端陽示眾 | 15. 단오에 대중에게 보임 |
三十年來에 橫草不拈하며 | 삼십 년 동안 누운 풀[橫草]도 잡지 않고 |
豎草不踏하고 | 선 풀[竪草]도 밟지 않고 |
單單只合得一服快活無憂散호니 | 다만 쾌활(快活)한 무우산(無憂散)을 |
한 번 복용했더니 | |
其藥이 雖微나 奏功이 極大라 | 그 약이 비록 작았으나 |
나타난 효험은 지극히 컸다. | |
不問佛病祖病과 心病禪病과 | 부처라는 병[佛病]과 조사라는 병[祖病], |
마음병[心病]과 선병[禪病], | |
凡病聖病과 生病死病과 | 범부라는 병[凡病]과 성인이라는 병[聖病], |
생병(生病)과 사병(死病), | |
是病非病하고 | 옳다는 병[是病], 그르다는 병[非病]을 불문하고 |
除禪和子의 一種毛病之外에 | 선객(禪客)의 한 터럭 병[毛病)만을 제외하고는 |
聞者見者 無不靈驗이니라 | 듣거나 보는 자가 |
영험(靈驗)을 얻지 못함이 없었다. | |
且喚甚麼하야 作毛病고 | 또 무엇을 일러 터럭 병[毛病]이라고 하는가? |
(良久云) | (한참 말이 없다가 이르기를) |
各請歸堂하야 點檢看하라 | 각자 돌아가서 점검해 보라. |
示眾 | 16. 대중에게 보임 |
若謂著實參禪인댄 | 만약 착실(着實)한 참선을 말하자면 |
決須具足三要니라 | 결정코 세 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
第一要는 有大信根이니 | 첫 번째 요소는 큰 믿음의 뿌리이니 |
明知此事 如靠一座須彌山이요 | 이 일은 하나의 수미산을 의지하는 것과 |
같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 |
第二要는 有大憤志니 | 두 번째 요소는 큰 분지(憤志)이니 |
如遇殺父冤讎하야 | 아버지 죽인 원수를 만나서 |
直欲便與一刀兩段이요 | 곧바로 한 칼에 두 동강을 내려는 것과 같다. |
第三要는 有大疑情이니 | 세 번째 요소는 큰 의정(疑情)이니 |
如暗地에 做了一件極事하야 | 암암리에 한 건의 극히 중요한 일을 해 마치고 |
正在欲露未露之時니라 | 꼭 드러내고자 하나 드러내지 못할 때와 같다. |
十二時中에 果能具此三要인댄 | 열두 때 안에 과연 이 세 요소를 |
갖출 수 있다면 | |
管取剋日功成하야 | 반드시 기한 내에 성공하여 |
不怕甕中走鱉이어니와 | 옹기 속 자라 달아날까 두려워하지 않겠거니와 |
苟闕其一인댄 | 진실로 그 하나라도 빠지면 |
譬如折足之鼎이 終成廢器니라 | 비유컨대 다리 부러진 솥이 |
결국 못 쓰는 도구가 되는 것과 같다. | |
然雖如是나 | 그러하기가 비록 이와 같으나 |
落在西峰坑子裏하야는 | 나의 구덩이 속에 떨어져 있으니 |
也不得不救로다 咄하노라 | 또한 건지지 않을 수 없다. 돌(咄)! |
(拈主丈云) | (주장자를 잡고 이르기를 ) |
者一著子를 從上佛祖 求之호대 | 이 일착자(一着子)를 |
위로 부처와 조사가 구하고자 | |
雖歷千魔萬難과 萬死千生이라도 | 비록 천 가지 마구니와 만 가지 어려움, |
만 번 죽음과 천 번의 태어남을 겪었지만 | |
如水東流하야 不到滄溟하야는 | 물이 동쪽으로 흘러 바다에 도달하지 않고는 |
決定不止시니 | 결정코 그치지 아니하는 것과 같았으니, |
以此推之컨댄 大不容易로다 | 이것으로 미루어 보면 |
크게 용이(容易)하지 않다. | |
若要點鐵成金하야 與千聖同域인댄 | 만약 쇠붙이에 점을 찍어 금을 만들어서 |
모든 성인들과 경지가 같아지려 한다면 | |
豈淺識小見者의 所能擬議리요 | 어찌 얕은 지식과 좁은 소견을 가진 자가 |
능히 헤아리고 논의할 바이겠는가? | |
直須具舉鼎拔山力과 | 곧바로 모름지기 솥을 들고 산을 뽑는 힘과 |
包天括地量과 斬釘截鐵機와 | 하늘을 덮고 땅을 싸는 국량(局量)과 |
못을 끊고 쇠를 자르는 기틀과 | |
打鳳羅龍手니라 | 봉황을 치고 용을 잡는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
果有如是操略인댄 | 과연 이와 같은 지조와 지략이 있다면 |
主丈으로 助以發機호리라 | 주장자로 도와서 기틀을 발휘하게 하겠다. |
(卓一下云) | (주장자를 한 번 내리고) |
有意氣時에 添意氣로다 | 의기(意氣)기 있을 때 의기를 더해 준다. |
(又卓一下云) | (또 주장자를 내리고 이르기를) |
不風流處에 也風流로다 | 풍류하지 않는 곳에 또한 풍류한다. |
若是跛鱉盲龜인댄 | 만약에 다리를 저는 자라와 눈먼 거북이라면 |
止跳得一跳兩跳에 | 다만 뛰기를 한 번 뛰고 두 번 뛰어 |
伎倆이 已盡하리니 | 기량이 이미 다할 것이니 |
西峰門下에 總用不著이로다 | 나의 문하에서는 다 쓰더라도 소용이 없다. |
(度主丈喚侍者云) | (시자를 불러 주장자를 건네주고 이르기를) |
送在師子巖頭하야 | 사자암(師子巖)에 보내서 |
一任東湧西沒케하라 | 동쪽으로 솟고 서쪽으로 빠지는 데 맡겨두라. |
若論此事의 真正用工인댄 | 만약 이 일에서 참으로 바르게 |
공부하는 것을 논한다면 | |
決定不在行住坐臥處하며 | 결정코 행주좌와 하는 데에 있지 않고, |
決定不在著衣喫飯處하며 | 결정코 옷 입고 밥 먹는 데 있지 않고, |
決定不在屙屎放尿處하며 | 결정코 똥 누고 오줌 누는 데 있지 않고, |
決定不在語默動靜處니라 | 결정코 어묵동정(語默動靜)하는 데 있지 않다. |
既然如是인댄 畢竟在甚麼處오 [漸/耳]。 | 기왕 그러하기가 이와 같다면 |
필경 어느 곳에 있는가? “적!” | |
若向者裏하야 知得落處인댄 | 만약 이 속에서 낙처(落處)를 안다면 |
便見未出母胎에 已自行腳了也며 | 모태(母胎)에서 나오기 전에 |
이미 스스로 행각(行脚)하였고, | |
已自來見高峰了也며 | 이미 스스로 와서 나를 만났으며, |
已自心空及第了也며 | 이미 스스로 마음이 비어서 급제(及第)했으며 |
已自接物利生了也어니와 | 이미 스스로 중생을 접하여 |
이롭게 했음을 문득 볼 것이다. | |
設使無明垢重하야 不覺不知인댄 | 설사 무명(無明)의 때가 두꺼워 |
깨닫지도 알지도 못한다면 | |
未免先以定으로 動하고 | 먼저 정(定)으로 움직이고 |
後以智로 拔이니라 | 뒤에 지혜로 뽑아내기를 면치 못할 것이다. |
(良久喝一喝云) | (한참 말이 없다가 한 번 할喝하고 이르기를) |
一隊無孔鐵槌로다 | 한 무데기 구멍 없는 쇠망치로다. |
示理通上人 | 17. 이통상인(理通上人)에게 보임 |
大抵學人이 打頭不遇本分作家하야 | 대개 배우는 사람들이 처음부터 |
본분작가(本分作家)를 만나지 못하고 | |
十年二十年을 者邊那邊에 | 십 년 이십 년을 이곳 저곳에서 |
或參或學 或傳或記호대 | 혹 참구(參究)하고 혹 배우고 |
혹은 전달하고 혹은 기록하여 | |
殘羹餿飯 惡知惡覺을 | 남은 국과 쉰 밥, |
나쁜 지식과 나쁜 알음알이를 | |
尖尖滿滿히 築一肚皮호대 | 불룩하고 가득하게 |
뱃가죽 속에 쌓은 것이 | |
正如箇臭糟瓶相似하니 | 꼭 냄새나는 술찌기를 담은 병과 같다. |
若遇箇有鼻孔底 聞著인댄 | 만약 콧구멍을 가진 사람이 |
이 냄새를 맡으면 | |
未免惡心嘔吐하리라 | 속이 뒤틀려 구토를 면치 못할 것이다. |
到者裏하야 設要知非悔過하야 | 이 속에 이르러 |
만약 그릇됨을 알고 잘못을 참회하여 | |
別立生涯인댄 | 별도로 생애를 세우고자 한다면 |
直須盡底傾出 | 모름지기 바닥까지 다 기울여 쏟아내고 |
三回四回하며 洗七番八番。 | 세 번 네 번 거듭하여 |
일곱 번 여덟 번을 씻어서 | |
泡去教乾乾淨淨하야 | 말리고 말려서 깨끗하게 하여 |
無一點氣息하야사 | 한 점의 흔적도 없게 하여야 |
般若靈丹을 方堪趣向이어니와 | 반야(般若)의 신령한 약에 |
바야흐로 취향해 나아갈 것이다. | |
若是忽忽草草하야 打屏不乾인댄 | 만약 바쁘게 대강대강하여 |
제거하고 말리지 못하면 | |
縱盛上品醍醐라도 | 비록 좋은 제호(醍醐)를 가득 담더라도 |
亦未免變作一瓶惡水리라 | 또한 한 병의 더러운 물로 바뀌는 것을 |
면치 못할 것이다. | |
且道하라 利害 在甚麼處오 | 또 말하라. |
이익과 손해가 어디에 있는가? | |
咄 毒氣深入이로다 | 돌(咄)! 독한 기운이 깊이 침입했다! |
'高峰和尚禪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봉화상 선요 _ 21. 除夜小參 (0) | 2016.03.09 |
---|---|
고봉화상 선요 _ 18. 示衆, 19. 解制示衆, 20. 示衆 (0) | 2016.03.09 |
고봉화상 선요 _ 12. 示衆, 13. 結制示衆, 14. 示衆 (0) | 2016.03.09 |
고봉화상 선요 _ 11. 示信翁居士(洪上舍) (0) | 2016.03.09 |
고봉화상 선요 _ 8. 立限示衆, 9. 示衆, 10. 晚參 (0) |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