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칙] 이각어언(離却語言) _언어를 떠나서 |
風穴和尚。因僧問。 語默涉離微。 如何通不犯。 穴云。 長憶江南三月裏。 鷓鴣啼處百花香。 |
풍혈(風穴)화상에게 어느 스님이 물었다. "말을 해도 침묵을 해도 법성(法性)의 체(體)와 용(用)에 걸린다면 어떻게 범하지 않고 통합니까?" 풍혈화상이 말했다. 「강남의 3월을 오래도록 기억하거든 자고(鷓鴣) 우는 곳에 백화(百花)가 향기롭다.」 |
*風穴; 汝州風穴延沼禪師(南院顒禪師法嗣)
*離微; 法性의 體는 모든 相을 여의어 寂滅無餘하니 이를 「離」라 하고,
法性의 用은 微妙不可思議하니 이를 「微」라 한다. 離는 涅槃이요, 微는 般若이다.
「"언어로도 침묵으로도 법성(法性)에 통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 통할 수 있겠습니까?"
"강남(江南)의 봄소식을 오래 탐구하다보면 자고 울고 백화가 피는 좋은 날이 올 것이다."」
無門曰。 風穴機如掣電。 得路便行。 爭奈坐前人舌頭不斷。 若向者裏見得親切。 自有出身之路。 且離却語言三昧。道將一句來。 |
무문(無門)이 이르되, 풍혈(風穴)의 기(機)가 번갯불 번쩍하듯이 길을 찾자마자 나아갔으나, 옛사람의 혀끝에 앉아 끊어내지 못함을 어찌 하겠는가? 그러나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스스로 몸 빠져나갈 길이 있다. 자, 언어삼매[語言三昧*]를 떠나서 한 마디 해 보라. |
*語言三昧; 《法華經》 妙音品의 「解一切眾生語言三昧」에서 유래한 말로서
體言[文法]에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藥王品에서는 「語言陀羅尼」라 표현하셨는데,
이는 用言[敍述]에 나아가는 것이다.
「풍혈이 옛사람의 시귀라도 인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어쩔 수 없었다.[漏逗]
그러나 잘 살펴보면 그 안에 통할 방도가 있으니, 한 번 찾아내 보여라.」
頌曰。 | 게송으로 |
不露風骨句 未語先分付 進步口喃喃 知君大罔措 |
풍골구(風骨句*)를 쓰지 않고서 말에 앞서 이미 분부(分付)했거늘 입으로 나불대기를 계속하다가는 그대가 크게 망조(罔措*)할 줄 알라. |
*風骨; 풍채(風采)와 골격(骨格) 있는 어구.
*罔措; 罔知所措. 매우 급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
'禪宗無門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6칙] 이승권렴(二僧卷簾) _두 스님이 발[簾]을 말아올리다. (0) | 2021.09.25 |
---|---|
[제25칙] 삼좌설법(三座說法) _제3좌로서의 설법 (0) | 2021.09.24 |
[제23칙] 선악(善惡)을 생각하지 말라. (0) | 2021.09.15 |
[제22칙] 가섭의 찰간(迦葉剎竿) (0) | 2021.09.14 |
무문관 제21칙 운문시궐(雲門屎橛) (0) | 202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