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51

벽암록(碧巖錄) 제73칙 마조(馬祖)의 사구백비(四句百非)

*四句百非; ①四句는 통상 有, 無, 亦有亦無, 非有非無, 또는 긍정, 부정, 부분긍정 부분부정, 양자 모두 부정  같은 일반 논의형식이 되어지는 네 가지를 말하나, 선림에서는 대개 臨濟義玄의 四料簡, 즉 奪人不奪境, 奪境不奪人, 人境共奪, 人境共不奪이라 하기도 한다. ②百非는 '많은 수'라는 의미의 百에 否定을 뜻하는 非이니, '많은 수의 부정'을 말하니 《열반경》 21권의 「선남자야!涅槃의 體性은 非生非出、非實非虛、非作業生、非是有漏有為之法、非聞非見、非墮非死、非別異相、亦非同相、非往非還、非去來今、非一非多、非長非短、非圓非方、非尖非斜、非有相非無相、非名非色、非因非果、非我我所,. . .」이라 하신 이것이 百非이다.  垂示云。수시(垂示)夫說法者。無說無示。其聽法者。無聞無得。說既無說無示。爭如不說。聽既無聞無得。爭如不聽..

碧巖錄 2024.11.15

벽암록(碧巖錄) 제69칙 남전획일원상(南泉畫一圎相)_南泉이 그린 동그라미

垂示云。수시(垂示)無啗啄處。祖師心印。狀似鐵牛之機。透荊棘林。衲僧家。如紅爐上一點雪。平地上七穿八穴則且止。不落寅緣。又作麼生。試舉看。도무지 쪼아볼 데가 없는 祖師의 心印은 무쇠소[鐵牛]의 정기(精機)와 같아서 형극(荊棘)의 길을 가야하는 수도승들에게는 이글거리는 용광로 위의 눈송이와 같다. (흔적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보통을 넘어 통달하는 일은 그만 두더라도 그 방면에 인연이 없을 때는 또 어떠한지 예를 들어 살펴보자. *七穿八穴; 七通八達과 同義語.*寅緣; 특별한 인연.    【六九】舉。 【제69칙】 南泉의 동그라미[圓相]    南泉歸宗麻谷。  同去禮拜忠國師。至中路  (三人同行必有我師。  有什麼奇特。  也要辨端的)  南泉於地上。畫一圓相云。  道得即去  (無風起浪。  也要人知。擲卻陸沈船。  若不驗過。爭辨端..

碧巖錄 2024.10.02

분명히 다가오는 인연

저 사람과 만난지 오늘로 딱 50년. 오늘 저 사람이 "묵담스님의 어록을 읽어보았는데너무 마음에 와닿는 말씀이 많다"고 했다. 무심코 흘려들었는데  밤 늦도록 돋보기 끼고 그 어록을 열독하는 것을 보고서  웬일인가 싶더니 문득 다가오는 느낌에 깜짝 놀랬다. 오래 전에 입적하신 묵담 종정스님은 고교 2학년 때 입문 5계를,그리고 이듬해에 보살계를 내리신 나의 계사(戒師)님이시다. 인터넷 고불서(古佛書)를 검색하다가 그 분의 어록을 발견하고고서점(古書店)에서 구입하여 소중히 간직해 두었는데   책장에 꽃힌 여러 불서(佛書)들 가운데어찌 하필 그 책을 택해 읽고서 저리도 좋아할까. 저 사람은 날 만나기 전 꿈에 거대한 미륵불상을 보았다더니 분명 불법 안에서 나와 크고 오랜 인연을 쌓은 사람이겠구나 싶다.  내..

카테고리 없음 2024.10.01