除夜小參 |
25. 섣달 그믐날 밤의 좌담 |
|
|
一年三百六十日이 |
일 년 삼백육십오 일이 |
看看逗到今宵畢이건만 |
어느덧 오늘 밤에 다 지나가건만 |
十箇有五雙은 |
열에 다섯 쌍은 |
參禪호대 禪又不知하며 |
참선을 하되 선을 알지 못하고 |
學道호대 道亦不識이로다 |
도를 배우되 도 또한 알지 못한다. |
只者不知不識四字 |
다만 그 부지불식(不知不識) 네 글자가 |
正是三世諸佛의 骨髓며 |
정히 삼세제불의 골수이며 |
一大藏教의 根源이니 |
일대장교(一大藏敎)의 근원이다. |
靈利漢이 纔聞舉著하면 |
영리한 놈은 거착(擧着)하는 것을 들으면 |
如龍得水하고 似虎靠山하야 |
용이 물을 만나고 호랑이가 산에 기댄 것 같아서 |
天上人間에 縱橫無礙하리라 |
천상과 인간을 거침없이 종횡할 것이다. |
然雖如是나 點檢將來인댄 |
비록 이와 같을지라도 점검해 보면 |
猶是者邊底消息이니 |
오히려 이 쪽 끝의 소식이다. |
若謂那邊更那邊一著子인댄 |
만약 저쪽 끝에서 |
|
다시 저쪽 끝의 일착자(一著子)를 말하자면 |
直饒西天四七과 唐土二三으로 |
넉넉히 인도의 스물여덟 조사와 |
|
중국의 여섯 조사로부터 |
以至天下老古錐히 |
천하의 선지식에 이르기까지 |
敢保未徹在라호리라 |
감히 철저하지 못함을 알겠다. |
山僧이 與麼告報에 |
내가 이와 같이 말함에 |
忽有箇漢子 心憤憤口悱悱하야 |
갑자기 어떤 놈이 |
|
마음이 답답하고 말이 급해서 |
出來道호대 高峰高峰아 |
나와 말하기를, '고봉아, 고봉아! |
你有甚長處관대 |
너는 무슨 잘난 데가 있어서 |
開得者般大口오하면 |
그렇게 큰 입을 여느냐?'고 하면 |
只向他道호리라 |
다만 그를 향해 말하겠다. |
|
|
來年更有新條在하야 |
"내년에 다시 새 가지가 나서 |
惱亂春風卒未休라 |
봄바람에 흔들리기를 마침내 쉬지 않네." |
|
|
|
|
示眾 |
26. 대중에게 보임 |
|
|
終日著衣호대 |
종일 옷을 입되 |
未嘗掛一縷絲하며 |
일찍이 한 올의 실도 걸치지 않았으며 |
終日喫飯호대 |
종일 밥을 먹되 |
未嘗咬著一粒米하나니 |
일찍이 한 톨의 쌀도 씹지 않았다. |
既然如是인댄 且道하라 |
이미 그러하기가 이와 같다면, 또 말하라. |
即今身上著底와 每日口裏喫底는 |
지금 몸에 입고 있는 것과 |
|
매일 입 속에 먹는 것은 |
是箇甚麼오 |
이것이 무엇인가? |
到者裏하야는 |
여기에 이르러서는 |
不論明與不明과 徹與不徹하고 |
밝음과 밝지 않음, |
|
철저함과 철저하지 않음을 거론할 것 없이 |
寸絲滴水라도 |
한 올의 실과 한 방울의 물이라도 |
也當牽犁拽杷償他니라 何故오 |
또한 마땅히 쟁기를 끌고 고삐를 잡아서 |
|
그에게 갚아야 한다. 무슨 까닭인가? |
|
|
一片白雲이 橫谷口하니 |
한 조각 흰 구름이 |
|
골짜기에 가로 걸쳤으니 |
幾多歸鳥가 自迷巢아 |
얼마나 많은 돌아가는 새가 |
|
스스로 보금자리를 잊었던가? |
|
|
若論此事인댄 正如傍墻逼狗하야 |
만약 이 일을 논한다면 |
|
정히 담장 옆에서 개를 모는데 |
逼來逼去에 逼至尖角落頭하야는 |
몰아오고 몰아가서 |
|
막다른 골목까지 몰아가면 |
未免翻身遭他一口리니 |
몸을 돌려 개가 무는 것을 |
|
피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
即今에 莫有遭他底麼아 |
지금 바로 개한테 |
|
물린 사람이 있지 않은가? |
(卓拄杖一下云) |
(주장자를 한 번 내리고 이르기를) |
阿耶阿耶하시다 |
‘아야! 아야!’ 하였다. |
|
|
學道如初不變心하야 |
도를 배우는데 처음과 같이 |
|
마음이 변하지 아니하여 |
千魔萬難愈惺惺이니 |
천 가지 마구니, 만 가지 고난에도 |
|
더욱 깨어 있네[惺惺) |
直須敲出虛空髓하며 |
바로 허공의 골수(骨髓)를 두드려 꺼내며 |
拔卻金剛腦後釘이니라 |
금강(金剛)의 머리에 박힌 못을 뽑아 버리리. |
|
|
若論此事의 用工之際인댄 |
만약 이 일에 공부하는 것을 논한다면 |
正如打鐵船入海하야 |
정히 쇠 배[鐵船]를 만들어 바다로 들어가서 |
取如意寶珠相似하니 |
여의보주(如意寶珠)를 얻는 것과 같다. |
莫問打得打不得하고 |
만듦과 만들지 못함을 묻지 않고 |
但孟八郎이 打將去하야 |
다만 맹팔랑(孟八郞)이 가져가서 |
驀然一旦에 打得成 入得海하며 |
문득 하루아침에 배를 만들고 바다에 들어가 |
獲得珠하야 將來呈似老僧이라도 |
구슬을 얻고 나에게 가져와 바치더라도 |
不免與伊로 一槌擊碎리라 |
너와 함께 한 방망이로 부수어 버림을 |
|
면하지 못할 것이다. |
何故오 豈不見道아 |
무슨 까닭인가? |
|
이런 말을 들어 보지 못했는가? |
有之以為利하고 無之以為用이니라 |
유(有)가 이익(利益)이 되는 것은 |
|
무(無)로써 용(用)을 삼기 때문이다. |
|
|
若論實參實悟인댄 |
만약 참된 참구와 깨달음을 논한다면 |
正如八十公公이 向逆風逆水裏하야 |
정히 팔십 노인이 |
|
역풍(逆風)과 역수(逆水) 속을 향해 |
牽一隻無底鐵船相似리니 |
한 척의 밑바닥 없는 쇠배를 끄는 것과 같다. |
不問上與不上과 徹與不徹하고 |
올라감과 올라가지 못함이나 |
|
철저함과 철저하지 못함을 묻지 않고 |
直須心心無間하며 念念無虧하야 |
다만 마음마음이 끊어짐이 없으며 |
|
생각생각이 이지러짐이 없어서[無虧] |
一步一步에 盡平生伎倆睚將去하야 |
한 걸음 한 걸음에 |
|
평생의 기량(技倆)을 다해 엿보고 끌어가서 |
睚到著腳不得處와 |
발붙일 수 없는 곳과 |
筋斷骨折時하면 |
힘줄이 끊어지고 |
|
뼈가 부러지는 때에 엿보아 도달하면 |
驀然水轉風回하리니 |
문득 물과 바람이 되돌아 설 것이다. |
即是到家消息이니라 |
곧 이것이 집에 이른 소식이다. |
即今에 莫有到家底麼아 |
지금 집에 도착한 자가 있지 않는가? |
(卓拄杖一下云) |
(주장자를 한 번 내리고 이르기를) |
十萬八千이로다 |
십만 팔천이로다! |
|
|
若論此事인댄 |
이 일을 논하자면 |
不假長劫熏修하야 積功累德하며 |
오랜 세월[長劫] 동안 닦아 |
|
공덕 쌓음을 빌리지 않는다. |
亦不問賢愚利鈍과 久習初機하고 |
또한 똑똑함과 어리석음, 영리함과 우둔함, |
|
오래 익힘과 처음 공부함을 묻지 않고 |
只貴孟八郎漢이 不顧危亡得喪하고 |
다만 맹팔랑(孟八郞)이 |
|
위망(危亡)과 득실(得失)을 돌아보지 않고 |
發大憤志이며 起大疑情호대 |
큰 분심(憤心)을 내며 |
|
큰 의정(疑情)을 일으키되 |
如善財童子 參勝熱婆羅하야 |
선재동자가 |
|
승열바라문(勝熱婆羅門)을 참례하여 |
大火聚中에 投身而入이니 |
큰 불덩어리 속에 몸을 던져 |
|
들어가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 귀(貴)하다. |
正恁麼時하야 |
바로 이러한 때에 |
人法俱忘하고 心機泯絕하면 |
사람과 법이 다 사라지고 |
|
심기(心機)가 끊어지면 |
左之右之에 蹴著磕著하리니 |
좌지우지함에 발에 채이고 |
|
맷돌을 맞게 될 것이다. |
不是洞山麻三斤이면 |
동산(洞山)의 ‘삼 서 근’이 아니면 |
定是雲門乾屎橛이니라 |
반드시 운문(雲門)의 ‘마른 똥 막대기’일 것이다. |
若還猥猥獕獕하며 魍魍魎魎인댄 |
만약에 도리어 산란하고 혼침(昏沈)하거든 |
莫道親見高峰하라 |
나[西峰]를 직접 만났다고 말하지 말라. |
直饒向老胡肚皮裏하야 |
바로 넉넉히 달마의 뱃가죽 속에 들어가서 |
打一遭라도 依前乾沒一星事리라 |
한 바퀴 돌아 나오더라도 |
|
전과 같이 말라서 작은 일도 없어질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