禪箴 | 선잠(禪箴;禪要,警戒文) |
循規守矩。無繩自縛。 縱橫無礙。外道魔軍。 存心澄寂。默照邪禪。 恣意忘緣。墮落深坑。 惺惺不昧。帶鎖擔枷。 思善思惡。地獄天堂。 佛見法見。二銕圍山。 念起即覺。弄精魂漢。 兀然習定。鬼家活計。 進則迷理。退則乖宗。 不進不退。有氣死人。 |
규범을 쫓아 준수하는 것은 오랏줄 없는데 스스로 얽매이는 것이요, 종횡으로 거침이 없으면 외도마군(外道魔軍)이며, 마음을 두어 고요히 하면 묵조사선(默照邪禪*)이고, 뜻대로 맡겨서 인연을 잊는 것은 깊은 구렁텅이에 떨어지는 것이요, 또렷하여 어둡지 않음은 쇠고랑 차고 칼을 메는 것이며, 선(善)을 생각하고 악(惡)을 생각함은 지옥과 천당이요, 불견(佛見*)과 법견(法見*)은 두 개의 철위산(銕圍山)이며, 망념이 일자 곧 깨달으면 농정귀(弄精魂*) 같은 놈이요, 올연(兀然)히 정(定)을 익히는 것은 귀신 집에서 살궁리하는 것이며, 나아간 즉 이치를 미혹하고, 물러선 즉 종취(宗趣)에 어긋나는 것이며, 나아가지도 물러서지도 않으면 기가 죽은 사람이다. |
且道如何履踐。 努力今生須了却。 莫教永劫受餘殃。 |
자 말해보라. 어떻게 실천해야 하겠는가? 노력하여 금생에 반드시 마쳐버려서 영겁(永劫)토록 남겨진 재앙을 받게 하지 말지어다. |
*默照邪禪; 默照禪은 宋代 曹洞宗의 宏智正覺禪師가 주창한 禪風이다.
默은 沈默하며 오롯이 坐禪만 하는 것이고, 照는 지혜로 본래 청정한 영(靈)을 관조하여
心性을 아는 것이니, 實相이 곧 無相의 相이요, 真心이 곧 無心의 마음이며,
真得이 곧 無得의 得이요, 真用이 곧 無用의 用임을 바르게 깨달아 아는 것이므로
「앉아서 텅 비운채 사려를 다함(坐空塵慮)」으로써 默然한 靜照를 가져온다고 주장하면서
꼼짝않고 坐定하여 大悟를 기약하지도 않고, 오로지 얻을 바도 없고 깨달을 것도 없다는 태도로
坐禪만 해왔다. 이 禪風을 동시대 임제종의 大慧宗杲선사가 맹렬히 비난하여
그 禪法은 묵조의 요사한 禪[默照邪禪], 또는 일 없는 선[無事禪],
枯木이나 불기 없는 재 같은 禪이라고 폄하했다.
*佛見; ①부처에 대해 집착된 견해 ②부처의 바른 知見
*法見; 하나의 법에 집착하여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고 하는 견해.
*弄精魂漢; 쓸데없이 精神과 心思를 낭비하는 놈.
黃龍三關 | 황룡삼관(黃龍三關) _황룡(黃龍*)선사의 세 관문 |
*黃龍; 隆興府黃龍慧南禪師(石霜楚圓 法嗣)
我手何似佛手。 摸得枕頭背後。 不覺大笑呵呵。 元來通身是手。 |
내 손이 왜 부처님 손[佛手] 같은가? 베개 밑을 더듬어 얻으라니, 나도 모르게 큰 소리로 하하 웃노라. 원래 온몸이 손이라네. |
我脚何似驢脚。 未舉步時踏著。 一任四海橫行。 倒跨楊岐三脚。 |
내 다리가 왜 나귀 다리[驢腳] 같은가? 발걸음 내딛기도 전에 밟았다니, 사해(四海)를 횡행(橫行)하도록 맡겨 두겠지만 양기삼각(楊岐三脚*)을 거꾸로 걸터 앉았구나. |
人人有箇生緣。 各各透徹機先。 那吒折骨還父。 五祖豈藉爺緣。 佛手驢脚生緣。 非佛非道非禪。 莫怪無門關險。 結盡衲子深冤。 |
사람 사람마다 생연(生緣)이 있다. 저마다 기선(機先)을 투철히 하여 나타(那吒*)도 뼈를 잘라서 부친에게 돌려드렸거늘, 오조(五祖)가 어찌 아비의 연을 짓밟았으리오? 부처 손[佛手]과 나귀 다리[驢脚]와 생연(生緣)은 부처도 아니고 도(道)도 아니고 선(禪)도 아니니, 무문관(無門關)이 험(險)함을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온 납자(衲子)들과 깊은 원수를 맺을 것이다. |
瑞巖近日有無門 掇向繩床判古今 凡聖路頭俱截斷 幾多蟠蟄起雷音 |
서암사(瑞巖寺)에 요사이 무문(無門)이 있기에 승상(繩床;法坐)을 훔쳐다가 고금(古今)을 판결하여 범(凡)과 성(聖)의 길목이 다 절단되었으니 얼마나 많은 반칩(蟠蟄*)들이 괴성을 지르겠습니까? |
請無門首座。立僧山偈奉謝。 紹定庚寅季春無量(宗壽)書。 |
무문수좌께 청하여 소승이 산게(山偈*)를 지어 감사 올립니다. 소정(紹定) 경인년 늦은 봄에 무량(無量;宗壽*)이 씀. |
*楊岐三脚; 臨濟宗 楊岐派의 開祖인 楊岐方會禪師(石霜楚圓의 法嗣)는
「어떤 스님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하고 묻자,
"다리 셋 달린[三脚] 나귀가 엇박자로 뛰는 것이다."고 하였다.
(問。如何是佛。師曰。三脚驢子弄蹄行。)」
*那吒; 那吒太子(Nalakūvara). 佛法을 護持하고 國界와 國王을 守護하는 善神으로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多聞天王)의 다섯 太子 중 하나이다.
那吒는 일찍이 살점을 떼어 모친에게, 뼈를 잘라 부친에게 돌려드렸는데,
후에 본래의 몸으로 돌아왔고 대신통을 굴려 부모에게 설법하였다 한다.
*蟠蟄; 칩거(蟄居), 은거(隱居), 은거한 수행인.
*山偈; 스님들이 읊조리는 게송.
*宗壽; 南宋 臨濟宗 大慧派僧 無量壽禪師(秀巖師瑞의 法嗣).
明州(浙江鄞縣) 瑞巖寺 住持. 〈入眾日用清規〉를 저술하였다.
跋 | 발문(跋文*) |
達磨西來。不執文字。 直指人心。見性成佛。 說箇直指。已是迂曲。 更言成佛。郎當不少。 既是無門。因甚有關。 老婆心切惡聲流布。 無庵欲贅。一語又成四十九則。 其間些子誵訛。 剔起眉毛薦取。 |
달마가 서래(西來)하여 문자를 의지하지 않고 사람 마음을 직지(直指)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케 하였으니, 이 직지를 말했다 하면 이미 우곡(迂曲)인 것이요, 더욱이 성불을 말한다는 것은 낭당(郎當*)이 적지 않다. 기왕에 문(門)도 없는데 무슨 관(關)이 있으리오만 노파심이 간절하여 몹쓸 말을 퍼트려서 무암(無庵*)이 한 마디 혹 달고 또 49칙을 만들었으니, 그 사이의 조그마한 효와(誵訛;잘못)일지라도 눈썹 치켜세우고 찾아 골라내보라. |
淳祐乙巳夏重刊。 檢校少保寧武軍節度使 京湖安撫制置大使 兼屯田大使兼蘷路策應大使 兼知江陵府漢東郡開國公 食邑二千一百戶食實封陸佰戶 孟珙 跋 |
순우(淳祐*) 을사년(1245) 여름에 중간(重刊)하면서 검교소보(檢校少保*) 영무군절도사(寧武軍節度使) 경호안무제치대사(京湖安撫制置大使), 겸 둔전대사(屯田大使), 겸 기로책응대사(蘷路策應大使), 겸 강릉부(江陵府) 한동군(漢東郡)을 관장하는 개국공(開國公), 식읍(食邑;封地) 2천1백호(戶), 식실(食實) 봉(封) 6백호(戶), 맹공(孟珙*)이 발(跋*)하다. |
*無庵; 李雨堂. 號는 西湖安晚居士.
*淳祐; 南宋 理宗 때의 年號. *郎當; 헐렁헐렁함. 어울리지 않음.
*跋; 책의 말미에 대강(大綱)을 쓰는 것. 발문(跋文).
*檢校少保; 太子의 少師.
*孟珙(1195~1246); 字는 璞玉, 隨州棗陽(지금의 湖北棗陽)사람. 原籍은 絳州(山西新絳).
南宋의 傑出한 軍事家로서 金나라와 蒙古에 대항하여 싸운 名將이다.
無門老禪。作四十八則語。 判斷古德公案。 大似賣油餅。 人令買家開口接了 更吞吐不得。 然雖如是。 安晚欲就渠熱爐熬上。 再打一枚足成大衍之數。 却仍前送似。未知。 老師從何處下牙。 如一口喫得。放光動地。 若猶未。也連見在四十八箇。 都成熱沙去。 速道速道。 |
무문(無門) 노선객이 48칙을 지어 고덕(古德)의 공안을 판단했으니, 기름진 떡을 파는[賣油餅*] 사람이 사는 이의 입을 벌려 밀어넣고 다시 토해 내지 못하게 하는 것과 크게 흡사하다. 비록 그렇다지만 안만(安晚)이 펄펄 끓는 화로 위로 나아가 다시 한 칙을 더해 대연(大衍;50)이란 수(數)를 채우려다가 예전으로(仍前) 돌려보낸듯 한데, 모르겠다. 노사(老師)들께서는 어디서부터 씹으시려오? 한입에 먹어치움과 같다면 광명을 놓고 천지를 흔들겠지만 그렇지 못하겠다면 48칙에 연이어 견(見)을 두고 모두 다 뜨거운 모래[熱沙]를 이루어가야 하리라. 빨리 말해라, 빨리 말해라. |
*賣油餅; '기름진 떡을 팔다'. '떡을 통해 참된 법을 전한 노파'.
덕산스님이 길에서 떡 파는 노파와 금강경 얘기를 나누다가 노파에게 혼줄이 났던
그 "「三世心不可得」이라는데 당신은 어느 마음에 점을 찍으려오?"라는 일화를 인용한 말이다.
第四十九則語 | [제49칙] 본칙(本則) |
經云。止止不須說 我法妙難思。 安晚曰。法從何來。 妙從何有。 說時又作麼生。 豈但豐干饒舌。 元是釋迦多口。 這老子造作妖怪。 令千百代兒孫被葛藤纏倒。 未得頭出。 似這般奇特話靶。 匙挑不上。甑蒸不熟。 有多少錯認底。 傍人問云。畢竟作如何結斷。 安晚合十指爪曰。 止止不須說我法妙難思。 却急去難思兩字上。 打箇小圓相子。指示眾人。 大藏五千卷。維摩不二門。 總在裏許。 |
경(經)에 말씀하시기를, "그만 두어라. 말할 필요 없다. 나의 법은 오묘하여 헤아리기 어려우니라." 하셨는데, 내(安晚)가 "법은 어디서 왔으며, 오묘함은 무엇을 좇아 있던가?"라고 말했을 때는 또 어떻게 할 것인가? 어찌 풍간(豐干*)의 요설(饒舌) 뿐이리오? 원래 이것은 '수다쟁이 석가[釋迦多口]'라는 이 늙은이가 요괴(妖怪)한 말을 지어내서 천백 대(代) 자손들로 하여금 갈등(葛藤)에 휘감겨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 것이거니와, 이렇듯 기괴하고 특이한 얘깃거리(話靶*;話題)는 숟가락으로 떠도 떠지지 않고, 시루에 쪄도 익지 않기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잘못 인식하였던가? 옆 사람이 "필경 어떻게 해야 결단할 수 있는가?" 묻는다면, 나(安晚)는 열 손톱을 모으고서(합장하고) "그만 둡시다. 말할 필요가 없겠소. 나의 법은 묘하여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말하고, 다시 급히 난사(難思)라는 두 자 위로 가서 작은 원 모양[一圓相]을 그리고서 사람들에게 "대장경[大藏] 5천 권과 유마거사의 불이문(不二門)이 다 이 속에 있소."라고 말하리라. |
*豐干; 天台山豐干禪師(應化聖賢). 唐代僧. 시를 잘 지어 한산(寒山), 습득(拾得)과 더불어
國清寺 三隱이라고 불렸다. 깍은 머리, 가즈런한 눈썹에 구멍난 옷을 입었고 신장은 7척 남짓에 달했다.
당초 天台山 國清寺에서 낮에는 용미(舂米;방아찧기)의 직함을 맡고, 밤이면 음영(吟咏)하였다.
말을 잘 못한지라 대개는 미리 써 두었다가 누가 물으면 다만 「隨時」라는 두 자로만 답하고
더는 말하지 않았다 한다.
*饒舌; 多言
*話靶; 話題. 이야깃거리.
頌曰。 | 게송으로 |
語火是燈 掉頭弗譍 惟賊識賊 一問即承 |
불(火)이 등(燈)이다고 말하면 고개를 저으며 응하지 않으려니와, 도적만이 도적을 알아볼 것이니 한 번 물음에 곧 승낙하리라. |
淳祐丙午季夏初吉 安晚居士書于西湖漁莊 舊板磨滅故。 重命工鋟梓畢。 這板置于武藏州兜率山廣園禪寺也。 |
순우(淳祐) 병오년 늦은 여름(유월) 초하루에 안만(安晚)거사가 서호어장(西湖漁莊)에서 씀. 구판(舊板)이 마멸(磨滅)했기 때문에 거듭 공인(工人)에게 명하여 침재(鋟梓*)를 마쳤다. 이 목판은 무장주(武藏州) 도솔산 광원선사(廣園禪寺)에 둔다. |
*鋟梓; 인쇄할 목적으로 나무 판에 글자를 새김.
應永乙酉十月十三日 幹緣比丘 常牧 |
응영(應永) 을유년 10월 13일 간연(幹緣;主管)비구 상목(常牧). |
*應永; 1394~1428 간의 일본 연호이니, 아마도 당해 판본이 그해(1405)에 만들어진 것인듯 하다.
'禪宗無門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문관 제48칙 건봉일로(乾峯一路) _건봉화상의 외길 (0) | 2022.02.14 |
---|---|
무문관 제47칙 도솔삼관(兜率三關) _도솔화상의 세 관문 (0) | 2022.02.07 |
무문관 제46칙 간두진보(竿頭進步) _백척간두에서 나아가기 (0) | 2022.02.06 |
무문관 제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 _그가 누구인가? (0) | 2022.02.04 |
무문관 제44칙 파초주장(芭蕉拄杖) _파초스님의 주장자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