에 들어가며, |
入可數劫即不可數劫; | 셀 수 있는 겁이 |
입가수겁 즉불가수겁 | 곧 셀 수 없는 겁인 데에 들어가고, |
入不可數劫即可數劫; | 셀 수 없는 겁이 |
입불가수겁 즉가수겁 | 곧 셀 수 있는 겁인 데에 들어가며, |
入一切劫即非劫;入非劫即一切劫; | 모든 겁이 곧 겁 아닌 데에 들어가고, |
입일체겁 즉비겁 입비겁 즉일체겁 | 겁 아닌 것이 곧 모든 겁인 데 들어가며, |
入一切劫即一念。是為十。 | 모든 겁이 곧 한 순간인 데 들어가나니 |
입일체겁 즉일념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菩薩以此普入一切劫。 | 보살은 이것으로써 |
보살이차 보입일체겁 | 모든 겁에 두루 들어가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說三世。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설삼세 | 열 가지로 설명하는 삼세가 있으니,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過去世說過去世; | 소위 과거세에 설명하는 과거세, |
소위 과거세설과거세 | |
過去世說未來世;過去世說現在世; | 과거세에 설명하는 미래세, |
과거세설미래세 과거세설현재세 | 과거세에 설명하는 현재세, |
未來世說過去世;未來世說現在世; | 미래세에 설명하는 과거세, |
미래세설과거세 미래세설현재세 | 미래세에 설명하는 현재세, |
未來世說無盡;現在世說過去世; | 미래세에 설명하는 다함 없는 세상, |
미래세설무진 현재세설과거세 | 현재세에 설명하는 과거세, |
現在世說未來世;現在世說平等; | 현재세에 설명하는 미래세, |
현재세설미래세 현재세설평등 | 현재세에 설명하는 평등, |
現在世說三世即一念。 | 현재세에 설명하는 |
현재세설삼세즉일념 | 삼세가 곧 한 순간임이니, |
是為十。菩薩以此普說三世。 | 이것이 열이니라. 보살은 그로써 |
시위십 보살이차 보설삼세 | 삼세를 두루 설명하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有十種知三世。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지삼세 | 삼세를 아는 열 가지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知諸安立;知諸語言; | 소위 모든 안립을 알고, |
소위 지제안립 지제어언 | 모든 언어를 알고, |
知諸談議;知諸軌則;知諸稱謂; | 모든 담론을 알고, 모든 규칙을 알고, |
지제담의 지제궤칙 지제칭위 | 모든 일컬음을 알고, |
知諸制令;知其假名; | 모든 법령을 알고, |
지제제령 지기가명 | 그 거짓 이름을 알고, |
知其無盡;知其寂滅; | 그 무진함을 알고, |
지기무진 지기적멸 | 그 적멸함을 알며, |
知一切空。是為十。 | 모든 것이 공함을 아나니 |
지일체공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菩薩以此普知一切三世諸法。 | 보살이 그로써 일체 삼세의 모든 법을 |
보살이차 보지일체삼세제법 | 두루 아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發十種無疲厭心。何等為十? | 열 가지 싫증없는 마음을 내는데 |
발십종무피염심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供養一切諸佛無疲厭心; | 소위 일체제불을 공양하는 일에 |
소위 공양일체제불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親近一切善知識無疲厭心; | 모든 선지식을 친근하는 일에 |
친근일체선지식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求一切法無疲厭心; | 일체법을 구하는 일에 |
구일체법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聽聞正法無疲厭心; | 정법을 듣는 일에 싫증없는 마음, |
청문정법무피염심 | |
宣說正法無疲厭心; | 정법을 펼쳐 설하는 일에 |
선설정법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教化調伏一切眾生無疲厭心; | 일체중생을 교화하고 |
교화조복일체중생무피염심 | 조복시키는 일에 싫증없는 마음, |
置一切眾生於佛菩提無疲厭心; | 일체중생을 불보리에 안치하는 일에 |
치일체중생 어불보리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於一一世界經不可說不可說劫 | 낱낱의 세계에서 |
어일일세계 경불가설불가설겁 | 불가설 불가설의 겁이 지나도록 |
行菩薩行無疲厭心; | 보살행을 행하는 일에 |
행보살행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遊行一切世界無疲厭心; | 모든 세계를 다니는 일에 |
유행일체세계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 |
觀察思惟一切佛法無疲厭心。 | 모든 불법 관찰하고 사유하는 일에 |
관찰사유일체불법무피염심 | 싫증없는 마음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如來無疲厭無上大智。 | 여래의 싫증없고 위없는 |
즉득여래무피염무상대지 | 대지혜를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差別智。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차별지 | 열 가지 차별한 지혜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知眾生差別智; | 소위 중생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소위 지중생차별지 | |
知諸根差別智;知業報差別智; | 근기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지제근차별지 지업보차별지 | 업보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知受生差別智;知世界差別智; | 출생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지수생차별지 지세계차별지 | 세계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知法界差別智;知諸佛差別智; | 법계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지법계차별지 지제불차별지 | 부처님들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知諸法差別智;知三世差別智; | 법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지제법차별지 지삼세차별지 | 삼세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 |
知一切語言道差別智。是為十。 | 모든 언어 길의 차별함을 아는 지혜이니, |
지일체어언도차별지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得如來無上廣大差別智。 | 여래의 위없고 광대한 |
즉득여래무상광대차별지 | 차별지혜를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陀羅尼。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다라니 | 열 가지 다라니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聞持陀羅尼,持一切法不忘失故; | 소위 듣고서 간직하는 다라니이니 |
소위 문지다라니 지일체법 불망실고 | 일체법을 지녀 잊지 않으려는 것이며, |
修行陀羅尼,如實巧觀一切法故; | 닦아 행하는 다라니이니 |
수행다라니 여실교관일체법고 | 일체법을 여실히 잘 관찰하려는 것이며, |
思惟陀羅尼,了知一切諸法性故; | 사유하는 다라니이니 |
사유다라니 요지일체제법성고 | 일체법의 성품을 요지하려는 것이며, |
法光明陀羅尼,照不思議諸佛法故; | 법 광명의 다라니이니 |
법광명다라니 조부사의제불법고 | 부사의한 불법을 비추려는 것이며, |
三昧陀羅尼, | 삼매의 다라니이니 |
삼매다라니 | |
普於現在一切佛所聽聞正法心不亂故; | 현재하시는 모든 부처님의 처소에서 |
보어현재일체불소 청문정법 심불란고 | 정법을 듣고 마음이 혼란치 않으려는 것이며, |
圓音陀羅尼,解了不思議音聲語言故; | 원음(圓音)의 다라니이니 |
원음다라니 해료부사의 음성어언고 | 부사의한 음성과 언어를 이해하려는 것이며, |
三世陀羅尼, | 삼세의 다라니이니 |
삼세다라니 | |
演說三世不可思議諸佛法故; | 삼세의 불가사의한 불법을 |
연설삼세불가사의 제불법고 | 연설하려는 것이며, |
種種辯才陀羅尼,演說無邊諸佛法故; | 갖가지 변재의 다라니이니 |
종종변재다라니 연설무변제불법고 | 그지없는 불법을 연설하려는 것이며, |
出生無礙耳陀羅尼, | 걸림없는 귀를 출생시키는 다라니이니 |
출생무애 이다라니 | |
不可說佛所說之法悉能聞故; |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불가설한 법을 |
불가설불소설지법 실능문고 | 모두 들으려는 것이며, |
一切佛法陀羅尼, | 일체 불법의 다라니이니 |
일체불법다라니 | |
安住如來力、無畏故。是為十。 | 여래의 십력과 무소외에 |
안주여래력 무외고 시위십 | 안주하려는 것이니,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欲得此法,當勤修學。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을 얻으려거든 |
약제보살 욕득차법 당근수학 | 마땅히 힘써 닦아 배워야 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說十種佛。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설십종불 | 열 가지 부처님을 설명하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成正覺佛;願佛;業報佛; | 소위 정각을 이루는 부처님, |
소위 성정각불 원불 업보불 | 원(願) 부처님, 업보(業報) 부처님, |
住持佛;涅槃佛;法界佛;心佛; | 머물러 지니는 부처님, 열반하신 부처님, |
주지불 열반불 법계불 심불 | 법계 부처님, 마음 부처님, |
三昧佛;本性佛;隨樂佛。是為十。 | 삼매 부처님, 본성(本性) 부처님, |
삼매불 본성불 수락불 시위십 | 낙을 추구하는 부처님이니, 이것이 열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發十種普賢心。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발심종보현심 | 열 가지 보현의 마음을 내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發大慈心,救護一切眾生故; | 소위 대자(大慈)의 마음을 내나니 |
소위 발대자심 구호일체중생고 | 일체중생을 구호하려는 것이며, |
發大悲心,代一切眾生受苦故; | 대비(大悲)의 마음을 내나니 |
발대비심 대일체중생수고고 | 일체중생 대신 고통을 받으려는 것이며, |
發一切施心,悉捨所有故; | 모든 것을 베푸는 마음을 내나니 |
발일체시심 실사소유고 | 가진 것을 다 버리려는 것이며, |
發念一切智為首心, | 일체지에 대한 생각을 |
발념일체지위수심 | 으뜸으로 여기는 마음을 내나니 |
樂求一切佛法故; | 일체의 불법을 즐겨 구하려는 것이며, |
낙구일체불법고 | |
發功德莊嚴心,學一切菩薩行故; | 공덕으로 장엄하려는 마음을 내나니 |
발공덕장엄심 학일체보살행고 | 모든 보살행을 배우려는 것이며, |
發如金剛心,一切處受生不忘失故; | 금강 같은 마음을 내나니 |
발여금강심 일체처수생 불망실고 | 일체처에 태어나기를 잊지 않으려는 것이며, |
發如海心, | 바다와 같은 마음을 내나니 |
발여해심 | |
一切白淨法悉流入故; | 모든 청정하고 선한 법이 |
일체백정법 실류입고 | 다 흘러 들어오게 하려는 것이며, |
發如大山王心,一切惡言皆忍受故; | 큰 산과 같은 마음을 내나니 |
발여대산왕심 일체악언 개인수고 | 모든 나쁜 말을 다 참아내려는 것이며, |
發安隱心,施一切眾生無怖畏故; | 안은한 마음을 내나니 |
발안은심 시일체중생 무포외고 | 일체중생이 두려움 없게 하려는 것이며, |
發般若波羅蜜究竟心, | 반야바라밀에 구경하는 마음을 내나니 |
발반야바라밀구경심 | |
巧觀一切法無所有故。是為十。 | 일체법이 있을 것이 없음을 |
교관일체법 무소유고 시위십 | 잘 살피려는 것이라. 이것이 그 열이며, |
若諸菩薩安住此心,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마음에 안주한다면 |
약제보살 안주차심 | |
疾得成就普賢善巧智。 | 보현의 선교한 지혜를 |
질득성취보현선교지 | 속히 성취하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普賢行法。何等為十? | 열 가지 보현행법이 있는데 |
유십종보현행법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願住未來一切劫普賢行法; | 소위 미래의 모든 겁에 |
소위 원주미래일체겁보현행법 | 머물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供養恭敬未來一切佛普賢行法; | 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고 |
원공양공경본래일체불보현행법 | 공경하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安置一切眾生於普賢菩薩行普賢行法; | 일체중생을 보현보살의 행에 |
원안치일체중생 어보현보살행보현행법 | 안치하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積集一切善根普賢行法; | 모든 선근 모으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원적집일체선근보현행법 | |
願入一切波羅蜜普賢行法; | 모든 바라밀에 |
원입일체바라밀보현행법 | 들어가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滿足一切菩薩行普賢行法; | 모든 보살행을 |
원만족일체보살행보현행법 | 만족히 하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莊嚴一切世界普賢行法; | 일체세계를 |
원장엄일체세계보현행법 | 장엄하기 원하는 보현행법, |
願生一切佛剎普賢行法; | 모든 부처님 세계에 |
원생일체불찰보현행법 | 태어나기를 원하는 보현행법, |
願善觀察一切法普賢行法; | 일체법을 잘 관찰하기 원하는 보현행법, |
원선관찰일체법보현행법 | |
願於一切佛國土 | 모든 불국토에서 |
원어일체불국토 | |
成無上菩提普賢行法。是為十。 | 무상보리 이루기를 원하는 |
성무상보리보현행법 시위십 | 보현행법이니,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勤修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근수차법 | 이 법을 힘써 닦는다면 |
疾得滿足普賢行願。 | 보현의 행원을 |
질득만족보현행원 | 속히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以十種觀眾生而起大悲。 | 열 가지로 중생을 관찰하고 |
이십종관중생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觀察眾生無依無怙而起大悲; | 소위 중생이 의지하고 믿을 데가 |
소위 관찰중생 무의무호 이기대비 | 없는 것을 관찰하고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性不調順而起大悲; | 중생의 성품이 유순하지 못함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성부조순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貧無善根而起大悲; | 중생이 빈곤하고 선근이 없음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탐무선근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長夜睡眠而起大悲; | 중생이 긴 잠에 빠진 것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장야수면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行不善法而起大悲; | 중생이 불선한 법을 행하는 것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행불선법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欲縛所縛而起大悲; | 중생이 욕심에 사로잡힌 것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욕박소박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沒生死海而起大悲; | 중생이 생사의 바다에 빠진 것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몰생사해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長嬰疾苦而起大悲; | 중생이 병고에 오래 갇혀 있음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장영질고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無善法欲而起大悲; | 중생이 선한 법에 의욕이 없음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무선법욕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며, |
觀察眾生失諸佛法而起大悲。 | 중생이 불법을 잃어버린 것을 관찰하고 |
관찰중생 실제불법 이기대비 | 대비를 일으키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菩薩恒以此心觀察眾生。 | 보살은 항상 이런 마음으로 |
보살항이차심 관찰중생 | 중생을 관찰하느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發菩提心因緣。何等為十? | 열 가지 보리심을 내는 인연이 있으니, |
유십종발보리심인연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為教化調伏一切眾生故, | 소위 일체중생을 교화하고 |
소위 위교화조복일체중생고 | 조복시키기 위해 |
發菩提心; | 보리심을 내며, |
발보리심 | |
為除滅一切眾生苦聚故,發菩提心; | 일체중생의 고통 덩어리를 |
위제멸일체중생고취고 발보리심 | 제멸하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與一切眾生具足安樂故,發菩提心; | 일체중생에게 구족한 안락을 |
위여일체중생 구족안락고 발보리심 | 주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斷一切眾生愚癡故,發菩提心; | 일체중생의 어리석음을 |
위단일체중생우치고 발보리심 | 끊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與一切眾生佛智故,發菩提心; | 일체중생에게 부처님 지혜를 |
위여일체중생불지고 발보리심 | 주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恭敬供養一切諸佛故,發菩提心; | 일체제불을 공경하고 |
위공경공양일체제불고 발보리심 | 공양하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隨如來教,令佛歡喜故,發菩提心; | 여래의 가르침에 따라 부처님을 |
위수여래교 영불환희고 발보리심 | 기쁘게 하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見一切佛色身相好故,發菩提心; | 모든 부처님 색신의 상호를 |
위견일체불 색신상호고 발보리심 | 보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入一切佛廣大智慧故,發菩提心; | 모든 부처님의 광대한 지혜에 |
위입일체불 광대지혜고 발보리심 | 들어가기 위해 보리심을 내며, |
為顯現諸佛力、無所畏故,發菩提心。 | 부처님의 십력과 무소외를 |
위현현제불력 무소외고 발보리심 | 나타내기 위해 보리심을 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佛子!若菩薩發無上菩提心, | 불자여, 만일 보살이 |
불자 약보살발무상보리심 | 위없는 보리심을 내고 |
為悟入一切智智故, | 일체지지에 깨달아 들어가기 위해 |
위오입일체지지고 | |
親近供養善知識時,應起十種心。 | 선지식을 친근하고 공양할 때 |
친근공양선지식시 응기십종심 | 열 가지 마음을 일으키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起給侍心、歡喜心、無違心、 | 소위 시중들려는 마음, 기쁜 마음, |
소위 기급시심 환희심 무위심 | 어긋남이 없으려는 마음, |
隨順心、無異求心、 | 수순하는 마음, |
수순심 무이구심 | 다른 것을 구하지 않는 마음, |
一向心、同善根心、同願心、如來心、 | 한결 같은 마음, 선근이 같은 마음, |
일향심 동선근심 동원심 여래심 | 원이 같은 마음, 여래의 마음, |
同圓滿行心。是為十。 | 원만한 행이 같은 마음이니 |
동원만행심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佛子!若菩薩摩訶薩起如是心, | 불자여, 보살마하살이 |
불자 보살마하살 기여시심 | 이러한 마음을 일으키면 |
則得十種清淨。何等為十? | 열 가지로 청정해지는데, |
즉득십종청정 하등위십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所謂:深心清淨, | 소위 깊은 마음이 청정하니 |
소위 심심청정 | |
到於究竟無失壞故; | 구경에 이르도록 |
도어구경무실괴고 | 무너지는 일이 없기 때문이요, |
色身清淨,隨其所宜為示現故; | 색신이 청정하니 |
색신청정 수기소의 위시현고 | 마땅하게 나타내 보이기 때문이며, |
音聲清淨,了達一切諸語言故; | 음성이 청정하니 |
음성청정 요달일체 제어언고 | 모든 언어에 통달했기 때문이며, |
辯才清淨,善說無邊諸佛法故; | 변재가 청정하니 |
변재청정 선설무변 제불법고 | 가이없는 불법을 잘 설하기 때문이며, |
智慧清淨,捨離一切愚癡暗故; | 지혜가 청정하니 |
지혜청정 사리일체 우치암고 | 모든 어리석음을 여의었기 때문이며, |
受生清淨,具足菩薩自在力故; | 태어남이 청정하니 |
수생청정 구족보살 자재력고 | 보살의 자재한 힘이 구족하기 때문이며, |
眷屬清淨, | 권속이 청정하니 |
권속청정 | |
成就過去同行眾生諸善根故; | 과거에 함께 수행한 모든 중생의 |
성취과거 동행중생 제선근고 | 선근을 성취시키기 때문이며, |
果報清淨,除滅一切諸業障故; | 과보가 청정하니 |
과보청정 제멸일체제업장고 | 모든 업장이 소멸했기 때문이며, |
大願清淨,與諸菩薩性無二故; | 대원이 청정하니 |
대원청정 여제보살 성무이고 | 모든 보살들과 성품이 둘이 없기 때문이며, |
諸行清淨,以普賢乘而出離故。 | 모든 행이 청정하니 |
제행청정 이보현승 이출리고 | 보현의 수레를 타고 출리하기 때문이니, |
是為十。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波羅蜜。 |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바라밀 | 열 가지 바라밀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施波羅蜜,悉捨一切諸所有故; | 소위 보시(布施)바라밀이니 |
소위 시바라밀 실사일체제소유고 | 가진 모든 것을 다 버리려는 것이요, |
戒波羅蜜,淨佛戒故; | 지계(持戒)바라밀이니 |
계바라밀 정불계고 | 부처님의 계율을 청정히 하려는 것이며, |
忍波羅蜜,住佛忍故; | 인욕(忍辱)바라밀이니 |
인바라밀 주불인고 | 부처님의 인욕에 머물기 때문이며, |
精進波羅蜜,一切所作不退轉故; | 정진(精進)바라밀이니 |
정진바라밀 일체소작 불퇴전고 | 모든 일에서 물러서지 않으려는 것이며, |
禪波羅蜜,念一境故; | 선정(禪定)바라밀이니 |
선바라밀 염일경고 | 하나의 경계를 생각하려는 것이며, |
般若波羅蜜,如實觀察一切法故; | 반야(般若)바라밀이니 |
반야바라밀 여실관찰 일체법고 | 일체법을 여실히 관찰하려는 것이며, |
智波羅蜜,入佛力故; | 지혜(智慧)바라밀이니 |
지바라밀 입불력고 | 부처님의 십력에 들어가려는 것이며, |
願波羅蜜,滿足普賢諸大願故; | 원(願)바라밀이니 |
원바라밀 만족보현제대원고 | 보현의 모든 대원을 만족히 하려는 것이며, |
神通波羅蜜,示現一切自在用故; | 신통(神通)바라밀이니 |
신통바라밀 시현일체자재용고 | 일체의 자재한 작용을 보여주려는 것이며, |
法波羅蜜,普入一切諸佛法故。 | 법(法)바라밀이니 |
법바라밀 보입일체제불법고 | 모든 불법에 두루 들어가려는 것이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具足如來無上大智波羅蜜。 | 곧 여래의 위없는 대지혜의 바라밀을 |
즉득구족여래무상대지바라밀 | 구족하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智隨覺。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지수각 | 열 가지 지혜로 좇는 깨달음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一切世界無量差別智隨覺; | 소위 일체세계의 한량없이 차별함을 |
소위 일체세계 무량차별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眾生界不可思議智隨覺; | 일체 중생계의 부사의한 것들을 |
일체중생계 불가사의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諸法一入種種 種種入一智隨覺; | 모든 법이 하나가 여럿에 들어가고 |
일체제법 일입종종 종종입일지수각 | 여럿이 하나에 들어감을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法界廣大智隨覺; | 일체 법계의 광대함을 |
일체법계 광대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虛空界究竟智隨覺; | 일체 허공계의 구경까지 |
일체허공계 구경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世界入過去世智隨覺; | 일체 세계가 과거세에 들어감을 |
일체세계 입과거세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世界入未來世智隨覺; | 일체 세계가 미래세에 들어감을 |
일체세계 입미래세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世界入現在世智隨覺; | 일체 세계가 현재세에 들어감을 |
일체세계 입현재세지수각 |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一切如來無量行願 | 일체 여래의 한량없는 행원이 |
일체여래 무량행원 | |
皆於一智而得圓滿智隨覺; | 모두 하나의 지혜에서 |
개어일지 이득원만지수각 | 원만해짐을 지혜로 좇는 깨달음, |
三世諸佛皆同一行 | 삼세제불이 동일한 행으로 |
삼세제불 개동일행 | |
而得出離智隨覺。是為十。 | 출리를 얻으신 것을 지혜로 좇는 깨달음이니, |
이득출리지수각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
則得一切法自在光明,所願皆滿, | 곧 일체법에 자재한 광명을 얻고 |
즉득일체법 자재광명 소원개만 | 소원을 다 만족하여 |
於一念頃悉能解了一切佛法成等正覺。 | 한 순간에 모든 불법을 능히 알아서 |
어일념경 실능해료일체불법 성등정각 | 등정각을 이루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證知。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약보살마하살 유십종증지 | 열 가지로 증득해 아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知一切法一相; | 소위 일체법이 한 모양임을 알고, |
소위 지일체법일상 | |
知一切法無量相;知一切法在一念; | 일체법이 한량없는 모양임을 알며, |
지일체법무량상 지일체법재일념 | 일체법이 한 생각에 있음을 알며, |
知一切眾生心行無礙; | 일체중생의 심행이 |
지일체중생 심행무애 | 장애가 없음을 알며, |
知一切眾生諸根平等; | 일체중생의 여러 근기가 |
지일체중생 제근평등 | 평등함을 알며, |
知一切眾生煩惱習氣行; | 일체중생의 번뇌와 습기의 행을 알며, |
지일체중생 번뇌습기행 | |
知一切眾生心使行; | 일체중생의 마음이 시키는 행을 알며, |
지일체중생 심사행 | |
知一切眾生善、不善行; | 일체중생의 선하고 불선한 행을 알며, |
지일체중생 선 불선행 | |
知一切菩薩願行自在住持變化; | 모든 보살의 원과 행이 |
지일체보살 원행자재 주지변화 | 자재히 머물거나 변화하는 것들을 알며, |
知一切如來具足十力成等正覺。 | 일체 여래가 십력을 구족하시고 |
지일체여래 구족십력 성등정각 | 정등각을 이루신 것을 아나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一切法善巧方便。 | 곧 일체법에 선교한 방편을 얻을 것이니라. |
즉득일체법 선교방편 |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力。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력 | 열 가지 능력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入一切法自性力; | 소위 일체법의 자성에 |
소위 입일체법자성력 | 들어가는 능력, |
入一切法如化力; | 일체법이 변화와 같다는 데에 |
입일체법여화력 | 들어가는 능력, |
入一切法如幻力; | 일체법이 허깨비와 같다는 데에 |
입일체법여환력 | 들어가는 능력, |
入一切法皆是佛法力; | 일체법이 모두 불법이라는 데에 |
입일체법 개시불법력 | 들어가는 능력, |
於一切法無染著力;於一切法甚明解力; | 일체법에 물들지 않는 능력, |
어일체법 무염착력 어일체법 심명해력 | 일체법을 매우 밝게 아는 능력, |
於一切善知識恒不捨離尊重心力; | 모든 선지식을 항상 떠나지 않고 |
어일체선지식 항불사리 존중심력 | 존중하는 마음의 능력, |
令一切善根順至無上智王力; | 모든 선근을 위없는 지혜왕에 |
영일체선근 순지무상지왕력 | 수순하여 이르게 하는 능력, |
於一切佛法深信不謗力; | 모든 불법을 깊이 믿어서 |
어일체불법 심신불방력 | 비방하지 않는 능력, |
令一切智心不退善巧力。是為十。 | 일체지의 마음이 퇴전치 않게 하는 |
영일체지심 불퇴선교력 시위십 | 선교한 능력이니,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
則具如來無上諸力。 | 곧 여래의 위없는 여러 능력을 |
즉구여래무상제력 | 갖추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平等。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평등 | 열 가지 평등함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於一切眾生平等、一切法平等、 | 소위 일체중생에 평등함, |
소위 어일체중생평등 일체법평등 | 일체법에 평등함, |
一切剎平等、一切深心平等、 | 일체 세계에 평등함, |
일체찰평등 일체심심평등 | 모든 깊은 마음에 평등함, |
一切善根平等、一切菩薩平等、 | 모든 선근에 평등함, |
일체선근평등 일체보살평등 | 모든 보살에 평등함, |
一切願平等、一切波羅蜜平等、 | 모든 원(願)에 평등함, |
일체원평등 일체바라밀평등 | 모든 바라밀에 평등함, |
一切行平等、一切佛平等。 | 모든 행에 평등함, |
일체행평등 일체불평등 | 모든 부처님께 평등함이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一切諸佛無上平等法。 | 곧 일체제불의 |
즉득일체제불 무상평등법 | 위없이 평등한 법을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佛法實義句。何等為十? | 열 가지 불법의 진실한 뜻구절[義句]이 |
유십종불법실의구 하등위십 | 있는데,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一切法但有名; | 소위 일체법이란 단지 이름일 뿐이다, |
소위 일체법단유명 | |
一切法猶如幻;一切法猶如影; | 일체법이 허깨비와 같다, |
일체법유여환 일체법유여영 | 일체법이 그림자와 같다, |
一切法但緣起;一切法業清淨; | 일체법이 단지 연기(緣起)일 뿐이다, |
일체법단연기 일체법업청정 | 일체법은 업이 청정하다, |
一切法但文字所作;一切法實際; | 일체법이 다만 문자로 지어진 것이다, |
일체법 단문자소작 일체법실제 | 일체법은 사실적 경계이다, |
一切法無相;一切法第一義; | 일체법은 모양이 없다, |
일체법 무상 일체법 제일의 | 일체법이 제일가는 이치이다, |
一切法法界。是為十。 | 일체법이 법계이다는 것이니, |
일체법 법계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
則善入一切智智無上真實義。 | 곧 일체지지의 위없이 진실한 이치에 |
즉선입일체지지 무상진실의 | 들어가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說十種法。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설십종법 | 열 가지 법을 설하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說甚深法;說廣大法; | 소위 심히 깊은 법을 설하고, |
소위설심심법 설광대법 | 광대한 법을 설하고, |
說種種法;說一切智法; | 갖가지 법을 설하고, |
설종종법 설일체지법 | 일체지의 법을 설하고, |
說隨順波羅蜜法; | 바라밀에 수순하는 법을 설하고, |
설수순바라밀법 | |
說出生如來力法;說三世相應法; | 여래의 힘을 출생시키는 법을 설하고, |
설출생여래력법 설삼세상응법 | 삼세에 상응하는 법을 설하고, |
說令菩薩不退法;說讚歎佛功德法; | 보살을 퇴전치 않게 하는 법을 설하고, |
설령보살불퇴법 설찬탄불공덕법 | 부처님 공덕을 찬탄하는 법을 설하고, |
說一切菩薩學一切佛平等、 | 일체의 보살이 |
설일체보살 학일체불평등 | 모든 부처님의 평등을 배워서 |
一切如來境界相應法。是為十。 | 일체 여래의 경계에 상응하는 법을 설하니, |
일체여래경계상응법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
則得如來無上巧說法。 | 곧 여래의 더없이 선교하게 설하는 법을 |
즉득여래 무상교설법 | 얻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持。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지 | 열 가지 지니는 것[持]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持所集一切福德善根; | 소위 모아 놓은 일체의 복덕과 |
소위지소집 일체복덕선근 | 선근을 지니고, |
持一切如來所說法; | 일체의 여래가 설하신 법을 지니고, |
지일체여래소설법 | |
持一切譬諭;持一切法理趣門; | 모든 비유를 지니고, |
지일체비유 지일체법이취문 | 일체법의 이치로 나아갈 문을 지니고, |
持一切出生陀羅尼門;持一切除疑惑法; | 모든 다라니를 출생시키는 문을 지니고, |
지일체출생다라니문 지일체제의혹법 | 모든 의혹을 없애는 법을 지니고, |
持成就一切菩薩法; | 모든 보살을 성취시키는 법을 지니고, |
지성취일체보살법 | |
持一切如來所說平等三昧門; | 일체 여래가 말씀하신 |
지일체여래소설 평등삼매문 | 평등한 삼매문을 지니고, |
持一切法照明門; | 일체법을 밝게 비추는 문을 지니고, |
지일체법조명문 | |
持一切諸佛神通遊戲力。是為十。 | 일체제불의 신통에 유희하는 능력을 지니니, |
지일체제불 신통유희력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
則得如來無上大智住持力。 | 곧 여래의 위없는 대지혜에 |
즉득여래무상대지주지력 | 머물러 지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辯才。 | 불자여,보살마하살에게는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변재 | 열 가지 변재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於一切法無分別辯才; | 소위 일체법에 분별함이 없는 변재, |
소위 어일체법 무분별변재 | |
於一切法無所作辯才; | 일체법에 짓는 바가 없는 변재, |
어일체법 무소작변재 | |
於一切法無所著辯才; | 일체법에 집착하는 바가 없는 변재, |
어일체법 무소착변재 | |
於一切法了達空辯才; | 일체법에서 공(空)에 요달한 변재, |
어일체법 요달공변재 | |
於一切法無疑暗辯才; | 일체법에 의혹의 어둠이 없는 변재, |
어일체법 무의암변재 | |
於一切法佛加被辯才; | 일체법에 부처님이 가피하시는 변재, |
어일체법 불가피변재 | |
於一切法自覺悟辯才; | 일체법에 스스로 깨닫는 변재, |
어일체법 자각오변재 | |
於一切法文句差別善巧辯才; | 일체법의 차별한 문구에 선교한 변재, |
어일체법 문구차별 선교변재 | |
於一切法真實說辯才; | 일체법을 진실하게 설하는 변재, |
어일체법 진실설변재 | |
隨一切眾生心令歡喜辯才。 | 일체중생의 마음에 따라 |
수일체중생심 영환희변재 | 기쁘게 하는 변재이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如來無上巧妙辯才。 | 곧 여래의 위없이 교묘한 |
즉득여래무상교묘변재 | 변재를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自在。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자재 | 열 가지 자재함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教化調伏一切眾生自在; | 소위 일체중생을 |
소위 교화조복일체중생자재 | 교화하고 조복하는 자재, |
普照一切法自在;修一切善根行自在; | 일체법을 두루 비추는 자재, |
보조일체법자재 수일체선근행자재 | 모든 선근을 수행하는 자재, |
廣大智自在;無所依戒自在; | 광대한 지혜의 자재, |
광대지자재 무소의계자재 | 의지하는 데 없는 계율의 자재, |
一切善根迴向菩提自在; | 모든 선근으로 |
일체선근회향보리자재 | 보리에 회향하는 자재, |
精進不退轉自在; | 정진하는 일에 퇴전치 않는 자재, |
정진불퇴전자재 | |
智慧摧破一切眾魔自在; | 지혜로 모든 마군을 |
지혜최파 일체중마자재 | 꺽어 부수는 자재, |
隨所樂欲令發菩提心自在; | 즐기는 욕망에 따라 |
수소락욕영발보리심자재 | 보리심을 내게 하는 자재, |
隨所應化現成正覺自在。 | 교화에 응하는 바에 따라 |
수소응화현성정각자재 | 정각을 이루는 자재이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如來無上大智自在。 | 곧 여래의 위없는 대지혜의 |
즉득여래무상대지자재 | 자재함을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無著。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무착 | 열 가지 집착이 없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
하등위십 | |
所謂:於一切世界無著; | 소위 일체세계에 집착이 없고, |
소위 어일체세계무착 | |
於一切眾生無著;於一切法無著; | 일체중생에게 집착이 없고, |
어일체중생무착 어일체법무착 | 일체법에 집착이 없고, |
於一切所作無著;於一切善根無著; | 짓는 모든 일에 집착이 없고, |
어일체소작무착 어일체선근무착 | 일체의 선근에 집착이 없고, |
於一切受生處無著; | 일체의 태어나는 곳에 집착이 없고, |
어일체수생처무착 | |
於一切願無著;於一切行無著; | 일체의 원에 집착이 없고, |
어일체원무착 어일체행무착 | 일체의 행에 집착이 없고, |
於一切菩薩無著;於一切佛無著。 | 모든 보살에 집착이 없고, |
어일체보살무착 어일체불무착 | 모든 부처님께 집착이 없나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能速轉一切眾想,得無上清淨智慧。 | 모든 생각을 속히 바꿔서 |
즉능속전일체중상 득무상청정지혜 | 더없이 청정한 지혜를 얻을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平等心。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평등심 | 열 가지 평등한 마음이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積集一切功德平等心; | 소위 모든 공덕을 모으는 평등한 마음, |
소위 적집일체공덕평등심 | |
發一切差別願平等心; | 일체의 차별한 원을 세우는 평등한 마음, |
발일체차별원평등심 | |
於一切眾生身平等心; | 일체중생의 몸에 평등한 마음, |
어일체중생신평등심 | |
於一切眾生業報平等心; | 일체중생의 업보에 평등한 마음, |
어일체중생업보평등심 | |
於一切法平等心; | 일체법에 평등한 마음, |
어일체법평등심 | |
於一切淨穢國土平等心; | 모든 깨끗하고 더러운 국토에 |
어일체정예국토평등심 | 평등한 마음, |
於一切眾生解平等心; | 일체중생의 이해에 평등한 마음, |
어일체중생해평등심 | |
於一切行無所分別平等心; | 모든 행에 분별하는 일이 없는 |
어일체행무소분별평등심 | 평등한 마음, |
於一切佛力無畏平等心; | 모든 부처님의 십력과 무소외에 |
어일체불 력 무외 평등심 | 평등한 마음, |
於一切如來智慧平等心。是為十。 | 일체 여래의 지혜에 평등한 마음이니 |
어일체여래 지혜평등심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其中, | 만일 모든 보살이 그 안에 안주하면 |
약제보살 안주기중 | |
則得如來無上大平等心。 | 곧 여래의 더없이 큰 평등심을 |
즉득여래무상대평등심 | 얻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 |
有十種出生智慧。何等為十? | 열 가지로 생겨나는 지혜가 있는데 |
유십종출생지혜 하등위십 | 무엇이 열 가지인가? |
所謂:知一切眾生解出生智慧; | 소위 일체중생의 이해를 알아 |
소위 지일체중생해 출생지혜 | 생겨나는 지혜, |
知一切佛剎種種差別出生智慧; | 모든 부처님 세계의 |
지일체불찰 종종차별 출생지혜 | 갖가지 차별을 알아 생겨나는 지혜, |
知十方網分齊出生智慧; | 시방 세계망의 구분을 알아 |
지시방망분제 출생지혜 | 생겨나는 지혜, |
知覆仰等一切世界出生智慧; | 아래로 향하거나 위로 향한 |
지부앙등 일체세계 출생지혜 | 일체세계를 알아 생겨나는 지혜, |
知一切法一性、種種性廣大住出生智慧; | 일체법이 한 성품이나 갖가지 성품으로 |
지일체법 일성 종종성 광대주 출생지혜 | 광대히 머무는 것을 알아 생겨나는 지혜, |
知一切種種身出生智慧; | 갖가지의 모든 몸을 알아 |
지일체종종신 출생지혜 | 생겨나는 지혜, |
知一切世間顛倒妄想 | 일체세간의 전도망상이 |
지일체세간 전도망상 | |
悉無所著出生智慧; | 다 집착할 곳이 없음을 알아 |
실무소착 출생지혜 | 생겨나는 지혜, |
知一切法究竟皆以一道出離出生智慧; | 일체법이 구경에 다 하나의 길로 |
지일체법구경 개이일도출리 출생지혜 | 출리함을 알아 생겨나는 지혜, |
知如來神力能入一切法界出生智慧; | 여래의 신통력이 능히 일체법계에 |
지여래신력 능입일체법계 출생지혜 | 들어감을 알아 생겨나는 지혜, |
知三世一切眾生佛種不斷出生智慧。 | 삼세의 일체중생이 부처 종자를 |
지삼세일체중생 불종부단 출생지혜 | 끊지 않는 줄을 알아 생겨나는 지혜니, |
是為十。若諸菩薩安住此法, | 이것이 열이니라. |
시위십 약제보살 안주차법 | 만일 모든 보살이 이 법에 안주하면 |
則於諸法無不了達。 | 곧 모든 법에 요달치 못함이 없느니라. |
즉어제법 무불요달 |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變化。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변화 | 열 가지 변화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一切眾生變化;一切身變化; | 소위 일체중생의 변화, |
소위 일체중생변화 일체신변화 | 모든 몸의 변화, |
一切剎變化;一切供養變化; | 일체 세계의 변화, |
일체찰변화 일체공양변화 | 모든 공양의 변화, |
一切音聲變化;一切行願變化; | 모든 음성의 변화, |
일체음성변화 일체행원변화 | 모든 행원의 변화, |
一切教化調伏眾生變化; | 중생을 교화하고 |
일체교화조복중생변화 | 조복시키는 모든 변화, |
一切成正覺變化;一切說法變化; | 정각을 이루는 모든 변화, |
일체성정각변화 일체설법변화 | 설법하는 모든 변화, |
一切加持變化。是為十。 | 가지(加持)의 모든 변화이니, |
일체가지변화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하면 |
則得具足一切無上變化法。 | 곧 일체의 위없는 변화법을 |
즉득구족일체무상변화법 | 구족하게 될 것이니라. |
「佛子!菩薩摩訶薩有十種力持。 | 불자여, 보살마하살은 |
불자 보살마하살 유십종력지 | 열 가지 역지(力持)가 있는데, |
何等為十? | 무엇이 그 열 가지인가 하면 |
하등위십 | |
所謂:佛力持;法力持; | 소위 부처님의 역지, |
소위 불력지 법력지 | 법(法)의 역지, |
眾生力持;業力持;行力持; | 중생의 역지, 업(業)의 역지, |
중생력지 업력지 행력지 | 행(行)의 역지, |
願力持;境界力持;時力持; | 원(願)의 역지, 경계의 역지, |
원력지 경계력지 시력지 | 때[時]의 역지, |
善力持;智力持。是為十。 | 선(善)의 역지, 지혜의 역지이니, |
선력지 지력지 시위십 | 이것이 열이니라. |
若諸菩薩安住此法, | 만일 모든 보살이 |
약제보살 안주차법 | 이 법에 안주한다면 |
則於一切法得無上自在力持。 | 일체법에 더없는 자재한 |
즉어일체법 득무상자재력지 | 역지를 얻게 될 것이니라." |
大方廣佛華嚴經卷第五十三 | |
'大方廣佛華嚴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방광불화엄경 제 55권 (0) | 2016.03.12 |
---|---|
대방광불화엄경 제 54권 (0) | 2016.02.27 |
대방광불화엄경 제 52권 (0) | 2016.02.15 |
대방광불화엄경 제 51권 (0) | 2016.02.02 |
2016년 1월 23일 오전 04:12 (0) | 201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