碧巖錄

벽암록(碧巖錄) 제8칙 취암미모(翠巖眉毛) _취암선사의 눈썹

碧雲 2021. 8. 17. 16:35

벽암록(碧巖錄) 제 8칙 취암미모(翠巖眉毛)_취암선사의 눈썹

 

垂示云。
會則途中受用。
如龍得水。似虎靠山。
不會則世諦流布。
羝羊觸藩守株待兔。
有時一句。如踞地獅子。
有時一句。如金剛王寶劍。
有時一句。坐斷天下人舌頭。
有時一句。隨波逐浪。
若也途中受用。
遇知音別機宜。
識休咎相共證明。
若也世諦流布。
具一隻眼。
可以坐斷十方。
壁立千仞。
所以道。大用現前。
不存軌則。
有時將一莖草。
作丈六金身用。
有時將丈六金身。作一莖草用。
且道。憑箇什麼道理。
還委悉麼。
試舉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알면 공부 도중(途中)에 수용(受用)하여
용이 물을 얻고 범이 산을 만난 것 같겠지만,
모르면 세상 논리나 퍼트리면서
저양촉번(羝羊觸藩*), 수주대토(守株待兔*) 할 것이다.
어느 때는 한 구(句)가 거지사자(踞地獅子*)와 같고,
어느 때의 한 구는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과 같고,
때로는 한 구로 천하인의 말문을 막아버리며,
때로는 한 구로 수파축랑(隨波逐浪*)하거니와,
만약 도중에 수용한다면
지음(知音)을 만나 기의(機宜*)를 분별하고,
복이 될지 화가 될지 서로 증명해 알겠지만,
만약 세제(世諦)를 유포(流布)할 경우라면
일척안(一隻眼*)을 갖춰야
그로써 시방(十方)을 좌단(坐斷)하여
천 길 절벽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
그래서 말하기를, '대용(大用)이 현전(現前)하면
궤칙(軌則)이 사라진다'고 하였다.
어느 때는 일경초(一莖草*)로
장육금신(丈六金身*)의 용(用)을 짓기도 하고,
어느 때는 장육금신으로 일경초의 용을 짓기도 한다.
말해보라, 무슨 도리에 의거한 것인가?
자상(仔詳)히 알았느냐[委悉]?
예를 들어 살펴보자. 

*羝羊觸藩; 《易經》에서 나온 말로서 숫 羊의 뿔이 울타리에 걸려 몸을 빼나오지 못하는 형상.
*守株待兔; 나무 등걸을 지키며 토끼 걸리기[不勞所得]를 기다린다.
한 농부가 나무에 걸려 죽어있는 토끼를 얻은 뒤에 농사는 제쳐두고 나무 곁에서
토끼 걸리기를 기다렸으나 소득이 없었다는 이야기에서 온 말.《韓非子의 五蠹》
*踞地獅子; 臨濟 四喝의 하나. <臨濟錄>에 「有時一喝如金剛王寶劍, 有時一喝如踞地金毛獅子,
有時一喝如探竿影草, 有時一喝不作一喝作, 汝作麼生會?」라 하였다.
<人天眼目>에는 「踞地獅子란 發言이 氣를 토하고 위세를 떨치니,
百獸가 공포에 떨고 眾魔가 지리멸렬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隨波逐浪; 목적에 맞는 확실한 방향을 잃고 단지 환경이나 흐름을 쫓는 행동에 비유하는 말.
*機宜; 眾生 善根의 기틀에 마땅하게 교화하는 것.  *休咎; 吉凶, 福禍, 美惡。
*一隻眼; 頂門眼. 摩醯首羅는 頂門에 눈이 또 하나 있어서 그 눈으로 真實을 正見한다 하여
일척안(외눈) 또는 정문안이라 하니, 真實한 正見의 慧眼을 말한다.
*一莖草; 一枝草. 보잘것 없는 微物, 또는 衆生心에 비유.
*丈六金身; 육척 금강신, 즉 佛身. 흔히 一莖草와 丈六金身은 중생과 부처, 物과 我에 비유하여
物我一如 또는 心佛不二를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委悉; 자세(仔細)하고 완전(完全)히 앎. 

 

 【八】舉  【제8칙】 취암미모(翠巖眉毛) _취암의 눈썹
   翠嵒夏末示眾云。
   一夏以來。為兄弟說話
   (開口焉知恁麼)
   看翠嵒眉毛在麼
   (只贏得眼睛也落地。
   和鼻孔也失了。
   入地獄如箭射)
   保福云。作賊人心虛
   (灼然是賊識賊)
   長慶云。生也
   (舌頭落地。
   將錯就錯。果然)
   雲門云。關
   (走在什麼處去。
   天下衲僧跳不出。敗也)。
   취암(翠嵒)이 하안거 끝에 시중(示眾)하여
   "일하안거(一夏安居*) 동안 형제들에게 얘기했는데,
   (얘기 해 줘도 어찌 그런 줄 알기나 할까?)
   취암의 눈썹이 붙어 있는지 봐주시오." 하였다.
   (단지 눈알만 땅에 떨어질 것이 아니라
   따라서 콧구멍[鼻孔]까지 잃어서
   쏜 화살처럼 지옥으로 갈 것이다.)
   보복(保福)은 "도둑이 제 발 저렸다[心虛*]." 하였고,
   (분명 도적이 도적을 안다.)
   장경(長慶)은 "난다[生]." 하였으며,
   (설두락지<舌頭落地*>거늘
  잘못으로 잘못에 나아가는구나. 과연.)
   운문(雲門)은 "닫아라[關*]." 하였다.
   (도망칠 곳이 어디 있겠는가?
   천하의 납승이 뛰어봐야 벗어나지 못한다. 졌다.)。

*一夏安居; 음력 4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90일 동안 행하는 安居.
禪林間에 「佛法을 잘못 설하면 그 죄로 눈썹이 빠진다」고 전해져 왔다.
*心虛; ①(잘못을 저질러) 켕기다. 제 발 저리다. ②자신이 없다. ③겸허하다. 겸손하다.

*舌頭落地; 「혀끝이 떨어진 곳」이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경지」라는 뜻.

*關; ①掩閉, 閉合 ②拘禁 ③息(정지시키는 작용) ④牽涉, 連繫 ⑤(軍糧을)領取.

 

古人有晨參暮請。
翠嵒至夏末。卻恁麼示眾。
然而不妨孤峻。不妨驚天動地。
且道。一大藏教。五千四十八卷。
不免說心說性。
說頓說漸。
還有這箇消息麼。
一等是恁麼時節。
翠嵒就中奇特。
看他恁麼道。
且道他意落在什麼處。
옛사람들은 새벽에 참례하고 저녁에는 법문을 청했다.
취암이 하안거 끝에 이렇게 시중하였으니,
고준(孤峻)하고 경천동지(驚天動地)하여 마지 않다.
말해보라. 일대장교(一大藏敎) 5,048 권이
피치 못해 심(心)과 성(性)을 설하고,
돈(頓)과 점(漸)을 설했거니와,
그런 소식이 있던가?
일등가는 것이 그런 시절일 것이라
취암이 그 가운데 선 것이 기특하다.
그가 이렇게 말한 것을 살펴보건대,
말해보라. 그의 뜻이 어디에 있는가?
古人垂一鉤。
終不虛設。
須是有箇道理為人。
人多錯會道。
白日青天說無向當話。
無事生事。
夏末先自說過。
先自點檢。
免得別人點檢他。
且喜沒交涉。
這般見解。謂之滅胡種族。
옛사람들은 낚시를 한 번 던져도
결코 허술하게 하지 않아서
반드시 사람을 위하는 어떤 도리(道理)가 있었다.
사람들은 흔히 잘못 알고서
 '밝은 대낮에 당치 않은 얘기를 하고
아무 일 없는 데에 일을 만들어서
하안거 끝에 먼저 자기가 허물을 말하고,
먼저 지기가 점검(點檢)하여
다른 사람들의 점검을 면했다'고들 하지만,
아무 연관이 없는 웃기는 일이다.
그런 견해를 부처[胡] 종족을 멸하는 것이라 한다. 
歷代宗師出世。
若不垂示於人。
都無利益。
圖箇什麼。
到這裏見得透。
方知古人有驅耕夫之牛。
奪飢人之食手段。
역대(歷代)의 종사(宗師)가 세상에 나와
사람들에게 수시(垂示)하지 않았다면
아무런 이익이 없었으려니와,
무엇을 도모한 것일까?
여기에 이르러 견(見)이 투철해지면
바야흐로 옛사람에게 농부의 소를 내쫓고,
배고픈 사람의 밥을 뺏는 수단이 있었음을 알 것이다. 
如今人問著。便向言句下咬嚼。
眉毛上作活計。
看他屋裏人。
自然知他行履處。
千變萬化。節角聱訛。
著著有出身之路。
便能如此與他酬唱。
지금의 사람들에게 물으면 곧 언구(言句)를 되씹어
 '눈썹'을 가지고 해결할 궁리를 하는데,
저 집안 사람들을 살펴보면
자연히 그가 밟아 간 곳[行履處]에는
천만 번의 변화나 알지 못할 이상야릇한 언구일지라도
그 때마다 몸 빼낼 길이 있었기에
이렇듯 그와 더불어 수창(酬唱*)할 수 있었음을 알리라. 

*驅耕夫之牛 奪飢人之食; [五燈會元 16卷 越州天衣義懷禪師(雪竇顯禪師法嗣) 章]에
「농부의 소를 내쫓아 풍년을 이루게 하고, 배고픈 자의 밥을 빼앗아 굶주림을
영원히 없애 줄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굶주린 자가 더한 굶주림을 통해 굶주림의 실체가 없음을 알고,
굶주림이 곧 배부름이요 배부름이 곧 굶주림임을 깨달아
영원히 굶주림이 끊어지게 한다는 뜻이다. <3칙 참조>
*節角聱訛; 節角은 '文字로 새긴 모퉁이', 聱訛는 '알아듣지 못할 이상야릇함'.
즉 알아듣지 못할 이상야릇한 언구.
*著著; 바둑에서의 한 수 한 수.
*酬唱; 시가(詩歌)를 서로 불러 주고받음. 法談을 주고받음. 

此語若無奇特。
雲門保福長慶三人。
咂咂地與他酬唱作什麼。
保福云。作賊人心虛。
只因此語。
惹得適來說許多情解。
且道保福意作麼生。
切忌向句下覓他古人。
爾若生情起念。
則換爾眼睛。
殊不知。
保福下一轉語。
截斷翠嵒腳跟。
이 말에 만약 기특함이 없다면
운문, 보복, 장경 세 사람이
쪽쪽대며 그와 더불어 수창(酬唱)해서 무엇 하겠는가?
보복은 “도둑놈이 제 발 저렸다.” 하였는데,
다만 이 말로 인해
방금 말한 허다한 정해(情解*)가 야기되었다.
말해보라. 보복의 뜻이 무엇인가?
절대 언구에서 그 고인(古人)을 찾지 말라.
여러분이 만약 정념(情念)을 일으킨 즉
여러분의 눈알이 뒤바뀐 것이려니와,
전혀 알지 못하는 것이다.
보복이 일전어(一轉語*)로
취암의 발꿈치를 절단해버렸다는 것을. 

*換眼睛; 泥毬換眼睛(진흙 공으로 바꿔 낀 눈알)의 略.
눈은 있어도 동자가 없다는 것이니, 見識이 얕고 짧아서 판별하는 능력이 없음에 비유한 말.
*情解; 흔히 '알음알이'라고 하나, 엄밀히 情은 당시에 근(根)을 情이라 하였다 하니,
 '감관으로 이해하다', 즉 진리에 곧바로 깨달아 들어가지 못하고
마음에 형상을 지어 그로써 이해하려는 것을 말한다.
*一轉語; 禪林用語。學人을 迷惑에서 開悟로 轉換시키는 한 마디 語句. 세 句면 三轉語.

長慶云。生也。
人多道。
長慶隨翠嵒腳跟轉。
所以道生也。
且得沒交涉。
不知長慶自出他見解道生也。

各有出身處。
장경은 “생긴다”고 하였는데,
사람들은 흔히 말하기를,
“장경이 취암의 발꿈치를 따라 굴렸기에
그래서 '생긴다' 하였다"고 말하지만
아무런 연관이 없을 뿐더러
장경 자신이 그의 견해를 벗어나서
 ‘생긴다’고 한 것을 모르는 것이다.
저마다 출신처(出身處*)가 있었다. 
我且問爾。
是什麼處是生處。
一似作家面前。
金剛王寶劍。直下便用。
若能打破常流見解。
截斷得失是非。
方見長慶與他酬唱處。
내가 잠깐 여러분들에게 묻겠는데,
어떤 곳이 생기는 곳인가?
흡사 작가(作家)의 면전(面前)에서
금강왕보검을 곧장 휘두른 것과 같다.
만약 상류(常流*)의 견해를 타파하고,
득실(得失)과 시비(是非)를 절단할 수 있다면
마침내 장경이 그와 더불어 수창한 곳을 볼 것이다. 

*出身處; 出身活路. 迷悟의 二邊에 걸려있지 않고 활달무애한 作用에 요달함에 비유.
*常流; 凡俗의 人物 즉 凡夫. 常凡이라고도 한다. 

雲門云。關。
不妨奇特。只是難參。
雲門大師。多以一字禪示人。
雖一字中。須具三句。
看他古人。臨機酬唱。
自然與今時人迥別。
此乃下句底樣子。
他雖如此道。
意決不在那裏。
既不在那裏。
且道在什麼處。
也須子細自參始得。
若是明眼人。
有照天照地底手腳。
直下八面玲瓏。
雪竇為他一箇關字。和他三箇。
穿作一串頌出。
운문은 "닫아라[關]."고 하였으니,
기특하여 마지 않으나 다만 이것이 참구하기 어렵다.
운문대사는 흔히 일자선(一字禪)으로 시중하였는데,
비록 한 자(字)지만 반드시 세 구(句)를 갖추고 있다.
저 고인의 어떤 시기에 임해 수창한 것을 살펴보면
자연히 요즘 사람들과는 현저히 다른데,
그것은 하구(下句)하는 모양새[樣子]이다.
그가 비록 이렇게 말하더라도
뜻은 결코 그 속에 있지 않다.
기왕 그 속에 있지 않다면
말해보라. 어디에 있겠는가?
모름지기 자세(子細)히 자참(自參)해야 한다.
만일 눈 밝은 사람이라면
하늘을 비추고 땅을 비추는 솜씨가 있으리니,
곧바로 팔면(八面)이 영롱(玲瓏)할 것이다.
설두는 그 '관(關)' 한 글자에 세 개를 섞고
한 꼬챙이로 꿰어서 송출(頌出)하였다. 

 

 翠巖示徒
   (這老賊。教壞人家男女)
 千古無對
   (千箇萬箇。也有一箇半箇。分一節)
 關字相酬
   (不信道。不妨奇特。
   若是恁麼人。方解恁麼道)
  失錢遭罪
   (飲氣吞聲。雪竇也不少。
   和聲便打)
 취암(翠巖)이 시중(示眾;徒)하니
   (이 늙은 도적이 인가<人家>의 남녀를 죽어라 한다.)
 천고(千古)에 대꾸할 자 없으련만
   (천만 명 중 하나나 반이 이 한 구절을 분석한다.)
 관(關)자로 화답(和答;相酬*)했으니,
   (믿지 않고 말한 것이 기특하여 마지 않다.
   이런 사람이라면 바야흐로 그러한 도를 알았으리라.)
  돈 잃고 고생[遭罪*]이로구나.
   (꾹 참고 아무 말 말라. 설두도 <잃은 것이>많다.
   소리 맞춰 무릎을 친다<옳커니!>)
 潦倒保福
   (同行道伴。
   猶作這去就。兩箇三箇)
 抑揚難得
   (放行把住。
   誰是同生同死。
   莫謗他好。且喜沒交涉)
 발걸음 무거운[潦倒] 보복(保福)은
   (같이 수행하는 도반(道伴) 중에
   이런 행동하는 자가 두 셋은 된다.)
 짓누르기도 치켜세우기도 어려웠네.
   (방행<放行>과 파주<把住>는
   뉘라서 생사를 같이 할 것인가?
   그를 비방하지 말아야겠지만, 흥! 아무 연관이 없다.)

*相酬; ①唱和;酬對。②報答;酬謝。
*遭罪; ①죄를 받다. 벌을 받다. ②고생하다. 애를 먹다. 혼나다.
*潦倒; ①뜻대로 되지 않거나 생활이 빈곤함. ②방탕 ③발검음이 무거움.
*嘮嘮; 시끄럽게 떠들어대는 모양새.
*合取口; 禪林用語. 입을 닫으라는 것이니, 무의미한 말을 하지 말라는 뜻.
*諳; ①잘 알다. 숙지하다. 능숙하다. 숙달하다. ②암기하다. 외다. ③겪다. 경험하다.

  嘮嘮翠巖
   (這野狐精。合取口好)
   分明是賊
   (道著也不妨。
   捉敗了也)
  白圭無玷
   (還辨得麼。天下人不知價)
 誰辨真假
   (多只是假。山僧從來無眼。
   碧眼胡僧)
  長慶相諳
   (是精識精。
   須是他始得。
   未得一半在)
 眉毛生也
   (在什麼處。從頂門上。至腳跟下。
   一莖草也無)
  떠벌이 취암(翠巖)은
   (이 야호정<野狐精>은 입을 닫아야 한다.)
   분명히 도적이지만
   (말 붙이는 것이야 어쩌지 못하겠으나
   붙잡기는 실패했다.)
  티 없는 백옥(白玉;圭)이거늘
   (판별할 수 있겠는가? 천하인이 값을 모른다.)
 뉘라서 진가(真假)를 판별하리오?
   (대개가 가짜 뿐이고, 나는 여지껏 눈이 없었다.
   푸른 눈의 오랑캐 스님<碧眼胡僧; 달마>이라면...)
  장경(長慶)이 화답하여
   (정<精>으로 정<精>을 안 것이다.
   아마도 이것이 그가 비로소 얻은 것이겠으나,
   하나나 반도 얻은 것이 없다.)
 눈썹이 생긴다 하네.
   (어디에 있던가?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풀 한 가닥<一莖草>도 없다.)

*須是; ①반드시 …해야 한다. ②아마[대개] …일 것이다. 

 

雪竇道。千古無對。
他只道。看翠嵒眉毛在麼。
有什麼奇特處。
便乃千古無對。
須知古人吐一言半句出來。
不是造次。
須是有定乾坤底眼始得。
雪竇著一言半句。
如金剛王寶劍。如踞地獅子。
如擊石火。似閃電光。
若不是頂門具眼。
爭能見他古人落處。
這箇示眾。直得千古無對。
過於德山棒臨濟喝。
且道雪竇為人意在什麼處。
爾且作麼生會他道千古無對。

설두는 "천고무대(千古無對)"라 하였는데,
그가 단지 “취암의 눈썹이 있는가?”라고 한 말에
무슨 기특한 곳이 있어서
이내 “천고에 대꾸할 자 없다”고 한 것일까?
모름지기 고인이 토해 낸 일언반구(一言半句)는
급조된 것[造次*]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반드시 온 누리를 진정시키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설두가 내뱉는 일언반구는
금강왕보검 같고, 땅에 웅크린 사자[踞地獅子] 같고,
석화(石火) 튀고, 전광(電光) 번쩍이는 것과 같다.
정문(頂門)에 눈 달리지 않고서야
어찌 저 고인의 낙처(落處*)를 보겠는가?
이러한 시중(示眾)이 바로 천고무대(千古無對)여서
덕산(德山)의 방(棒)이나 임제(臨濟)의 할(喝)을 능가한다.
말해보라. 설두의 사람 위하는 뜻이 어디에 있는가?
여러분은 또 천고무대라는 그의 말을
어떻게 알아들었는가? 

*造次; 急造된 것. ①倉卒, 緊迫 ②노망(鹵莽).
*落處; 말[言句]이 떨어진 곳, 즉 말로 표현하고자 한 것. 

關字相酬。失錢遭罪。
這箇意如何。
直饒是具透關底眼。
到這裏也須子細始得。
且道是翠巖失錢遭罪。
是雪竇失錢遭罪。
是雲門失錢遭罪。
爾若透得。
許爾具眼。
관(關)자로 화답한 것이 돈 잃고 고생하는 것이라는데,
그 뜻이 무엇이겠는가?
설령 관문을 꿰뚫는 안목을 갖췄더라도
여기에 이르러서는 모름지기 자세(子細*)해야 한다.
말해보라. 취암이 돈 잃고 고생하는 것인가,
설두가 돈 잃고 고생하는 것인가,
운문이 돈 잃고 고생하는 것인가?
여러분이 투득(透得)한다면
안목을 갖추었다고 인정하겠다.

*子細; 근신(謹慎). 아는 척 하지 않고 愼重을 기하다.

潦倒保福。
抑揚難得。
抑自己揚古人。
且道保福在什麼處是抑。
什麼處是揚。
嘮嘮翠巖。分明是賊。
且道他偷什麼來。
雪竇卻道是賊。
切忌隨他語脈轉卻。
到這裏須是自有操持始得。

 '발걸음 무거운 보복(保福)은
짓누르기도 치켜세우기도 어려웠다' 했으나,
자기를 짓누르고 고인을 치켜세웠다.
말해보라. 보복의 어느 곳이 짓누른 곳이고,
어느 곳이 치켜세운 곳인가?
 '떠벌이 취암은 분명 도적이다' 하였는데,
말해보라. 그가 무엇을 훔쳤는가?
설두는 도적이라고 했지만
절대 그 어맥(語脈) 굴러가는 대로 쫓아가지 말고,
이에 이르러서는 모름지기 자기 지조를
지킬 줄 알아야 한다.
白圭無玷。
頌翠巖大似白圭相似。
更無些瑕翳。
誰辨真假。
可謂罕有人辨得。
雪竇有大才。
所以從頭至尾。一串穿卻。
末後卻方道。長慶相諳。
眉毛生也。
且道。生也在什麼處。
急著眼看。
 '티 없는 백옥(白玉)이다'는 것은
취암이 너무도 백옥을 닮아서
조그만 흠집도 없음을 송(頌)한 것이고,
 '뉘라서 진가(真假)를 판별하리오'는
판별해 낼 사람이 극히 드물다는 말이다.
설두는 큰 재주가 있었으니, 그래서
 '머리에서 꼬리까지 한 꼬챙이로 꿰었다' 하고서
마지막에 바야흐로 '장경이 화답하여
눈썹이 난다고 하였다' 하였는데,
말해보라. 남[生]은 어디에 있는가?
빨리 착안(著眼)하여 살펴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