汾陽云。 大意除實問默問難辨。 須識來意。 餘者總有時節。 言說淺深相度祗應。 不得妄生穿鑿。彼此無利益。 雖是善因。而招惡果。 切須子細。 |
분양(汾陽)이 이르되, "대의(大意)는 실문(實問)과 묵문(默問)을 분간하기 어려움을 제하고는 반드시 물어오는 뜻을 알아야 하거니와, 나머지는 모두 시절인연이 있는 것이니, 언설(言說)의 얕고 깊음을 서로 헤아려 공경히 대응하고, 함부로 끌어 붙이지 말라. 피차에 이익이 없거니와, 비록 선인(善因)이었다 해도 악과(惡果)를 초래하리니, 절대 신중히 해야 한다 |
請益 僧問馬祖。如何是佛。 祖云。即心是佛。 趙州云。殿裏底。 |
1) 청익(請益; 請益問) 어떤 중이 마조(馬祖)에게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하니, 마조는 "이 마음이 곧 부처다." 하였다. 조주(趙州)는 "전당 밑바닥[殿裏底*]이다" 착어했다. |
請益問 : 學人이 師家를 향해 직접 指導를 請求하는 問法.
*殿裏底; 外形 안에 있는 根本心. 殿堂底.
呈解 問龍牙。天不能蓋。 地不能載時如何。 牙云。道者合如是。 |
2) 정해(呈解; 呈解問) 용아(龍牙)에게 "하늘이 덮을 수 없고 땅이 실을 수 없을 때는 어떻습니까?" 하고 물으니, 용아는 "도(道)라는 것이 거기에 부합한다." 하였다. |
呈解問 : 學人이 自己의 見解를 밝히고 師家의 指導를 請求하는 問法.
察辨 問臨濟。學人有一問。 在和尚處時如何。 濟云。速道速道。 僧擬議。濟便打。 |
3) 찰변(察辨; 察辨問) 임제(臨濟)에게 "학인(學人)에게 의문이 있는데, 화상의 처소에 있을 때는 어찌합니까?"하고 묻자, 임제가 "빨리 말해라, 빨리 말해라!" 하니, 그 스님이 머뭇거리자, 임제가 곧 후려쳤다. |
察辨問 : 學人이 分辨키 어려운 점에 관하여 師家의 감변(勘辨)을 請하는 問法.
投機 問天皇。 疑情未息時如何。 皇云。守一非真。 |
4) 투기(投機; 投機問) 천황(天皇*)에게 "의정(疑情)이 쉬어지지 않았을 때는 어찌합니까?" 하니, 천황은 "참이 아닌 것에 집념하는구나." 하였다. |
*天皇; 荊州天皇道悟禪師(石頭希遷法嗣; 青原下二世)
投機問 : 學人이 自己의 境界에서 觀照한 바를 提出하고 請示하는 問法.
偏僻 問芭蕉。盡大地是箇眼睛。 乞師指示。 蕉云。貧兒遇餿飯。 |
5) 편벽(偏僻; 偏僻問) 파초(芭蕉*)에게 "온 대지가 눈동자이온데, 선사께서 가르침을 내려주십시요." 하니, 파초는 "가난뱅이가 쉰밥을 만났구나." 하였다. |
*芭蕉; 郢州芭蕉山慧清禪師(仰山慧寂-南塔光涌 法嗣; 南嶽下六世)
偏僻問 : 學人이 한 쪽에 치우친 견해를 세우고서 師家에게 질문하는 法.
心行 問興化。 學人皂白未分。 乞師方便。 化隨聲便打。 |
6) 심행(心行; 心行問) 흥화(興化)에게 "학인이 흑백[是非]을 분간하지 못하겠는지라, 스승께 방편(方便)을 여쭙니다." 하자, 흥화가 그 말이 떨어지자 마자 후려쳤다. |
心行問 : 학인이 기왕 自分의 心을 알고 師家에게 행(行;실천)을 묻는 問法.
探拔 問風穴。不會底人。 為甚麼不疑。 穴云。靈龜行陸地。 爭免曳泥蹤。 |
7) 탐발(探拔; 探拔問) 풍혈(風穴)에게 "그 사람을 알지 못하면서 어째서 의심하지 않습니까?" 하니, 풍혈은 "신령한 거북이 육지를 가는데, 어찌 진흙에 끌린 자취가 없겠느냐?" 하였다. |
探拔問 : 學人이 師家의 見解의 깊이가 어느 정도인지 시험하고자 행하는 問法.
驗主問이라고도 한다.
不會 問玄沙。學人乍入叢林。 乞師指示。 沙云。汝聞偃溪水聲麼。 僧云聞。 沙云。從這裏入。 |
8) 불회(不會; 不會問) 현사(玄沙)에게 "학인이 총림(叢林)에 갓 들어왔으니, 스승께서 지도해 주십시요." 하였는데, 현사가 "너는 언계(偃溪*)의 물소리가 들리느냐?" 하니, "들립니다." 하자, 현사는 "그 속에서부터 들어가거라." 하였다. |
不會問 : 學人이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해 문제를 제출하는 問法.
擎擔 問老宿。世智辨聰。 總不要拈出。 還我話頭來。 宿便打。 |
9) 경담(擎擔; 警擔問) 노숙(老宿)에게 "세간의 지혜로 모든 것을 헤아린 것들은 다 염출(拈出)을 요하지 않거니와, 제게 화두를 던져보시겠습니까?" 하니, 노숙이 곧 후려쳤다. |
*老宿; 德 높은 노선사.
警擔問 : 學人이 그와 상관없는 일을 들춰 물어 그 스승을 우롱하는 問法.
置 問雲門。瞪目不見邊際時如何。 門云鑒。 |
10) 치(置; 置問問) 운문(雲門)에게 "눈을 부릅떠도 끝이 보이지 않을 때는 어찌합니까?" 하니, 운문은 "자세히 보거라[鑒]." 하였다. |
置問問 : 學人이 古人의 問答이나 語句로써 請益하는 問法.
故 問首山。一切眾生。 皆有佛性為甚麼不識。 山云識。 |
11) 고(故; 故問問) 수산(首山)에게 "일체중생이 다 불성(佛性)이 있다는데, 왜 모릅니까?" 하니, 수산은 "안다." 하였다. |
故問問 : 學人이 經論이나 故事로써 請益하는 問法.
借 問風穴。大海有珠。 如何取得。 穴云。罔象到時光燦爛。 離婁行處浪滔天。 |
12) 차(借; 借事問) 풍혈(風穴)에게 "바다에 진주가 있는데, 어떻게 취득하겠습니까?" 하니, 풍혈은 "망상(罔象*)이 왔을 때는 광채가 찬란하고, 이루(離婁*)가 가는 데는 풍랑이 하늘로 솟는다." 하였다. |
*罔象; 象罔. 《莊子》의 古事에 나오는 '無心한 사람'에 비유되는 인물.
*離婁; 傳説에 視力이 특별히 강했다는 사람.
借事問 : 學人이 譬喻나 事例를 들어 請益하는 問法.
實 問三聖。學人只見和尚是僧。 如何是佛是法。 聖云。是佛是法。 汝知之乎。 |
13) 실(實; 實問問) 삼성(三聖)에게 "학인은 화상이 스님인 줄은 알겠는데, 무엇이 부처[佛]이고, 법(法)입니까?" 하니, 삼성은 "이것이 부처고, 이것이 법인 줄은 네가 알기나 하냐?" 하였다. |
實問問 : 學人이 어떤 사실을 가져다가 請益하는 問法.
假 問徑山。這箇是殿裏底。 那箇是佛。 山云。這箇是殿裏底。 |
14) 가(假; 假問問) 경산(徑山)에게 "이것이 전리저(殿裏底*)라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물으니, 경산은 "이것이 전리저(殿裏底)니라." 하였다. |
*殿裏底; 근본심(根本心)에 비유하는 말.
假問問 : 學人이 어떤 假定 하에서 請益하는 問法.
審 問祖師。一切諸法。本來是有。 那箇是無。 答云。汝問甚分明。 何勞更問吾。 |
15) 심(審; 審問問) 조사(祖師)에게 "일체제법이 본래 있거니와, 어떤 것이 없습니까?" 물으니, 답하여 "네 질문이 심히 분명한데, 왜 쓸데없이 또 내게 묻느냐?" 하였다. |
審問問 : 學人이 밝히지 못한 점을 드러내며 請益하는 問法.
徵 問睦州。祖師西來 當為何事。 州云。爾道。為何事。 僧無語。州便打。 |
16) 징(徵; 徵問問) 목주(睦州*)에게 "조사께서 서래(西來)하신 것은 마땅히 무슨 일을 위해서입니까?" 묻자, 목주는 "네가 말해보거라. 무슨 일을 위해서냐?" 하니, 대답을 못하는지라 목주가 후려쳤다. |
*睦州; 睦州陳尊宿(黃檗希運法嗣; 南嶽下四世)
徵問問 : 學人이 힐난하는 태도로 문제를 제기하는 問法.
明 外道問佛。 不問有言無言。 世尊良久。 道云。世尊大慈大悲。 開我迷雲。 令我得入。 |
17) 명(明; 明問問) 외도(外道)가 부처님께 "말씀하실지 안 하실지는 여쭙지 않겠습니다." 하니, 세존께서 묵묵히 계셨다. 이에 외도는 "세존께서 대자대비로 제 미혹의 구름을 걷으시어 저로 하여금 득입(得入)케 하셨나이다." 하였다. |
明問問 : 學人이 이왕 분명히 깨달아 알고 있는 일을 다시 거론하여 묻는 방법.
默 外道到佛處無言而立。 佛云。甚多。 外道道云。世尊大慈大悲。 令我得入。 |
18) 묵(默; 默問問) 외도가 부처님께 와서 말없이 서있자, 부처님께서 "대단하구려[甚多]." 하시니, 외도가 "세존께서는 대자대비로 저로 하여금 득입케 하셨나이다." 하였다. |
默問問 : 學人이 말로 표현하지 않고 동작으로 묻는 방법.
凡有學人偏僻言句。 或蓋覆將來。 辨師家眼目。 或呈知見。擎頭戴角。 一一試之。盡皆打得。 只為當面識破。 或貶或褒。明鏡臨臺。 是何精魅之可現。 何有妖狐能隱本形者也。 |
대체로 학인들은 언구에 치우치거나, 혹은 덮여진 것을 가져다가 사가(師家)의 안목을 헤아리려 하거나, 지견(知見)을 내세우고 머리에 뿔을 세우면서 낱낱이 시험하려 하거니와, 모두 다 내치고 다만 당면하여 식파(識破)하기를 위할지어다. 폄하받거나 칭찬받거나 맑은 거울에 비추어지면 이 무슨 정매(精魅)가 나타날 것이며, 어찌 요사한 여우인들 본 모습을 감출 수 있겠는가? |
'人天眼目'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룡3관(黃龍三關)_황룡선사의 세 관문 (1) | 2022.11.20 |
---|---|
부산구대(浮山九帶) (1) | 2022.11.02 |
분양삼구(汾陽三句) (0) | 2022.10.10 |
분양삼결(汾陽三訣) (0) | 2022.10.10 |
삼종사자(三種師子) (2)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